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류경자, "현장에서 조사한 구비전승민요 2 - 남해군편" 민속원 2011
2 최재석, "한국의 가족과 사회" 경인문화사 2009
3 류경자, "한국구전설화집" 민속원 2011
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구비문학대계 1-1권" 1980
5 손문숙, "한국 며느리설화 연구" 동아대학교 2004
6 Arnold van Gennep, "통과의례" 을유문화사 1985
7 임재해, "친딸과 양자로 형성된 가족관계 파탄과 지속의 주체" 한국구비문학회 (31) : 31-82, 2010
8 한국고문서학회, "조선시대의 생활사" 역사비평사 1998
9 정충권, "여성의 시각에서 본 형제 우애 설화에 나타난 가족" 한국문학치료학회 16 : 61-80, 2010
10 이은희, "설화에 나타난 고부관계 연구: 문제상황주체로서의 며느리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2003
1 류경자, "현장에서 조사한 구비전승민요 2 - 남해군편" 민속원 2011
2 최재석, "한국의 가족과 사회" 경인문화사 2009
3 류경자, "한국구전설화집" 민속원 2011
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구비문학대계 1-1권" 1980
5 손문숙, "한국 며느리설화 연구" 동아대학교 2004
6 Arnold van Gennep, "통과의례" 을유문화사 1985
7 임재해, "친딸과 양자로 형성된 가족관계 파탄과 지속의 주체" 한국구비문학회 (31) : 31-82, 2010
8 한국고문서학회, "조선시대의 생활사" 역사비평사 1998
9 정충권, "여성의 시각에서 본 형제 우애 설화에 나타난 가족" 한국문학치료학회 16 : 61-80, 2010
10 이은희, "설화에 나타난 고부관계 연구: 문제상황주체로서의 며느리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2003
11 이지영, "설화에 나타난 가족관계와 갈등양상 부부관계와 부자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0) : 143-169, 2005
12 박현숙, "설화에 나타난 ‘새식구 들이기’에 대한 두 가지 시선 ―<며느리 고르기>와 <사위 고르기>설화의 비교―" 한국구비문학회 (30) : 1-36, 2010
13 윤미연, "상생의 가족서사와 그 효용성 연구 : 한국 구비 설화를 바탕으로" 서울여대 2012
14 한국문학평론가협회, "문학비평용어사전 하권" 새미 2006
15 윤승준, "기대와 실망, 괄시와 보복의 서사 - 구전설화 속 처가와 사위의 관계-" 한민족문화학회 (37) : 65-98, 2011
16 최진형, "구전설화에 나타난 ‘파격’ ―가족관계에서 ‘갈등’의 발생 상황과 해결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구비문학회 (29) : 75-114, 2009
17 이인경, "구비설화에 나타난 출가외인 담론과 여성의 정체성" 한국고전여성문학회 (5) : 187-230, 2002
18 李仁卿, "구비설화에 나타난 가계계승과 혈연의식" 한국고전문학회 21 : 5-34, 2002
19 李仁卿, "구비설화를 통해 본 老後의 삶과 가족" 한국구비문학회 (17) : 409-450, 2003
20 신동흔, "구비설화를 통해 본 민간의 삶과 효(孝)" 건국대 인문과학연구소 34 : 71-86, 2000
21 김대숙, "구비 효행설화의 거시적 조망" 한국구비문학회 3 : 177-201, 1996
22 조춘호, "구비 우애설화의 양상과 의미" 경산대학교 11 : 3-24, 1993
23 정충권, "구비 설화에 나타난 가족 재생산과 혈연 문제" 한국구비문학회 (31) : 83-114, 2010
24 김익균, "가족관계학" 교육과학사 2008
25 김열규, "家와 家門" 서강대 인문과학연구소 1988
26 최기숙, "‘효/불효’ 설화에 나타난 가족 관계의 문학적 상상과 문화 문법에 관한 비판적 독해 -‘불효를 이용해 효도하게 하기(431-1)’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구비문학회 (31) : 115-156, 2010
27 심민호, "<명당을 훔친 딸> 설화의 형성 배경에 관한 연구 -17세기 조선에서 행해진 나쁜 딸 만들기 프로젝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1 (11): 301-330,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