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 문 초 록 본고는 2000년대 이래 전통공연에서 보이는 새로운 흐름인 전통공연예술을 기반으로 한 창작극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필자는 '전통공연예술극'을 본 논문의 논의의 대상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357644
서울 : 한국예술종합학교, 2017
학위논문(예술전문사) -- 한국예술종합학교 , 연극학과 연극학전공 , 2017.2
2017
한국어
전통공연예술극 ; 전통공연예술의 현대화 ; 전통공연을 기반으로 한 창작극 ; 국악뮤지컬집단 타루 ; 연희집단 The 광대 ; 판소리만들기 자 ; 운현궁로맨스 ; 판소리햄릿프로젝트 ; 홀림낚시 ; 굿모닝광대극 ; 사천가 ; 이방인의 노래
서울
170 ; 26 cm
지도교수: 김미희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 문 초 록 본고는 2000년대 이래 전통공연에서 보이는 새로운 흐름인 전통공연예술을 기반으로 한 창작극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필자는 '전통공연예술극'을 본 논문의 논의의 대상이 ...
국 문 초 록
본고는 2000년대 이래 전통공연에서 보이는 새로운 흐름인 전통공연예술을 기반으로 한 창작극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필자는 '전통공연예술극'을 본 논문의 논의의 대상이 되는 '전통공연예술을 기반으로 창작된 극'의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2000년대 이후 젊은 전통공연예술가들이 자발적으로 연극을 수용하여 작품을 꾸준히 발표하고, 자생적 제작기법을 갖춘 세 단체-‘국악뮤지컬집단 타루’, ‘연희집단 The 광대’, ‘판소리만들기 자’-의 공연작품들을 중심으로 전통공연예술 계승 양상을 살펴본다. 전통공연예술극에서 보이는 이상의 새로운 현상의 원인과 배경, 그 현황, 그리고 그 의미를 조명하여 전통공연예술의 방향성에 대해 제고하고자 했다.
본론의 1장에서는 전통공연예술극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전통담론의 흐름을 알아보았다. 전통의 여러 개념 중에서 문화적 전통(cultural tradition)의 방향이 전통의 창조적 수용의 예가 될 수 있음을 밝혔다.
2장에서는 2000년대 이후 젊은 전통공연예술가들에 의해 창단된 전통공연예술극 단체와 작품을 분석하여 현재 전통공연예술극의 유형을 확인했다. 국악뮤지컬집단 타루는 전통공연예술극의 출발로 전통공연과 연극의 접목을 통해 전통공연예술의 현대화와 대중화를 꾀하고 있으며, 연희집단 The 광대는 전통연희의 현대화를 위해 전통연희의 구조를 무대화하는 작업을 선보였고, 판소리만들기 자는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작품을 판소리로 각색하여 판소리의 대중화를 시도하고 있다.
3장에서는 이상의 전통공연예술극이 나오게 된 사회적·문화적 배경을 분석하여 그 의의를 찾는다. 전통공연예술극은 서구연극의 드라마구조를 적극적으로 도입·수용했고, 전통공연예술과 드라마의 접목을 시각화하기 위해 전문 연극 연출가들과 협업하여 대중성 확보에 성공했다. 그리하여 전통공연예술극은 전통공연예술의 동시대성을 확보하는 주된 동인이 되었다.
결론적으로 극적양식을 갖추고 무대적 미학을 획득한 전통공연예술극은 동시대 관객들과 공감하며 전통공연예술을 보편적인 오늘의 예술로 가깝게 느끼도록 했다는 점에서, 전통공연예술의 바람직한 현대적 계승 방향을 제시한 사례라 할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