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오복녀 창 서도잡가 시김새 연구 : 초로인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4969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중앙대학교 대학원 , 한국음악학과 성악전공 , 2015. 8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Sigimsae of Seodo Jabga in O Bok-nyeo's Chang : focusing on 'Choroinsaeng'

      • 형태사항

        v, 80장 : 삽화, 악보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형환
        참고문헌수록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igimsae of Seodo Jabga in O Bok-nyeo’s chang, focusing on ‘Choroinsaeng. For this, the author looked into the significance and lyrical contents of Seodo Jabga and then analyzed the sigimsae of Seodo Jabga dividing it into a vocal sigimsae and a decorative sigimsae, focusing on the melody of Choroinsaeng.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Choroinsaeng of Seodo Jabga in O Bok-nyeo’s chang used total 109 jangdans and they consisted of 2 & 3-beat semachi jangdans, 4-beat jajinmori jangdans and 5-beat composite jangdans, and its Susimgajo was based on 6-beat jangdans and 3, 4 and 5-beat jangdans were compositely used according to the phrase of lyrics. Lyrics consisted of total 24 phrases and expressed the futility of life as fleeting as the dew on the grass (choro), such as yearning for endless life, lamentation of flying time, frailty of life, vanity of life, and admonitions of doing what one wants to do while he is still alive.
      Choroinsaeng of Seodo Jabga in O Bok-nyeo’s chang used total 10 vocal sigimsaes. Regarding a ddeneun mok (vibrating vocal chords) (?), it used such ddeneun moks as one interval intensive ddeneun moks, minor 3rd interval or major 3rd interval descended ddeneun moks, or major 2nd interval, perfect 4th interval or minor 3rd interval ascended ddeneun moks. Regarding a ggeokneun mok (bending vocal chords) (=), it used such ggeokneun moks as perfect 4th interval, major 2nd interval or increasing 4th interval descended melodic progresses. Regarding a batchineun mok (supporting vocal chords) (Y), it was used at the end of madi, just before entering sigimsaes, and at the first sound of melodic progress. Regarding an oreunaerineun mok (ascending and descending vocal chords) (Z), it used major 2nd interval, major 3rd interval, minor 2nd interval, or minor 3rd interval ascending/descending melodic progresses. Regarding a naerineun mok (descending vocal chords) (┓), it used such melodic progresses which using the sound below major 2nd interval, major 3rd interval, minor 2nd interval, or minor 3rd interval. And regarding an ollineun mok (ascending vocal chords) (┚), it used such melodic progresses which using the sound above major 2nd interval, minor 3rd interval, major 3rd interval, or perfect 5th interval.
      Regarding a delicately ddeoneun mok (vibrating vocal chords) (?), it used such delicately ddeoneunmoks of which melodies were progressing ascendingly by one interval, perfect 5th interval, major 2nd interval, perfect 5th interval, or major 3rd interval. Regarding a mileoollineun mok (pushing-up vocal chords) (?), it used such mileoollineun moks of which melodies were progressing ascendingly by minor 2nd interval or major 2nd interval. Regarding a pyeong mok (flat vocal chords) (?), it used such sounds as G (mi), E♭ (do), A♭ (fa), C (la), D (si), F (re) as continuant sounds, or such melodic progresses which ascending/descending by major 3rd interval, major 2nd interval, or perfect 4th interval. Regarding a heulleonaerineun mok (sliding-down vocal chords) (?), it used such melodies which descending by minor 3rd interval or major 2nd interval.
      Choroinsaeng of Seodo Jabga in O Bok-nyeo’s chang used total 5 decorative sigimsaes. Regarding a ggineun mok (getting jammed vocal chords) (┳), it used a ggineun mok even before ascending/descending perfect 5th interval and perfect 4th interval. Regarding a middle ggineun mok (┏), it used a ggineun mok in one interval without melodic progress as well as in ascending/descending melodic progresses. Regarding a chineun mok (hitting vocal chords) (?), it used a chineun mok when melodies were progressing ascendingly by one interval, major 3rd interval, minor 3rd interval, perfect 5th interval, or perfect 4th interval, or descendingly by minor 3rd interval or major 2nd interval. A slightly chineun mok (hitting vocal chords) (D) was weaker in sound than a chineun mok. A jjireuneun mok (poking vocal chords) was presented in one interval and used in the last melody and in the portion of melodic connection.
      In this study, the author examined Sedo Jabga’s melody-oriented application of sigimsaes, focusing on the lyrical contents and sigimsae kinds of Choroinsaeng of Sedo Jabga, sung by master singer O Bok-nyeo. This study was initiated because not many studies on Seodo Sori or Seodo Jabga had been carried out. The author hopes many following-up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Seodo Jabga will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focusing on its melody-oriented sigimsaes, and its lyrics and jangdan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igimsae of Seodo Jabga in O Bok-nyeo’s chang, focusing on ‘Choroinsaeng. For this, the author looked into the significance and lyrical contents of Seodo Jabga and then analyzed the sigimsae of Seodo J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igimsae of Seodo Jabga in O Bok-nyeo’s chang, focusing on ‘Choroinsaeng. For this, the author looked into the significance and lyrical contents of Seodo Jabga and then analyzed the sigimsae of Seodo Jabga dividing it into a vocal sigimsae and a decorative sigimsae, focusing on the melody of Choroinsaeng.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Choroinsaeng of Seodo Jabga in O Bok-nyeo’s chang used total 109 jangdans and they consisted of 2 & 3-beat semachi jangdans, 4-beat jajinmori jangdans and 5-beat composite jangdans, and its Susimgajo was based on 6-beat jangdans and 3, 4 and 5-beat jangdans were compositely used according to the phrase of lyrics. Lyrics consisted of total 24 phrases and expressed the futility of life as fleeting as the dew on the grass (choro), such as yearning for endless life, lamentation of flying time, frailty of life, vanity of life, and admonitions of doing what one wants to do while he is still alive.
      Choroinsaeng of Seodo Jabga in O Bok-nyeo’s chang used total 10 vocal sigimsaes. Regarding a ddeneun mok (vibrating vocal chords) (?), it used such ddeneun moks as one interval intensive ddeneun moks, minor 3rd interval or major 3rd interval descended ddeneun moks, or major 2nd interval, perfect 4th interval or minor 3rd interval ascended ddeneun moks. Regarding a ggeokneun mok (bending vocal chords) (=), it used such ggeokneun moks as perfect 4th interval, major 2nd interval or increasing 4th interval descended melodic progresses. Regarding a batchineun mok (supporting vocal chords) (Y), it was used at the end of madi, just before entering sigimsaes, and at the first sound of melodic progress. Regarding an oreunaerineun mok (ascending and descending vocal chords) (Z), it used major 2nd interval, major 3rd interval, minor 2nd interval, or minor 3rd interval ascending/descending melodic progresses. Regarding a naerineun mok (descending vocal chords) (┓), it used such melodic progresses which using the sound below major 2nd interval, major 3rd interval, minor 2nd interval, or minor 3rd interval. And regarding an ollineun mok (ascending vocal chords) (┚), it used such melodic progresses which using the sound above major 2nd interval, minor 3rd interval, major 3rd interval, or perfect 5th interval.
      Regarding a delicately ddeoneun mok (vibrating vocal chords) (?), it used such delicately ddeoneunmoks of which melodies were progressing ascendingly by one interval, perfect 5th interval, major 2nd interval, perfect 5th interval, or major 3rd interval. Regarding a mileoollineun mok (pushing-up vocal chords) (?), it used such mileoollineun moks of which melodies were progressing ascendingly by minor 2nd interval or major 2nd interval. Regarding a pyeong mok (flat vocal chords) (?), it used such sounds as G (mi), E♭ (do), A♭ (fa), C (la), D (si), F (re) as continuant sounds, or such melodic progresses which ascending/descending by major 3rd interval, major 2nd interval, or perfect 4th interval. Regarding a heulleonaerineun mok (sliding-down vocal chords) (?), it used such melodies which descending by minor 3rd interval or major 2nd interval.
      Choroinsaeng of Seodo Jabga in O Bok-nyeo’s chang used total 5 decorative sigimsaes. Regarding a ggineun mok (getting jammed vocal chords) (┳), it used a ggineun mok even before ascending/descending perfect 5th interval and perfect 4th interval. Regarding a middle ggineun mok (┏), it used a ggineun mok in one interval without melodic progress as well as in ascending/descending melodic progresses. Regarding a chineun mok (hitting vocal chords) (?), it used a chineun mok when melodies were progressing ascendingly by one interval, major 3rd interval, minor 3rd interval, perfect 5th interval, or perfect 4th interval, or descendingly by minor 3rd interval or major 2nd interval. A slightly chineun mok (hitting vocal chords) (D) was weaker in sound than a chineun mok. A jjireuneun mok (poking vocal chords) was presented in one interval and used in the last melody and in the portion of melodic connection.
      In this study, the author examined Sedo Jabga’s melody-oriented application of sigimsaes, focusing on the lyrical contents and sigimsae kinds of Choroinsaeng of Sedo Jabga, sung by master singer O Bok-nyeo. This study was initiated because not many studies on Seodo Sori or Seodo Jabga had been carried out. The author hopes many following-up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Seodo Jabga will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focusing on its melody-oriented sigimsaes, and its lyrics and jangda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오복녀 창 서도잡가 중 초로인생에 대한 시김새 중심으로 분석한 내용은 서도잡가의 일반적 의의와 사설내용 분석, 서도잡가에서 사용되는 시김새 분석을 위해 창법적 시김새 와 장식적 시김새로 구분하여 초로인생 선율을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복녀 창 서도잡가 중 초로인생의 사용 장단은 총109장단으로 구분하였으며 2박, 3박계열 세마치장단, 4박계열 자진모리장단, 혼합박 으로 된 5박 장단, 수심가조는 6박을 기준으로 3박, 4박, 5박을 가사 구절에 맞게 장단을 바꿔가면서 장단을 친다. 사설은 총24단락으로 구분하였으며 사설내용은 무한 인생에 대한 성찰, 세월이 가는 것에 대한 한탄, 인생 무상함을 엮고 있는 내용, 인생의 부질없음, 살아생전에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잘살아야 한다는 내용으로 초로와 같은 인생의 허무함을 표현하는 내용으로 되어있다.
      오복녀 창 서도잡가 중 초로인생에서 창법적 시김새의 종류는 총 10개의 시김새를 사용하였다. 떠는 목(?)은 한 음정을 중심적으로 떠는 목, 단3도, 장3도 하행해서 떠는 목과 장2도, 완전4도, 단3도 상행에서 떠는 목을 사용하며, 꺾는 목(=)은 완전4도, 장2도, 증4도 하행 선율 진행 되는 목을 사용하며, 받치는 목(Y)은 마디 끝 부분, 시김새 들어가기 전, 선율이 진행되는 첫 음을 한 음에서 사용 된다. 오르내리는 목(Z)은 장2도, 장3도, 단2도, 단3도 상,하행 선율 진행한다, 내리는 목(┓)은 장2도, 장3도, 단2도, 단3도 아래 음을 사용하는 선율진행이 사용되며. 올리는 목(┚)은 장2도, 단3도, 장3도, 완전5도 위에 음을 사용하는 선율로 진행 된다.
      잘게 떠는 목(?)은 한 음정, 완전5도, 장2도, 완전5도, 장3도 상행으로 선율이 진행되면서 잘게 떠는 목이 사용되며. 밀어 올리는 목(?)은 단3도, 장2도, 상행으로 선율이 진행되면서 밀어 올리는 목이 사용된다. 평 목(?)은 G(미), E♭(도), A♭(파), C(라), D(시), F(레) 음을 지속음으로 사용하거나 장3도, 장2도, 완전4도 상,하행 선율을 사용한다. 흘러내리는 목(?)은 단3도, 장2도 하행 선율이 사용됨을 알 수 있다.
      오복녀 창 서도잡가 중 초로인생에서 장식적 시김새의 종류는 총5개의 시김새를 사용한다. 끼는 목(┳)은 완전5도, 완전4도 상,하행 전에도 끼는 목을 사용하며, 중간 끼는 목(┏) 은 선율진행 없이 한 음정에서만 사용되며, 상,하행 진행되는 선율에도 사용한다. 치는 목(?)은 한 음정, 장3도, 단3도, 완전5도, 완전4도 상행으로 단3도, 장2도 하행으로 진행 선율이 진행되면서 치는 목을 사용한다. 살짝 치는 목(D)은 치는 목 보다 약하게 내는 소리, 찌르는 목(?)은 한 음정에서 표현되어 지며 마지막 선율, 선율이 이어지는 부분에 찌르는 목이 사용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서도잡가 중 오복녀 명창의 초로인생 잡가에 대한 사설내용과 시김새 종류에 중점을 두고 서도잡가의 선율에 따른 시김새의 적용을 분석하였다. 서도소리 및 서도잡가의 시김새 와 관련된 연구가 미흡한 이유로 본 연구를 진행 하였으며, 이후 서도소리 발전과 서도잡가의 선율에 따른 시김새, 사설연구, 장단연구 발전을 위하여 후속 연구들이 계속해서 이어지기를 바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오복녀 창 서도잡가 중 초로인생에 대한 시김새 중심으로 분석한 내용은 서도잡가의 일반적 의의와 사설내용 분석, 서도잡가에서 사용되는 시김새 분석을 위해 창법적 시김새 와 ...

      본 논문은 오복녀 창 서도잡가 중 초로인생에 대한 시김새 중심으로 분석한 내용은 서도잡가의 일반적 의의와 사설내용 분석, 서도잡가에서 사용되는 시김새 분석을 위해 창법적 시김새 와 장식적 시김새로 구분하여 초로인생 선율을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복녀 창 서도잡가 중 초로인생의 사용 장단은 총109장단으로 구분하였으며 2박, 3박계열 세마치장단, 4박계열 자진모리장단, 혼합박 으로 된 5박 장단, 수심가조는 6박을 기준으로 3박, 4박, 5박을 가사 구절에 맞게 장단을 바꿔가면서 장단을 친다. 사설은 총24단락으로 구분하였으며 사설내용은 무한 인생에 대한 성찰, 세월이 가는 것에 대한 한탄, 인생 무상함을 엮고 있는 내용, 인생의 부질없음, 살아생전에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잘살아야 한다는 내용으로 초로와 같은 인생의 허무함을 표현하는 내용으로 되어있다.
      오복녀 창 서도잡가 중 초로인생에서 창법적 시김새의 종류는 총 10개의 시김새를 사용하였다. 떠는 목(?)은 한 음정을 중심적으로 떠는 목, 단3도, 장3도 하행해서 떠는 목과 장2도, 완전4도, 단3도 상행에서 떠는 목을 사용하며, 꺾는 목(=)은 완전4도, 장2도, 증4도 하행 선율 진행 되는 목을 사용하며, 받치는 목(Y)은 마디 끝 부분, 시김새 들어가기 전, 선율이 진행되는 첫 음을 한 음에서 사용 된다. 오르내리는 목(Z)은 장2도, 장3도, 단2도, 단3도 상,하행 선율 진행한다, 내리는 목(┓)은 장2도, 장3도, 단2도, 단3도 아래 음을 사용하는 선율진행이 사용되며. 올리는 목(┚)은 장2도, 단3도, 장3도, 완전5도 위에 음을 사용하는 선율로 진행 된다.
      잘게 떠는 목(?)은 한 음정, 완전5도, 장2도, 완전5도, 장3도 상행으로 선율이 진행되면서 잘게 떠는 목이 사용되며. 밀어 올리는 목(?)은 단3도, 장2도, 상행으로 선율이 진행되면서 밀어 올리는 목이 사용된다. 평 목(?)은 G(미), E♭(도), A♭(파), C(라), D(시), F(레) 음을 지속음으로 사용하거나 장3도, 장2도, 완전4도 상,하행 선율을 사용한다. 흘러내리는 목(?)은 단3도, 장2도 하행 선율이 사용됨을 알 수 있다.
      오복녀 창 서도잡가 중 초로인생에서 장식적 시김새의 종류는 총5개의 시김새를 사용한다. 끼는 목(┳)은 완전5도, 완전4도 상,하행 전에도 끼는 목을 사용하며, 중간 끼는 목(┏) 은 선율진행 없이 한 음정에서만 사용되며, 상,하행 진행되는 선율에도 사용한다. 치는 목(?)은 한 음정, 장3도, 단3도, 완전5도, 완전4도 상행으로 단3도, 장2도 하행으로 진행 선율이 진행되면서 치는 목을 사용한다. 살짝 치는 목(D)은 치는 목 보다 약하게 내는 소리, 찌르는 목(?)은 한 음정에서 표현되어 지며 마지막 선율, 선율이 이어지는 부분에 찌르는 목이 사용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서도잡가 중 오복녀 명창의 초로인생 잡가에 대한 사설내용과 시김새 종류에 중점을 두고 서도잡가의 선율에 따른 시김새의 적용을 분석하였다. 서도소리 및 서도잡가의 시김새 와 관련된 연구가 미흡한 이유로 본 연구를 진행 하였으며, 이후 서도소리 발전과 서도잡가의 선율에 따른 시김새, 사설연구, 장단연구 발전을 위하여 후속 연구들이 계속해서 이어지기를 바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목적 1
      •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4
      • 3. 선행연구 고찰 7
      • Ⅱ. 서도잡가 개관 9
      • Ⅰ. 서 론 1
      • 1. 연구목적 1
      •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4
      • 3. 선행연구 고찰 7
      • Ⅱ. 서도잡가 개관 9
      • 1. 서도소리 역사적 의의 9
      • 2. 서도소리의 분류 11
      • 3. 서도잡가의 음악적 특징 13
      • Ⅲ. 사설내용과 시김새 분석 14
      • 1. 초로인생 사설내용 분석 14
      • 1) 제1단락에서 제5단락의 사설내용 14
      • 2) 제6단락에서 제16단락의 사설내용 15
      • 3) 제17단락에서 제22단락의 사설내용 17
      • 4) 제23단락에서 제 24단락의 사설내용 19
      • 2. 서도잡가 시김새 분석 21
      • 1) 시김새 종류분석 22
      • (1) 창법적 시김새 25
      • (2) 장식적 시김새 27
      • 2) 선율진행과 시김새 분석 28
      • (1) 창법적 시김새 28
      • (2) 장식적 시김새 52
      • Ⅳ. 결 론 61
      • 참고문헌 67
      • <부 록> 70
      • 국문초록 75
      • Abstract 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