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성인 간이식 환자에 있어서 스테로이드 중단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26834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 2002. 8

      • 발행연도

        2002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i, 25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권두에 국문요지 수록
        Abstract: p. 24-25
        참고문헌: p. 15-18

      • 소장기관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스테로이드는 수십 년 동안 장기이식에서 면역억제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하지만 스테로이드의 사용은 비만증, 당뇨병, 고혈압, 과지방혈증 등 여러가지 부작용이 임상적으로 문제가 된다. 최근 cyclosporin, FK506등의 새로운 면역억제제들이 등장함에 따라 안정된 이식 수여자에게 기존에 사용하던 스테로이드 중단의 유용성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8월부터 1999년 2월까지 다기관 연구를 통해 간이식 수술을 한 172명의 환자들의 병원기록과 이식 기초자료와 다른 곳에서 이식한 1명의 기록을 검토하였다. 173명의 환자들 중에 제외대상은 123명이었으며 나머지 50명을 대상으로 이식전 선행 간질환의 종류에 따라 비면역성 간경변, 면역성 간경변, 원인불명등 3개의 군의 분리하였다. 세군간의 각각의 변수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ANOVA검사법을 이용 검정하였다.
      결과
      스테로이드 중단 대상군에서 면역 매개 환자군이 다른 환자군에 비해 젊고 여성의 비율이 높았다. 세 군간의 면역억제제의 종류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세 군 간에 이식과 스테로이드 중단의 시간, 스테로이드 감량의 기간, 스테로이드 중단 후 관찰기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스테로이드 중단 후 급성 이식 거부반응을 보인 환자 군에서 중단 후 이식 거부반응이 없는 환자 군보다 첫 3개월 후 이식 거부의 횟수가 많았지만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84%환자에서 성공적으로 스테로이드 중단을 시행할 수 있었고, 16%에서 거부반응을 보였다. 이는 임상적으로 스테로이드 중단을 함으로써 이식 거부반응, 이식 실패, 면역억제제로 인한 합병증을 낮출 수 있었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스테로이드는 수십 년 동안 장기이식에서 면역억제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하지만 스테로이드의 사용은 비만증, 당뇨병, 고혈압, 과지방혈증 등 여러가지 부작용이 임상적...

      연구배경
      스테로이드는 수십 년 동안 장기이식에서 면역억제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하지만 스테로이드의 사용은 비만증, 당뇨병, 고혈압, 과지방혈증 등 여러가지 부작용이 임상적으로 문제가 된다. 최근 cyclosporin, FK506등의 새로운 면역억제제들이 등장함에 따라 안정된 이식 수여자에게 기존에 사용하던 스테로이드 중단의 유용성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8월부터 1999년 2월까지 다기관 연구를 통해 간이식 수술을 한 172명의 환자들의 병원기록과 이식 기초자료와 다른 곳에서 이식한 1명의 기록을 검토하였다. 173명의 환자들 중에 제외대상은 123명이었으며 나머지 50명을 대상으로 이식전 선행 간질환의 종류에 따라 비면역성 간경변, 면역성 간경변, 원인불명등 3개의 군의 분리하였다. 세군간의 각각의 변수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ANOVA검사법을 이용 검정하였다.
      결과
      스테로이드 중단 대상군에서 면역 매개 환자군이 다른 환자군에 비해 젊고 여성의 비율이 높았다. 세 군간의 면역억제제의 종류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세 군 간에 이식과 스테로이드 중단의 시간, 스테로이드 감량의 기간, 스테로이드 중단 후 관찰기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스테로이드 중단 후 급성 이식 거부반응을 보인 환자 군에서 중단 후 이식 거부반응이 없는 환자 군보다 첫 3개월 후 이식 거부의 횟수가 많았지만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84%환자에서 성공적으로 스테로이드 중단을 시행할 수 있었고, 16%에서 거부반응을 보였다. 이는 임상적으로 스테로이드 중단을 함으로써 이식 거부반응, 이식 실패, 면역억제제로 인한 합병증을 낮출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d: Steroids have been a mainstay of immunosuppressive regimens in organ transplantation for many decades. However, longterm steroid use is fraught with side effects, such as obesity, diabetes, hypertension, hyperlipidemia, and many others.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immunosuppressive agents such as cyclosporin and FK506, it has now become feasible to consider steroid withdrawal in stable transplant recipients. Patients and Methods: We reviewed retrospectively data(obtaine from hospital charts and the transplat database) of all 173 patients who underwent orthotopic liver transplantation at multi center from October 1995 through February 1999. Of these 173 patients, we selected for study 50 adults. The study patients were separat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pre-transplant liver diagnosis(non-immune cirrhosis, immune cirrhosis, cryptogenic cirrhosis). Numeric datas are reported a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of 3 groups, and were tested by ANOVA. Results: In the steroid withdrawal study group, patients with “immune” forms of liver disease tends to be younger and more often female than patients in the two non-immune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rug regimens between the three groups. The three groups did not differ with respect to the time(months) between transplantation and the beginning of steroid withdrawal, the duration of steroid taper, and the observation period after steroid withdrawal. Although patients who had acute rejection following steroid withdrawal has had more episodes of rejection in the first 3months after transplantation tha those without post-withdrawal rejection,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In this study, 84% of patients may have successful steroid withdrawal. Rejection developed in 16%. Clinically, steroid withdrawal is associated with a low rate of rejection, graft loss, and complications attributable to immunosuppressive medication.
      번역하기

      Backgroud: Steroids have been a mainstay of immunosuppressive regimens in organ transplantation for many decades. However, longterm steroid use is fraught with side effects, such as obesity, diabetes, hypertension, hyperlipidemia, and many others. Wit...

      Backgroud: Steroids have been a mainstay of immunosuppressive regimens in organ transplantation for many decades. However, longterm steroid use is fraught with side effects, such as obesity, diabetes, hypertension, hyperlipidemia, and many others.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immunosuppressive agents such as cyclosporin and FK506, it has now become feasible to consider steroid withdrawal in stable transplant recipients. Patients and Methods: We reviewed retrospectively data(obtaine from hospital charts and the transplat database) of all 173 patients who underwent orthotopic liver transplantation at multi center from October 1995 through February 1999. Of these 173 patients, we selected for study 50 adults. The study patients were separat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pre-transplant liver diagnosis(non-immune cirrhosis, immune cirrhosis, cryptogenic cirrhosis). Numeric datas are reported a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of 3 groups, and were tested by ANOVA. Results: In the steroid withdrawal study group, patients with “immune” forms of liver disease tends to be younger and more often female than patients in the two non-immune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rug regimens between the three groups. The three groups did not differ with respect to the time(months) between transplantation and the beginning of steroid withdrawal, the duration of steroid taper, and the observation period after steroid withdrawal. Although patients who had acute rejection following steroid withdrawal has had more episodes of rejection in the first 3months after transplantation tha those without post-withdrawal rejection,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In this study, 84% of patients may have successful steroid withdrawal. Rejection developed in 16%. Clinically, steroid withdrawal is associated with a low rate of rejection, graft loss, and complications attributable to immunosuppressive medi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 1
      • 대 상 및 방 법 ---------------------------- 2
      • 결 과 --------------------------------- 5
      • 서 론 --------------------------------- 1
      • 대 상 및 방 법 ---------------------------- 2
      • 결 과 --------------------------------- 5
      • 고 찰 --------------------------------- 9
      • 결 론 --------------------------------- 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