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주민의 친족과 민족 유대: 중국 조선족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Kinship and Ethnic Ties of North Korean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Korean-Chine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657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trace the journey of mobility and settlement of North Koreans in terms of kinship and ethnicity. At the intersection of reform and opening-up in China and the economic crisis in North Korea, North Koreans returnees from China reco...

      This article aims to trace the journey of mobility and settlement of North Koreans in terms of kinship and ethnicity. At the intersection of reform and opening-up in China and the economic crisis in North Korea, North Koreans returnees from China reconnected the ties with the forgotten relatives in Yanbian and their cross-border mobilities have increased. In this sense, this article investigates how the meaning of kinship and ethnic relations were changed and performed by North Koreans in pursuit of survival strategies. North Koreans claimed and developed kinship and ethnic ties as a critical site that produces the economic value for survival dependent on socio-cultural circumstances. However, the negative experiences in the ethnic enclaves in China led them reconstruct the relatedness and the ethnic boundaries through distancing from their relatives and ethnic communities.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flexible subjectivity performed by North Koreans bring possibilities to create another alternative strategies and cultural practi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북·중 접경지역 북한주민의 이동과 중국에서의 생활을 친족과 민족 유대라는 측면에서 분석한다. 중국의 개혁개방과 북한의 경제난을 기점으로, 문화대혁명 시기 단절되었던 북·�...

      이 글은 북·중 접경지역 북한주민의 이동과 중국에서의 생활을 친족과 민족 유대라는 측면에서 분석한다. 중국의 개혁개방과 북한의 경제난을 기점으로, 문화대혁명 시기 단절되었던 북·중 간의 친족 연결은 다시 재개되었고 양편의 이동도 늘어났다. 본 연구는 중국에 친척이 있는 북한주민이 생존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친족/민족 유대의 의미가 어떻게 변화되고, 어떠한 방식으로 수행되는지를 살펴본다. 중국연고 북한주민은 사회·문화적 환경 변화에 따라 친족과 민족 유대를 경제적 이해를 중심으로 생존을 위한 가치를 생산해내는 현장으로 만들어 갔다. 하지만 중국 체류 기간 북한주민은 민족 커뮤니티에서 어긋남을 경험하면서 중국 친척, 조선족 사회와 거리두기를 통해 관계성과 민족 경계를 재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중국연고 북한주민이 수행하는 유연한 행위 주체성은 또 다른 대안 전략과 문화적 실천을 창조해낼 가능성을 함의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미경, "탈북여성과의 심층면접을 통해서 본 경제난 이후 북한여성의 지위변화 전망" 한국가족학회 18 (18): 33-55, 2006

      2 박민자, "중국조선족 현상태분석 및 전망연구" 연변대학교 출판사 2000

      3 한국문화인류학회, "중국 흑룡강성 한인동포의 생활문화" 국립민속박물관 1998

      4 강주원, "중·조 국경 도시 단동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 : 북한사람, 북한화교, 조선족, 한국사람 사이의 관계를 통해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5 허명철, "조선족공동체와 정체의식" 인문학연구원 52 : 307-328, 2011

      6 최우길, "조선족 정체성 다시 읽기: 세 차원의 의식에 관한 시론" 재외한인학회 (34) : 95-131, 2014

      7 마이클 새머스, "이주" 푸른길 2013

      8 김성경, "이동하는 북한 여성의 원거리 모성: 친밀성의 재구성과 수치심의 가능성" 한국문화사회학회 23 : 265-309, 2017

      9 임순희, "식량난과 북한여성의 역할 및 의식변화" 통일연구원 2004

      10 조정아,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 통일연구원 2008

      1 이미경, "탈북여성과의 심층면접을 통해서 본 경제난 이후 북한여성의 지위변화 전망" 한국가족학회 18 (18): 33-55, 2006

      2 박민자, "중국조선족 현상태분석 및 전망연구" 연변대학교 출판사 2000

      3 한국문화인류학회, "중국 흑룡강성 한인동포의 생활문화" 국립민속박물관 1998

      4 강주원, "중·조 국경 도시 단동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 : 북한사람, 북한화교, 조선족, 한국사람 사이의 관계를 통해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5 허명철, "조선족공동체와 정체의식" 인문학연구원 52 : 307-328, 2011

      6 최우길, "조선족 정체성 다시 읽기: 세 차원의 의식에 관한 시론" 재외한인학회 (34) : 95-131, 2014

      7 마이클 새머스, "이주" 푸른길 2013

      8 김성경, "이동하는 북한 여성의 원거리 모성: 친밀성의 재구성과 수치심의 가능성" 한국문화사회학회 23 : 265-309, 2017

      9 임순희, "식량난과 북한여성의 역할 및 의식변화" 통일연구원 2004

      10 조정아,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 통일연구원 2008

      11 조정아, "북한 주민의 의식과 정체성: 자아의 독립, 국가의 그늘,욕망의 부상" 통일연구원 2010

      12 통일교육원, "북한 이해" 통일교육원 2000

      13 이우영, "북한 도시주민의 사적 영역 연구" 한울 2008

      14 장세훈, "북한 도시 주민의 사회적 관계망 변화:청진·신의주·해산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39 (39): 100-134, 2005

      15 이옥희, "북 · 중 접경지역: 전환기 북 · 중 접경지역의 도시네트워크" 푸른길 2011

      16 정은이, "동포경제네트워크의 형성과정과 북한의 개방: 북중 접경지대 재중조선인과 중국연고자의 삶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17 (17): 127-150, 2012

      17 박종철, "귀국자를 통해서 본 북한사회" 109 : 1-23, 2012

      18 박현선, "경제난 이후 북한 가족의 사회연결망 강화전략" 2 : 141-171, 2002

      19 심의섭, "北 · 中 보따리 무역이 북한의 시장활동에 미친 영향" 20 : 63-85, 2001

      20 Haggard, Stephan, "Witness to Transformation: Refugee Insights into North Korea"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2011

      21 Sahlins, Marshall, "What Kinship Is and Is No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3

      22 Bhabha, Homi K., "The Location of Culture" Routledge 1994

      23 Geertz, Clifford,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s" Basic Books 1973

      24 Shils, Edward, "Primordial, Personal, Sacred and Civil Ties: Some Particular Observations on the Relationships of Sociological Research and Theory" 8 (8): 130-145, 1957

      25 Lankov, Andrei, "North Korean Refugees in North China" 44 (44): 856-873, 2004

      26 Plsek, Ivo, "Mobile Subjects: Boundaries and Identities in the Modem Korean Diaspora" University of California 183-215, 2013

      27 Lakoff, George, "Metaphors We Live B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0

      28 Valtchinova, Galia, "Kinship and Transborder Exchange at the Bulgarian-Serbian border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4) : 2006

      29 Smith, Hazel, "Explaining North Korean Migration to China"

      30 Fenton, Steve, "Ethnicity" Polity Press 2010

      31 Carsten, Janet, "Culture of Relatedness: New Approaches to the Study of Kinship"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6, 2000

      32 Weeks, Kathi, "Constituting Feminist Subjects" Cornell University Press 1998

      33 Carsten, Janet, "After Kinship"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34 Schneider, David, "A Critique of the Study of Kinship"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북한연구원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19 1.24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