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최척전>의 동아그시 아특 징전란 디아스포라와 그 특징 = A Study on the East Asian Diaspora Characteristics of the War in Choi Chuk Je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최척전>이 전란 외상 치유의 목적성이 강한 작품임을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이 작품에 나타난 주요 인물들의 행적과 서사적 결구를 ‘전란 디아스포라’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그 결과 이 작품에는 다섯 종류의 디아스포라(Diaspora)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첫째는 임진왜란 전에 자신의 의사에 의해 형성된 디아스포라이다. 둘째는 전란으로 인해 자포자기한 상태에서 중국에 정착한 디아스포라이다. 셋째는 전란으로 인해 일본으로 강제 이주하는 과정에서 생긴 디아스포라이다. 넷째는 전란으로 인해 조선에 정착한 중국인 디아스포라이다. 그리고 다섯째는 타국에 정착한 혈육을 찾기 위해 새로운 가정을 꾸려 정착하는 디아스포라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확인된 <최척전>의 디아스포라는 일반적인 디아스포라와 큰 차이점이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통상적으로 디아스포라는 주류 민족에 의해 차별과 냉대를 받는 소수 약자의 성격이 강하다. 그런데 <최척전>에서는 그러한 모습은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대신 주류 국가에 속한 인물들과 상호 보완적 생존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종족이나 민족이 우선시 되는 것이 아니라 개별적 존재들의 수평적 관계 형성이 중심이 되고 있다.
      이는 역사적 현실 속의 임진왜란이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독해되는 것과 달리, 작품 속 디아스포라들은 다문화주의적 관점에서 수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최척전> 속에 등장하는 이러한 디아스포라들은 현실적으로 존재 했다기보다는 그러한 일이 있었으면 하는 바람 속에서 탄생된 상상적 디아스포라의 성격이 짙다. 이는 <최척전>이 16·17세기 동아시아 전란 체험을 고스란히 기록한 작품이 아니라는 것을 반증한다. 대신 이 작품은 동아시아 3국의 전란 상처에 대한 위안의 문학으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작가는 상상적 디아스포라들이 주류 국가들의 인물들에 의해 차별과 냉대를 받기 보다는, 그들과의 우호적 관계와 상호 공생 관계를 통해 가족과 재회하는 해피엔딩의 서사를 결구했다고 생각된다.
      번역하기

      이 글은 <최척전>이 전란 외상 치유의 목적성이 강한 작품임을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이 작품에 나타난 주요 인물들의 행적과 서사적 결구를 ‘전란 디아스포라’의...

      이 글은 <최척전>이 전란 외상 치유의 목적성이 강한 작품임을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이 작품에 나타난 주요 인물들의 행적과 서사적 결구를 ‘전란 디아스포라’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그 결과 이 작품에는 다섯 종류의 디아스포라(Diaspora)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첫째는 임진왜란 전에 자신의 의사에 의해 형성된 디아스포라이다. 둘째는 전란으로 인해 자포자기한 상태에서 중국에 정착한 디아스포라이다. 셋째는 전란으로 인해 일본으로 강제 이주하는 과정에서 생긴 디아스포라이다. 넷째는 전란으로 인해 조선에 정착한 중국인 디아스포라이다. 그리고 다섯째는 타국에 정착한 혈육을 찾기 위해 새로운 가정을 꾸려 정착하는 디아스포라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확인된 <최척전>의 디아스포라는 일반적인 디아스포라와 큰 차이점이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통상적으로 디아스포라는 주류 민족에 의해 차별과 냉대를 받는 소수 약자의 성격이 강하다. 그런데 <최척전>에서는 그러한 모습은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대신 주류 국가에 속한 인물들과 상호 보완적 생존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종족이나 민족이 우선시 되는 것이 아니라 개별적 존재들의 수평적 관계 형성이 중심이 되고 있다.
      이는 역사적 현실 속의 임진왜란이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독해되는 것과 달리, 작품 속 디아스포라들은 다문화주의적 관점에서 수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최척전> 속에 등장하는 이러한 디아스포라들은 현실적으로 존재 했다기보다는 그러한 일이 있었으면 하는 바람 속에서 탄생된 상상적 디아스포라의 성격이 짙다. 이는 <최척전>이 16·17세기 동아시아 전란 체험을 고스란히 기록한 작품이 아니라는 것을 반증한다. 대신 이 작품은 동아시아 3국의 전란 상처에 대한 위안의 문학으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작가는 상상적 디아스포라들이 주류 국가들의 인물들에 의해 차별과 냉대를 받기 보다는, 그들과의 우호적 관계와 상호 공생 관계를 통해 가족과 재회하는 해피엔딩의 서사를 결구했다고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earch that Choi Chuk Jeon has a purpose to heal the trauma of war. For this, the writer approached to the main characters' behaviors and the descriptive structure with a perspective of the war Diaspora. As the result of study, the fact was founded that there are five kinds of the Diaspora in this work. Firstly, there is the Diaspora stemmed from one's own will befor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second kind applies to the Diaspora settled down desperately in China. The third kind of the Diaspora was formed in process of being deported to Japan because of the war. The fourth kind of the Diaspora signified the Chinese settled down in Korea by war. The fifth kind of the Diaspora had a family in order to look for one's family members settled down in the other country.
      Through this analysis, the fact reveals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Diaspora and the Diaspora of Choi Chuk Jeon. Usually, the Diaspora has a feature to get poor treatment and discrimination from the majority folks. However, that characteristic doesn't appear in Choi Chuk Jeon. The Diaspora of this work has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folks of the majority in the country. An ethic or racial group problem wasn't concerned and it focused on the horizontal relationship formation of each individual member.
      Japanese invasion of the historical reality was accepted as the perspective of nationalism. On the other hand, the Diaspora of this work means to accept from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the Diaspora of Choi Chuk Jeon didn't exist in the real world but it stemmed from the imagination that the hope would happen in real world. This disproves that Choi Chuk Jeon doesn't contain the East Asian war experience of 16th,17th centuries. Instead, this work formed as the literature work to comfort people for suffering East Asian war of three countries. For this reason, the fictive Diaspora didn't get the poor treatment or discrimination and had a happy ending to be reunited with family through the complementary and friendly relationship.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search that Choi Chuk Jeon has a purpose to heal the trauma of war. For this, the writer approached to the main characters' behaviors and the descriptive structure with a perspective of the war Diaspora. As the result of study, the ...

      This study aims to search that Choi Chuk Jeon has a purpose to heal the trauma of war. For this, the writer approached to the main characters' behaviors and the descriptive structure with a perspective of the war Diaspora. As the result of study, the fact was founded that there are five kinds of the Diaspora in this work. Firstly, there is the Diaspora stemmed from one's own will befor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second kind applies to the Diaspora settled down desperately in China. The third kind of the Diaspora was formed in process of being deported to Japan because of the war. The fourth kind of the Diaspora signified the Chinese settled down in Korea by war. The fifth kind of the Diaspora had a family in order to look for one's family members settled down in the other country.
      Through this analysis, the fact reveals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Diaspora and the Diaspora of Choi Chuk Jeon. Usually, the Diaspora has a feature to get poor treatment and discrimination from the majority folks. However, that characteristic doesn't appear in Choi Chuk Jeon. The Diaspora of this work has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folks of the majority in the country. An ethic or racial group problem wasn't concerned and it focused on the horizontal relationship formation of each individual member.
      Japanese invasion of the historical reality was accepted as the perspective of nationalism. On the other hand, the Diaspora of this work means to accept from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the Diaspora of Choi Chuk Jeon didn't exist in the real world but it stemmed from the imagination that the hope would happen in real world. This disproves that Choi Chuk Jeon doesn't contain the East Asian war experience of 16th,17th centuries. Instead, this work formed as the literature work to comfort people for suffering East Asian war of three countries. For this reason, the fictive Diaspora didn't get the poor treatment or discrimination and had a happy ending to be reunited with family through the complementary and friendly relationship.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