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와 일시적 차이가 채권가격결정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Book-Tax Difference and Temporary Difference on Bond Pric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931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ior literatures argue that Book-Tax Difference(hereafter "BTD") can be the signal of redflag in the stock market or result from manager's opportunistic behavior because BTD means the inconformity between accounting income and taxable income. And information for BTD may make negative effects on rating of bond credit. Thus, BTD is informative for bond investor's decision-making process.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bond investors use information for BTD in pricing bond.
      Especially, we analyze whether BTD and temporary BTD has additional explanatory power in bond pricing, after controlling bond and firm specified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BTD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efficients with bond spread. It indicates that bond investors require additional risk premium on pricing because more the uncertainty of future bond yield as the book-tax inconformity is higher. Furthermore, the uncertainty of loss firms is higher. Second, there is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bond spread and temporary BTD. Especially, this result also presents that investors underprice the bond of higher BTD firms. Third, interaction between BTD and theoretical determinants of bond yield mitigates bond price. it shows that BTD in bond market can be regarded as negative signal or symptoms in future of bond issuers. Thus, this supports prior literatures. Finally, NOL h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with bond spread. That is, information about NOL negatively functions in the bond pricing process.
      번역하기

      Prior literatures argue that Book-Tax Difference(hereafter "BTD") can be the signal of redflag in the stock market or result from manager's opportunistic behavior because BTD means the inconformity between accounting income and taxable income. And i...

      Prior literatures argue that Book-Tax Difference(hereafter "BTD") can be the signal of redflag in the stock market or result from manager's opportunistic behavior because BTD means the inconformity between accounting income and taxable income. And information for BTD may make negative effects on rating of bond credit. Thus, BTD is informative for bond investor's decision-making process.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bond investors use information for BTD in pricing bond.
      Especially, we analyze whether BTD and temporary BTD has additional explanatory power in bond pricing, after controlling bond and firm specified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BTD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efficients with bond spread. It indicates that bond investors require additional risk premium on pricing because more the uncertainty of future bond yield as the book-tax inconformity is higher. Furthermore, the uncertainty of loss firms is higher. Second, there is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bond spread and temporary BTD. Especially, this result also presents that investors underprice the bond of higher BTD firms. Third, interaction between BTD and theoretical determinants of bond yield mitigates bond price. it shows that BTD in bond market can be regarded as negative signal or symptoms in future of bond issuers. Thus, this supports prior literatures. Finally, NOL h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with bond spread. That is, information about NOL negatively functions in the bond pricing proc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BTD)는 목적이 다른 회계기준과 세법규정에 따라 산출된 이익의 불일치를 의미한다. 선행연구들은 BTD가 큰 기업일수록 자본시장에서 기업이 지니는 미래 불확실성이 높다는 적신호(red-flag)로 인식되거나 경영자의 기회주의적인 행동으로 발생된 것으로 인식되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한 바 있다. 한편 채권시장에서도 BTD의 정보효과로서 신용등급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도 하였다. 이처럼 BTD는 기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평가과정에서 정보력을 내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채권시장에서 투자자들이 채권가격결정 과정에서 BTD를 활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채권가격결정(채권스프레드)에 영향을 주는 채권수준과 기업수준에서의 요인들을 통제한 후에도 BTD와 일시적차이가 추가적인 설명력을 보이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채권스프레드에 BTD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나타냈으며, 이러한 현상은 손실기업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이익기업표본에서 보다 확연히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BTD가 큰 기업의 채권에 대해서 투자자들은 미래의 높은 불확실성으로 인식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프리미엄을 요구하게 됨으로써 채권가격을 낮추려 한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손실기업의 BTD는 채권가격결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이익기업에 대해서는 채권가격결정에 BTD를 하나의 고려요소로 삼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채권스프레드와 일시적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보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이익기업표본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즉 경영자의 이익조정행위에 대해서 채권투자자들은 부정적으로 인식하여 채권가격을 낮춘다는 것이며, 특히 흑자를 보고한 기업에 대해서 일시적 차이를 더욱 부정적으로 인식한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셋째, 추가분석에서 개별 채권의 특성인 신용등급, 채권만기 및 표시이자율과 채권가격의 관계에 BTD가 이들 관계를 악화시키는 방향으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BTD가 채권발행기업의 미래 불확실성 즉, 위험수준을 나타내는 변수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채권발행기업의 이월결손금의 정보가 채권시장에서 부정적으로 인식된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세무상 이월결손금이 존재하는상태에서 재무보고이익을 흑자로 보고한 기업이 발행한 채권에 대해 채권자들이 부정적으로 반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자본시장에서의 BTD의 정보력과 더불어 채권시장에서도 BTD가 정보력을 나타내어 채권가격 결정과정에서 하나의 고려요소로 기능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연구의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BTD)는 목적이 다른 회계기준과 세법규정에 따라 산출된 이익의 불일치를 의미한다. 선행연구들은 BTD가 큰 기업일수록 자본시장에서 기업이 지니는 미래 불확실...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BTD)는 목적이 다른 회계기준과 세법규정에 따라 산출된 이익의 불일치를 의미한다. 선행연구들은 BTD가 큰 기업일수록 자본시장에서 기업이 지니는 미래 불확실성이 높다는 적신호(red-flag)로 인식되거나 경영자의 기회주의적인 행동으로 발생된 것으로 인식되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한 바 있다. 한편 채권시장에서도 BTD의 정보효과로서 신용등급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도 하였다. 이처럼 BTD는 기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평가과정에서 정보력을 내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채권시장에서 투자자들이 채권가격결정 과정에서 BTD를 활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채권가격결정(채권스프레드)에 영향을 주는 채권수준과 기업수준에서의 요인들을 통제한 후에도 BTD와 일시적차이가 추가적인 설명력을 보이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채권스프레드에 BTD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나타냈으며, 이러한 현상은 손실기업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이익기업표본에서 보다 확연히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BTD가 큰 기업의 채권에 대해서 투자자들은 미래의 높은 불확실성으로 인식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프리미엄을 요구하게 됨으로써 채권가격을 낮추려 한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손실기업의 BTD는 채권가격결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이익기업에 대해서는 채권가격결정에 BTD를 하나의 고려요소로 삼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채권스프레드와 일시적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보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이익기업표본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즉 경영자의 이익조정행위에 대해서 채권투자자들은 부정적으로 인식하여 채권가격을 낮춘다는 것이며, 특히 흑자를 보고한 기업에 대해서 일시적 차이를 더욱 부정적으로 인식한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셋째, 추가분석에서 개별 채권의 특성인 신용등급, 채권만기 및 표시이자율과 채권가격의 관계에 BTD가 이들 관계를 악화시키는 방향으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BTD가 채권발행기업의 미래 불확실성 즉, 위험수준을 나타내는 변수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채권발행기업의 이월결손금의 정보가 채권시장에서 부정적으로 인식된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세무상 이월결손금이 존재하는상태에서 재무보고이익을 흑자로 보고한 기업이 발행한 채권에 대해 채권자들이 부정적으로 반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자본시장에서의 BTD의 정보력과 더불어 채권시장에서도 BTD가 정보력을 나타내어 채권가격 결정과정에서 하나의 고려요소로 기능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연구의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철환,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와 이익의 가치관련성" 한국세무학회 27 (27): 77-108, 2010

      2 박종국,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가 주가배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회계정보학회 23 (23): 51-69, 2005

      3 조용언,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가 미래경영성과와 시장반응에 미치는 영향 -이익조정 및 조세회피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회계정보학회 29 (29): 231-260, 2011

      4 권순창,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가 기업신용등급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제학회 23 (23): 955-974, 2010

      5 윤성만, "회계이익과 과세소득 간 재량적 차이의 유용성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세무학회 10 (10): 341-372, 2009

      6 남천현, "회계이익-세무이익 차이의 정보적 의미: 이익구성요소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상업교육학회 23 (23): 251-288, 2009

      7 고종권, "재무보고이익-세무보고이익의 차이와 이익, 현금흐름 및 발생액의 지속성과 자본시장의 반응" 한국회계학회 31 (31): 127-162, 2006

      8 주인기, "이익조정 행위의 측정치로서 회계이익과 과세소득 차이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회계학회 30 (30): 237-275, 2005

      9 전규안, "이연법인세와 이익조정에 관한 연구" 한국회계학회 27 (27): 107-136, 2002

      10 김대룡, "우리나라 회사채 유통시장의 신용등급별 스프레드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금융지식연구소 7 (7): 47-84, 2009

      1 김철환,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와 이익의 가치관련성" 한국세무학회 27 (27): 77-108, 2010

      2 박종국,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가 주가배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회계정보학회 23 (23): 51-69, 2005

      3 조용언,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가 미래경영성과와 시장반응에 미치는 영향 -이익조정 및 조세회피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회계정보학회 29 (29): 231-260, 2011

      4 권순창,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가 기업신용등급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제학회 23 (23): 955-974, 2010

      5 윤성만, "회계이익과 과세소득 간 재량적 차이의 유용성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세무학회 10 (10): 341-372, 2009

      6 남천현, "회계이익-세무이익 차이의 정보적 의미: 이익구성요소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상업교육학회 23 (23): 251-288, 2009

      7 고종권, "재무보고이익-세무보고이익의 차이와 이익, 현금흐름 및 발생액의 지속성과 자본시장의 반응" 한국회계학회 31 (31): 127-162, 2006

      8 주인기, "이익조정 행위의 측정치로서 회계이익과 과세소득 차이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회계학회 30 (30): 237-275, 2005

      9 전규안, "이연법인세와 이익조정에 관한 연구" 한국회계학회 27 (27): 107-136, 2002

      10 김대룡, "우리나라 회사채 유통시장의 신용등급별 스프레드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금융지식연구소 7 (7): 47-84, 2009

      11 최보람, "보수주의 회계처리가 채권 발행금리와 스프레드에 미치는 영향" 2010

      12 오세열, "대주주 지분과 채권수익률 스프레드" 대한경영학회 18 (18): 2931-2960, 2005

      13 박종일, "감사품질이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 한국회계학회 33 (33): 65-109, 2008

      14 Hanlon, M., "The Persistence and Pricing of Earnings, Accruals, and Cash Flows When Firms Have Large Book-Tax Differences" 80 (80): 137-166, 2005

      15 Tang, T., "The Market Perception of Book-Tax Differences:An Empirical Study in China's Capital Market"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06

      16 Crabtree, A., "The Influence of Differences in Taxable Income and Book Income on the Bond Credit Market" 31 (31): 75-99, 2009

      17 Fortin, S., "The Impact of Auditor-Related Tax Services on Corporate Debt Pricing" 30 (30): 79-106, 2008

      18 Lev, B., "Taxable income, future earnings, and equity values" 79 (79): 1039-1074, 2004

      19 Jiang, L., "Foreign equity ownership and information asymmetry:Evidence from Japan" 15 (15): 185-211, 2004

      20 Mansi, S. A, "Does audit quality and tenure matter to investor? Evidence from the bond market" 42 : 755-793, 2004

      21 Ayers, B. C., "Credit Ratings and Taxes:The Effect of Book and Tax Differences on Ratings Changes" 27 (27): 359-402, 2010

      22 Jackson, M, "Book-Tax Differences and Earnings Growth" University of Oregon 2009

      23 Li, H., "Are Liquidity and Information Risks Priced in the Treasury Bond Market?" 64 : 467-503, 2009

      24 Yu, F., "Accounting transparency and the term structure of credit spreads" 75 : 53-84,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3 1.23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 2.08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