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는 지식과 사회문화가 급변하는 환경이다. 이러한 변화의 시기를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관습에서 벗어난 사고인 창의성이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670851
청원군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화학교육전공 , 2012. 2
2012
한국어
540.712 판사항(22)
충청북도
xii, 97 p. : 삽도 ; 26 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는 지식과 사회문화가 급변하는 환경이다. 이러한 변화의 시기를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관습에서 벗어난 사고인 창의성이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는 지식과 사회문화가 급변하는 환경이다. 이러한 변화의 시기를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관습에서 벗어난 사고인 창의성이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 시대에서 가장 중요시 되는 창의성이 교육 활동에서 중요한 요소인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 되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중학교 1학년 과학교과서를 대상으로 제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 9종과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17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임선하 DESK 모형의 창의성 측정 문항 기준으로 교과서의 문제들을 분석하였다. 창의성 구성 요소 문항별로 총 39개의 예비문항으로 타당도 검사지를 만들었다. 과학교사 7명으로부터 얻은 검사지에 대한 반응을 수합하여 문항성분분석 후 다시 수정하여 분석하였다.
창의성 문항은 제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 평균 4.0개가 분석되었으며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는 평균 10.7개가 분석되어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 창의성이 더욱 강조되어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를 출판사별로 보면 창의성 문항이 많은 것은 32개에서부터 적은 것은 1개 문항으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의 17종 교과서를 단원별로 창의성 문항 분포를 분석하였다. 창의성 문항이 ‘힘과 운동’ 단원은 23.3%, ‘물질의 세 가지 상태’ 단원은 14.8%, ‘생물의 구성과 다양성’ 단원은 14.2%, ‘분자의 운동’ 단원은 13.1%, ‘식물의 영양’ 단원은 13.1%, ‘물질의 상태변화와 에너지’ 단원은 9.1%, ‘지각의 물질과 지표변화’ 단원은 5.7%, ‘지각변동과 판구조론’ 단원은 4.0%, ‘정전기’ 단원은 2.8%로 분석되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의 17종 교과서를 창의성 구성 요소별로 분석하여 창의성 문항이 유창성 52.2%, 독창성 22.7%, 정교성 13.9%, 융통성 11.2%로 분석되었다. 교과서의 창의성 문항은 비슷한 유형의 문항이 반복적으로 제시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로 볼 때 시대적인 요구에 맞는 인간상을 위해 새로운 교육과정의 교과서의 창의성 문항이 많이 증가하였으나, 앞으로 다양한 하위 요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교과서 교육을 통해 좀 더 다양한 창의적인 능력을 신장 할 수 있은 기회가 제공 되었으면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