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홍경래 난' 연구의 쟁점 = Major Issues on the Hong Kyŏngnae Rebell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171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후기 민중운동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이 전반적으로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홍경래 난에 관한 연구는 최근까지 지속되었다. 이는 삼남 지역에 비해 연구가 저조하였던 평안도 사회...

      조선후기 민중운동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이 전반적으로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홍경래 난에 관한 연구는 최근까지 지속되었다. 이는 삼남 지역에 비해 연구가 저조하였던 평안도 사회에 대한 분석이 본격화하고 홍경래 난에 대한 관심이 해외 학계로까지 확대된 데에서 비롯되었다. 이와 관련한 성과들은 평안도 사회와 홍경래 난에 대한 새로운 사실들의 축적은 물론 연구 시야의 확대를 가능하게 하였다. 하지만 저항의 배경과 주체, 성격 문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많은 논란과 쟁점이 남아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그것은 19세기 조선사회의 일반적인 모순과 평안도의 지역적 특성을 어떠한 방식으로 이해할 것인 가의 문제이다. 또한 저항을 주도한 세력은 과연 누구이며 이와 관련하여 오늘날 저항의 성격을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의 문제이기도 하다. 전반적으로 홍경래 난은 사회구조와 변동을 해명하기 위한 이론적 틀에 초점을 맞추었다가 실증을 통한 사실의 재구성으로 논점이 옮겨가고 있다. 이 과정에서 평안도 사회의 전반적인 변화와 연관시켜 저항의 다양한 측면을 조망해 보려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다시 지역 사회에 대한 관심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searchers, up to recently, have published not a few articles on the Hong Kyŏngnae rebellion contrary to the overall declination of scholarly attention to the people's movement during the later half of the Chosŏn dynasty. The steady attention to th...

      Researchers, up to recently, have published not a few articles on the Hong Kyŏngnae rebellion contrary to the overall declination of scholarly attention to the people's movement during the later half of the Chosŏn dynasty. The steady attention to this rebellion is mainly encouraged by the advanced analyses on the P'yŏngan province community through which further understanding on the area has been achieved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so, overseas scholars expanded their fields of interest to this subject. As the result new facts on the P'yŏngan province community and the rebellion have been revealed and new aspects rediscovered. The background, the subjects, and the characteris...

      also, overseas scholars expanded their fields of interest to this subject. As the result new facts on the P'yŏngan province community and the rebellion have been revealed and new aspects rediscovered. The background, the subjec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stance, however, still reserve many disputes and issues to be met. Considerations on the background of the Hong's rebellion are related to the viewpoints how we see the general contradictions of the nineteenth Chosŏn society and how we understand the attributes of the P'yŏngan province community. As the same manner, the matter of the subjects of the resistance shows how we locate the Hong Kyŏngnae rebellion in the landscape of revolutionary history. Summing up, the foci of the studies on the Hong Kyŏngnae rebellion has been transferred to reestablishment of the facts from the conventional tendency examining the rebellion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analyses of the social structure and its reformation. Attempts to relocate the Hong's rebellion in the context of the P'yŏngan province community so to view the dynamic aspects of the rebellion also have been carried on, and have inspired researches on the local societies of the Chosŏn dynas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지역의 특수성과 보편성
      • Ⅱ. 저항의 주도세력
      • Ⅲ. 농민의 참여와 그 성격
      • 참고문헌
      • 【국문요약】
      • Ⅰ. 지역의 특수성과 보편성
      • Ⅱ. 저항의 주도세력
      • Ⅲ. 농민의 참여와 그 성격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내현, "홍경래,왕조에 도전한 평민 지식인" 21 : 2005

      2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역사입문 2" 풀빛 1995

      3 고동환, "한국사 -중세사회의 해체 2-" 한길사 1994

      4 안병태, "한국근대경제와 일본 제국주의" 백산서당 1982

      5 권내현, "조선후기 평안도 재정 연구" 지식산업사 2004

      6 유승주, "조선후기 중국과의 무역사" 경인문화사 2002

      7 배항섭, "조선후기 민중운동 연구의 몇 가지 문제 ―임술민란을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12 (12): 207-241, 2008

      8 오수창, "조선후기 경상도, 평안도 지역차별의 비교" 역사문제연구소 (59) : 309-335, 2002

      9 홍희유, "봉건지배계급을 반대한 농민들의 투쟁(이조편)" 열사람 출판사 1989

      10 朴贊勝, "韓國中世社會 解體期의 諸問題(下)" 한울 1987

      1 권내현, "홍경래,왕조에 도전한 평민 지식인" 21 : 2005

      2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역사입문 2" 풀빛 1995

      3 고동환, "한국사 -중세사회의 해체 2-" 한길사 1994

      4 안병태, "한국근대경제와 일본 제국주의" 백산서당 1982

      5 권내현, "조선후기 평안도 재정 연구" 지식산업사 2004

      6 유승주, "조선후기 중국과의 무역사" 경인문화사 2002

      7 배항섭, "조선후기 민중운동 연구의 몇 가지 문제 ―임술민란을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12 (12): 207-241, 2008

      8 오수창, "조선후기 경상도, 평안도 지역차별의 비교" 역사문제연구소 (59) : 309-335, 2002

      9 홍희유, "봉건지배계급을 반대한 농민들의 투쟁(이조편)" 열사람 출판사 1989

      10 朴贊勝, "韓國中世社會 解體期의 諸問題(下)" 한울 1987

      11 鄭奭鍾, "洪景來亂의 性格" 7 : 1972

      12 鄭奭鍾, "洪景來亂과 內應勢力" 1 : 1985

      13 李佑成, "李朝漢文短篇集(下)" 一潮閣 1978

      14 方基中, "朝鮮後期 收取制度·民亂研究의 現況과 국사 敎科書의 敍述" 39 : 1986

      15 오수창, "朝鮮後期 平安道 社會發展 研究" 一潮閣 2002

      16 河原林靜美, "封建社會解體期의 社會經濟構造" 청아출판사 1982

      17 鶴園裕, "傳統時代의 民衆運動 上" 풀빛 1981

      18 동학농민혁명연구소, "『동학농민혁명 제113주년 기념 학술대회 - 동학농민혁명 전후 국내외 민중운동사 연구 동향과 과제』발표자료집"

      19 동학농민혁명연구소, "『동학농민혁명 제113주년 기념 학술대회 - 동학농민혁명 전후 국내외 민중운동사 연구 동향과 과제』발표자료집"

      20 金明淑, "『西繡日記』를 통해 본 19세기 평안도 지방의 사회상" 한양대 한국학연구소 35 : 2001

      21 Sun Joo Kim, "Mardinality and Subversion in Korea ; The Hong KyOngnae Rebellion of 1812"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7

      22 Kwon Naehyun, "Choson Qing Relations and the Society of P’yongan Province in the Late Chosdn Period" Harvard University 2005

      23 Anders Karlsson, "Chonggamnok and the ideology of the Hong Kyongnae Rebellion" 2001

      24 오수창, "19세기 초 평안도 사회문제에 대한 지방민과 중앙관리의 인식과 정책"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6) : 125-156, 2005

      25 오수창, "19세기 초 중국 八卦敎亂과 비교한 洪景來亂의 정치적 특성" 대동문화연구원 (56) : 209-252, 2006

      26 고석규, "19세기 조선의 향촌사회연구 -지배와 저항의 구조-"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27 오수창, "1894년 농민전쟁연구 2 -18·19세기의 농민항쟁" 역사비평사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9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8-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인물사연구소 -> (사)한국인물사연구회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64 1.88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