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윤동주 문학 연구의 트랜스내셔널리즘적 가능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643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시인 윤동주가 간도 이주민의 후손으로서 그의 시세계에는 조선과 일본을 유학하며 체험한 이민과 이산의 경험이 내재해 있음에 주목하였다. 그의 이산이 학업이라는 자발적인 형태...

      본고는 시인 윤동주가 간도 이주민의 후손으로서 그의 시세계에는 조선과 일본을 유학하며 체험한 이민과 이산의 경험이 내재해 있음에 주목하였다. 그의 이산이 학업이라는 자발적인 형태의 것이었지만, 간도라는 지역이 갖는 특이성, 조선의 피식민지성, 그리고 일본이 보여준 제국주의적 성격은 그의 지리적 이동과 이산의 경험에 대해 트랜스내셔널한 관점에서 접근해 볼 여지를 준다. 그동안 윤동주 문학에 대한 일본과 중국에서 전개된 기억과 연구는 그의 문학을 트랜스내셔널하게 읽을 수 있는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게 한다. 선행 연구 가운데디아스포라 문학연구는 윤동주 시에 나타나는 정체성을 재만조선인이라는 특수한 지역적 정체성과 결부하여 읽고자 하는 시도를 보여주었다. 일국문학으로 정전화 되다시피한 윤동주 문학에 대한 그러한 비스듬히 읽기는 윤동주 문학에 내재된 다양한 정체성을 재발견하게 한 성과를 갖고 있지만, 또다른 지역성에 포섭될 우려를 갖는다. 혼종적 정체성에 대해 다문화주의에서 타국과 모국의 경계에서 분열되는 사태에 주목했다면, 윤동주의 문학을 트랜스내셔널하게 읽는다는 것은 그러한 정체성과 지역성을 재개념화하는 것이며 이분법의 틀 안에 가둘 수없는 시인의 다양성을 읽어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윤동주 문학에 나타나는 민족주의적인 사상적 기질과 시대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을 수용하면서도, 그의 작품세계에서 작가가 가진식민지 지배로 인한 이산과 근대의 경험을 배제하지 않고 다양화시킬 수 있도록 연구의 지평을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고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Yun Dong-ju is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poet of 1940s who saved national language and literature from Japanese imperialism. The existing studies of Yon Dong-ju have focused on cultural-essentialism through ‘reading in detail’. But in accordanc...

      Yun Dong-ju is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poet of 1940s who saved national language and literature from Japanese imperialism. The existing studies of Yon Dong-ju have focused on cultural-essentialism through ‘reading in detail’. But in accordance with the studies on his works in Japan and China, we find new meaning of his works through ‘reading askew’. This is can be called transnationalism related literature study. There is no consensus on the meaning of ‘Transnationalism’. But this term seems to fulfill something that ‘diaspora’ or ‘multi-culture’ cannot. The prefix "trans-" includes ‘across’, ‘beyond’, and ‘through’. So ‘Transnational’ implicates ‘across-national’, ‘beyond-national’ ‘through –national’ and ‘out of borders’. Yon Dong-ju’s personal experience in gando(間島, zhendao), Korean peninsula and Japan(gando-Seoul-Kyoto-Fukuyama) contains trans-national experience of emigration and separation caused by Japanese imperialism. So we can see this universal experience of those times through the prism of You Dong-ju. Normally diaspora identity produces a narrative of hardship of getting to hometown. But Yun Dong-ju sees his native place – gando as a self-fulfilled community. By this experience and memory of Manchuria, he could pursue the plural coexistence of minors standing against the logic of assimilation of imperialism. His writing notes also contain the trans-national lexicon and especially his main poetic word ‘hometown’ shows diverse regional meanings. Calling his literature as martyrdom for the rescue of national language from Japanese imperialism might be resulted from a desire of researcher who want to assimilate Yun’s works with motherland. To see the colony not out of the imperial but in the imperial, we need a new perspective which requires the re-conceptualization of the region and ident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서론
      • 2. 윤동주 문학 연구에서의 트랜스내셔널리즘적 현상
      • 3. 디아스포라 문학의 성과와 윤동주의 정체성
      • 4. 자기 분화와 경계를 넘는 주체
      • 요약
      • 1. 서론
      • 2. 윤동주 문학 연구에서의 트랜스내셔널리즘적 현상
      • 3. 디아스포라 문학의 성과와 윤동주의 정체성
      • 4. 자기 분화와 경계를 넘는 주체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태욱, "포스트콜로니얼 - 식민지적 무의식과 식민주의적 의식" 삼인 출판사 2002

      2 윤해동,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Transnational History)의 가능성 - 한국근대사를 중심으로 -" 역사학회 (200) : 33-65, 2008

      3 박선주, "트랜스내셔널 문학의 소속과 지평" 26-30, 2010

      4 박선주, "트랜스내셔널 문학: (국민)문학의 보편문법에 대한 문제제기" 영미문학연구회 (28) : 165-197, 2010

      5 황규수, "중국 조선족 初中 新編 『조선어문』收錄 詩 考察"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6 (36): 501-521, 2008

      6 홍장학, "정본 윤동주 전집 원전 연구" 문학과지성사 2004

      7 홍장학, "정본 윤동주 전집" 문학과지성사 2004

      8 김응교, "일본에서의 윤동주 인식- 이부키 고, 오오무라 마스오, 이바라키 노리코의 경우"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3 (13): 37-72, 2009

      9 이누가미 미쯔히로, "일본 지성인들이 사랑하는 윤동주" 민예당 1998

      10 김신정, "일본 사회와 윤동주의 기억"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3 (13): 73-102, 2009

      1 송태욱, "포스트콜로니얼 - 식민지적 무의식과 식민주의적 의식" 삼인 출판사 2002

      2 윤해동,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Transnational History)의 가능성 - 한국근대사를 중심으로 -" 역사학회 (200) : 33-65, 2008

      3 박선주, "트랜스내셔널 문학의 소속과 지평" 26-30, 2010

      4 박선주, "트랜스내셔널 문학: (국민)문학의 보편문법에 대한 문제제기" 영미문학연구회 (28) : 165-197, 2010

      5 황규수, "중국 조선족 初中 新編 『조선어문』收錄 詩 考察"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6 (36): 501-521, 2008

      6 홍장학, "정본 윤동주 전집 원전 연구" 문학과지성사 2004

      7 홍장학, "정본 윤동주 전집" 문학과지성사 2004

      8 김응교, "일본에서의 윤동주 인식- 이부키 고, 오오무라 마스오, 이바라키 노리코의 경우"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3 (13): 37-72, 2009

      9 이누가미 미쯔히로, "일본 지성인들이 사랑하는 윤동주" 민예당 1998

      10 김신정, "일본 사회와 윤동주의 기억"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3 (13): 73-102, 2009

      11 신형기, "일국문학ㆍ문화의 탈/경계 -포스트내셔널리즘적 관점의 성과와 전망-" 한국문학연구학회 (45) : 7-33, 2011

      12 이길연, "윤동주의 시에 나타나는 북간도 체험과 디아스포라 본향의식 - 기독교의식과 현실 대응 양상을 중심으로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6) : 185-204, 2008

      13 노혜경, "윤동주와 한국문학" 소명출판 2001

      14 송우혜, "윤동주 평전" 푸른역사 2004

      15 권영민, "윤동주 전집 2-윤동주 연구" 문학사상사 1995

      16 윤동주, "윤동주 전집 1" 문학사상사 1995

      17 이상섭, "윤동주 자세히 읽기" 한국문화사 2007

      18 임현순, "윤동주 시의 디아스포라와 공간" 우리어문학회 (29) : 481-509, 2007

      19 권오만, "윤동주 시 깊이 읽기" 소명출판 2009

      20 윤동주, "사진판 윤동주 자필 시고 전집" 민음사 1999

      21 장미영, "디아스포라 문학과 트랜스내셔널리즘 (1)―천운영 장편소설 『잘 가라, 서커스』를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38) : 442-460, 2010

      22 정우택, "在滿朝鮮人의 混種的 正體性과 尹東柱"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7 (37): 217-240, 2009

      23 임지현, "Transnational History as a Methodological Nationalism-Comparative Perspectives on Europe and East Asia" 24 : 85-104, 2008

      24 Khagram, Sanjeev, "The Transnational Studies Reader: Intersections and Innovations" Routledge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1 0.808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