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 and Communication in Nursing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906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communication styl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Method: FromAugust 21 to September 22, 2009, 250 nursing stu...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communication styl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Method: FromAugust 21 to September 22, 2009, 250 nursing students were survey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consisting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communication style by Mucchielli and Roger, self-esteem scale byRosenberg, relationship change scale by Schiein and Guerney,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by Andrewsand Culter.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steem score by the motivation for applyingto nursing (p=.003). Positive correlations were noted betwee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 (r=.615,p<.001),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r=.515, p<.001), and interpersonal relation andcommunication competency (r=.569, p<.001). Self-esteem (p<.001) and interpersonal relation (p<.001) werefound to be related to communication competency. The most frequent communication style were F(understanding and sympathy) style and D (probing and information gathering) style. Conclusion: In orderto increase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interpersonal relation and self-esteem need to beconsidered.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college communication education needs to be systematized andneeds to take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style into account, in order for the students to successfullyperform nursing ca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미, "해결중심 집단상담이 간호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 11 (11): 518-527, 2002

      2 박훈기, "한국 의사실기시험에서 환자 의사 상호 관계의 측정방향" 15-18, 2009

      3 전주연, "치위생과학생의자기표현이임상실습스트레스에미치는영향" 한국치위생과학회 7 (7): 89-96, 2007

      4 장익수, "주장훈련이 간호학생의 주장행동, 문제해결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13 (13): 239-248, 2002

      5 全錫均, "정신분열증 환자의 재활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崇實大學校 大學院 1995

      6 이정섭,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환자와의 의사소통 경험" 11 (11): 596-608, 2002

      7 김근곤, "전공 간 협력 프로젝트 학습이 대학생의 의사소통, 문제해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14 (14): 252-261, 2008

      8 전병제, "자아개념 측정가능성에 관한 연구" 11 : 107-130, 1974

      9 서이아, "일반간호사의 조직 내 의사소통 유형과 직무만족 및 간호업무성과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 17 (17): 317-332, 2008

      10 한미열, "일 대학병원 간호사들의 의사소통기술 훈련요구 조사 연구" 정신간호학회 11 (11): 443-451, 2002

      1 김현미, "해결중심 집단상담이 간호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 11 (11): 518-527, 2002

      2 박훈기, "한국 의사실기시험에서 환자 의사 상호 관계의 측정방향" 15-18, 2009

      3 전주연, "치위생과학생의자기표현이임상실습스트레스에미치는영향" 한국치위생과학회 7 (7): 89-96, 2007

      4 장익수, "주장훈련이 간호학생의 주장행동, 문제해결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13 (13): 239-248, 2002

      5 全錫均, "정신분열증 환자의 재활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崇實大學校 大學院 1995

      6 이정섭,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환자와의 의사소통 경험" 11 (11): 596-608, 2002

      7 김근곤, "전공 간 협력 프로젝트 학습이 대학생의 의사소통, 문제해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14 (14): 252-261, 2008

      8 전병제, "자아개념 측정가능성에 관한 연구" 11 : 107-130, 1974

      9 서이아, "일반간호사의 조직 내 의사소통 유형과 직무만족 및 간호업무성과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 17 (17): 317-332, 2008

      10 한미열, "일 대학병원 간호사들의 의사소통기술 훈련요구 조사 연구" 정신간호학회 11 (11): 443-451, 2002

      11 문선모, "인간관계훈련 집단상담 실시 효과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1980

      12 설기문, "인간관계와 정신건강" 학지사 262-274, 2004

      13 한국간호과학회, "인간관계와 전문의료커뮤니케이션 기법 개발 세미나"

      14 이헌석,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갈등해소양식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6 (16): 1-22, 2009

      15 노용균, "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 현황: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중심으로" 2009

      16 김안나, "생애능력 형성을 위한 고등교육체제의 질관리 현황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02

      17 이현숙, "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 의사소통 유형, 조직몰입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8

      18 서기자, "글쓰기치료가 대학생의 불안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77 : 167-188, 2009

      19 안효자, "간호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불안" 한국간호교육학회 12 (12): 224-228, 2006

      20 조남옥, "간호학생의 자기표현 수준과 임상실습 스트레스와의 관계 연구" 4 (4): 317-330, 1998

      21 이소우, "간호이론의 이해" 수문사 119-, 2000

      22 조남옥, "간호사의 인간관계 갈등과 의사소통에 관한 조사연구" 7 (7): 369-378, 2001

      23 박정원, "간호대학생의 자의식,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 성향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 18 (18): 351-360, 2009

      24 한금선,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유행, 자기효능감, 감정조절, 대처방법간의 관계" 정신간호학회 17 (17): 28-34, 2008

      25 이순희, "간호대학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관한 연구" 5 (5): 133-151, 2004

      26 Schiein S,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971

      27 Andrews G, "Stuttering therapy: The relation between changes in symptom level and attitudes" 39 : 312-319, 1974

      28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29 Teutsch C, "Patient-doctor communication" 87 (87): 1115-1145, 2003

      30 Thomas R, "Health communication" Springer 2006

      31 김효정, "Erickson의 의사소통 태도 척도(S-24)의 국내 적용을 위한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한국음성과학회 12 (12): 18-18, 2005

      32 신수자, "Encounter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효과" 12 (12): 23-46, 2005

      33 Lindop E, "A complementary therapy approach to the management of individual stress among student nurses" 18 (18): 1578-1585,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12-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Health Communication Society -> Korean Academy on Communication in Healthcar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3 0.79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