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오복녀 창 서도잡가 중 초로인생에 대한 시김새 중심으로 분석한 내용은 서도잡가의 일반적 의의와 사설내용 분석, 서도잡가에서 사용되는 시김새 분석을 위해 창법적 시김새 와 ...
본 논문은 오복녀 창 서도잡가 중 초로인생에 대한 시김새 중심으로 분석한 내용은 서도잡가의 일반적 의의와 사설내용 분석, 서도잡가에서 사용되는 시김새 분석을 위해 창법적 시김새 와 장식적 시김새로 구분하여 초로인생 선율을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복녀 창 서도잡가 중 초로인생의 사용 장단은 총109장단으로 구분하였으며 2박, 3박계열 세마치장단, 4박계열 자진모리장단, 혼합박 으로 된 5박 장단, 수심가조는 6박을 기준으로 3박, 4박, 5박을 가사 구절에 맞게 장단을 바꿔가면서 장단을 친다. 사설은 총24단락으로 구분하였으며 사설내용은 무한 인생에 대한 성찰, 세월이 가는 것에 대한 한탄, 인생 무상함을 엮고 있는 내용, 인생의 부질없음, 살아생전에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잘살아야 한다는 내용으로 초로와 같은 인생의 허무함을 표현하는 내용으로 되어있다.
오복녀 창 서도잡가 중 초로인생에서 창법적 시김새의 종류는 총 10개의 시김새를 사용하였다. 떠는 목(?)은 한 음정을 중심적으로 떠는 목, 단3도, 장3도 하행해서 떠는 목과 장2도, 완전4도, 단3도 상행에서 떠는 목을 사용하며, 꺾는 목(=)은 완전4도, 장2도, 증4도 하행 선율 진행 되는 목을 사용하며, 받치는 목(Y)은 마디 끝 부분, 시김새 들어가기 전, 선율이 진행되는 첫 음을 한 음에서 사용 된다. 오르내리는 목(Z)은 장2도, 장3도, 단2도, 단3도 상,하행 선율 진행한다, 내리는 목(┓)은 장2도, 장3도, 단2도, 단3도 아래 음을 사용하는 선율진행이 사용되며. 올리는 목(┚)은 장2도, 단3도, 장3도, 완전5도 위에 음을 사용하는 선율로 진행 된다.
잘게 떠는 목(?)은 한 음정, 완전5도, 장2도, 완전5도, 장3도 상행으로 선율이 진행되면서 잘게 떠는 목이 사용되며. 밀어 올리는 목(?)은 단3도, 장2도, 상행으로 선율이 진행되면서 밀어 올리는 목이 사용된다. 평 목(?)은 G(미), E♭(도), A♭(파), C(라), D(시), F(레) 음을 지속음으로 사용하거나 장3도, 장2도, 완전4도 상,하행 선율을 사용한다. 흘러내리는 목(?)은 단3도, 장2도 하행 선율이 사용됨을 알 수 있다.
오복녀 창 서도잡가 중 초로인생에서 장식적 시김새의 종류는 총5개의 시김새를 사용한다. 끼는 목(┳)은 완전5도, 완전4도 상,하행 전에도 끼는 목을 사용하며, 중간 끼는 목(┏) 은 선율진행 없이 한 음정에서만 사용되며, 상,하행 진행되는 선율에도 사용한다. 치는 목(?)은 한 음정, 장3도, 단3도, 완전5도, 완전4도 상행으로 단3도, 장2도 하행으로 진행 선율이 진행되면서 치는 목을 사용한다. 살짝 치는 목(D)은 치는 목 보다 약하게 내는 소리, 찌르는 목(?)은 한 음정에서 표현되어 지며 마지막 선율, 선율이 이어지는 부분에 찌르는 목이 사용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서도잡가 중 오복녀 명창의 초로인생 잡가에 대한 사설내용과 시김새 종류에 중점을 두고 서도잡가의 선율에 따른 시김새의 적용을 분석하였다. 서도소리 및 서도잡가의 시김새 와 관련된 연구가 미흡한 이유로 본 연구를 진행 하였으며, 이후 서도소리 발전과 서도잡가의 선율에 따른 시김새, 사설연구, 장단연구 발전을 위하여 후속 연구들이 계속해서 이어지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