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IT기반 청년 창업자를 위한 인큐베이팅 코워킹 스페이스 디자인 = Incubating coworking space design for information technology based young entrepreneu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281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ge of 1 million unemployed youth. The historic-high youth unemployment record is getting worse due to the “growth without employment” trend and worsening economic recession. The government has introduced an economic policy geared toward creating a “creative economy,”the core value of which is to promote creativity via the convergent effort based on P2P, P2B, and B2B activities. This is because newly created businesses are the source of new employment and can lead economic growth as well. However, although there is an increasing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for start-ups, the government’s policy direction has been too skewed toward expanding infrastructure that their managerial performance has remained inadequate in terms of helping new start-up businesses in their process of creating a new business and assisting them to maintain sustainable growth after subsequent to their start-up process. In Korea, what is called the co-working space is emerging as a new alternative model of collaborative working environment. The development is still in its nascent stage. It attracts many different types of users with unique business ideas and, therefore, there should be a systematic study of business and space management programs that can accommodate the outstanding need.
      This research aimed to propose a future direction for the incubating co-working space and analyze managerial collaboration program and network type space using the case studies of start-up support programs in Korea. Also, the research will explore phased start-up programs that can help young entrepreneurs develop an efficient start-up business model and the ways to systematically link the program to collaborative network. The results of the analysis produc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ncubating co-working space is a networking space for managing start-up business process. There are various start-up incubating programs available today-ranging from training to start-up cultivation, work collaboration and promo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need of users-designed to accommodate the needs of various types of workers and social issues. Also, it requires a managerial space that stresses the importance of networking between start-up businesses and collaborating partners.
      Second, the design contains various types of space: a space where managers and collaborators can frequently meet to discuss various issues; an open collaborative space that can accommodate more diverse types of users; an outdoor space that offers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ve work and community events; and a network type space that displays the scene of collaboration to outsiders.
      This project presents a design plan for co-working space at Kunkuk University for young IT start-up entrepreneurs by reflect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 case studies. The research narrowed the scope of study by designating clear target start-up users and creative contents so that the synergy from collaboration can be maximized. The design of space was based on consideration for the process of making preparations for starting a business and the sustained growth after the launch of business.
      The site chosen was the main entrance to Kunkuk University,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city and the center of campus. The site had remained inactive despite heavy traffic of people. The design tried to create a systematically formed space according to the land axis so that young people and the residents of the district who access the site could easily enter the space in a visually open environment. Moreover, in order to connect to the community and manage the growth of young entrepreneurs, the first floor was designed to accommodate popular public events and the second floor was designed to hold meetings for professional programs. An open collaborative work space was designed centered on the event zone built around a courtyard. In addition, the design for the support space accommodated media sales, raw materials purchase and cafe, providing young IT entrepreneurs with more productive working environment. The second floor transformed a collaborative work space into a form of media so that users can share information about their collaboration works. Also, it was designed to allow them to form a direct network with their mentors, creating a place of communicating input as well as output of their work. Furthermore, the design contained many spaces that can facilitate collaborative network process as well as entrepreneurial training and development-the core idea of incubating co-working space-so that membership management and consulting service can be efficiently executed and provided. Also, the space was designed so that mentors can present lectures to their students or the students can research and play with start-up ideas independently, thus helping young entrepreneurs to grow more effectively.
      The research produced a space design that went beyond physical environment as merely a physical place and expanded the spatial concept to the invisible environment of information. It is hoped that the design produced in this research will present a direction for new type of co-working, collaborative network and incubating co-working space for young people. Also, it is suggested that subsequent researches explore and utilize more diverse design perspectives to explore more diverse incubating co-working space design.
      번역하기

      The age of 1 million unemployed youth. The historic-high youth unemployment record is getting worse due to the “growth without employment” trend and worsening economic recession. The government has introduced an economic policy geared toward creat...

      The age of 1 million unemployed youth. The historic-high youth unemployment record is getting worse due to the “growth without employment” trend and worsening economic recession. The government has introduced an economic policy geared toward creating a “creative economy,”the core value of which is to promote creativity via the convergent effort based on P2P, P2B, and B2B activities. This is because newly created businesses are the source of new employment and can lead economic growth as well. However, although there is an increasing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for start-ups, the government’s policy direction has been too skewed toward expanding infrastructure that their managerial performance has remained inadequate in terms of helping new start-up businesses in their process of creating a new business and assisting them to maintain sustainable growth after subsequent to their start-up process. In Korea, what is called the co-working space is emerging as a new alternative model of collaborative working environment. The development is still in its nascent stage. It attracts many different types of users with unique business ideas and, therefore, there should be a systematic study of business and space management programs that can accommodate the outstanding need.
      This research aimed to propose a future direction for the incubating co-working space and analyze managerial collaboration program and network type space using the case studies of start-up support programs in Korea. Also, the research will explore phased start-up programs that can help young entrepreneurs develop an efficient start-up business model and the ways to systematically link the program to collaborative network. The results of the analysis produc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ncubating co-working space is a networking space for managing start-up business process. There are various start-up incubating programs available today-ranging from training to start-up cultivation, work collaboration and promo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need of users-designed to accommodate the needs of various types of workers and social issues. Also, it requires a managerial space that stresses the importance of networking between start-up businesses and collaborating partners.
      Second, the design contains various types of space: a space where managers and collaborators can frequently meet to discuss various issues; an open collaborative space that can accommodate more diverse types of users; an outdoor space that offers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ve work and community events; and a network type space that displays the scene of collaboration to outsiders.
      This project presents a design plan for co-working space at Kunkuk University for young IT start-up entrepreneurs by reflect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 case studies. The research narrowed the scope of study by designating clear target start-up users and creative contents so that the synergy from collaboration can be maximized. The design of space was based on consideration for the process of making preparations for starting a business and the sustained growth after the launch of business.
      The site chosen was the main entrance to Kunkuk University,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city and the center of campus. The site had remained inactive despite heavy traffic of people. The design tried to create a systematically formed space according to the land axis so that young people and the residents of the district who access the site could easily enter the space in a visually open environment. Moreover, in order to connect to the community and manage the growth of young entrepreneurs, the first floor was designed to accommodate popular public events and the second floor was designed to hold meetings for professional programs. An open collaborative work space was designed centered on the event zone built around a courtyard. In addition, the design for the support space accommodated media sales, raw materials purchase and cafe, providing young IT entrepreneurs with more productive working environment. The second floor transformed a collaborative work space into a form of media so that users can share information about their collaboration works. Also, it was designed to allow them to form a direct network with their mentors, creating a place of communicating input as well as output of their work. Furthermore, the design contained many spaces that can facilitate collaborative network process as well as entrepreneurial training and development-the core idea of incubating co-working space-so that membership management and consulting service can be efficiently executed and provided. Also, the space was designed so that mentors can present lectures to their students or the students can research and play with start-up ideas independently, thus helping young entrepreneurs to grow more effectively.
      The research produced a space design that went beyond physical environment as merely a physical place and expanded the spatial concept to the invisible environment of information. It is hoped that the design produced in this research will present a direction for new type of co-working, collaborative network and incubating co-working space for young people. Also, it is suggested that subsequent researches explore and utilize more diverse design perspectives to explore more diverse incubating co-working space desig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청년 실업 100만 명. 역대 최고로 우리나라 청년실업에 대한 문제는 고용 없는 성장과 경기 침체로 꾸준히 가속화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개인과 개인, 개인과 기업, 기업과 기업 간의 융합에 의한 창조 또는 창의성을 핵심가치로 두어 창조경제를 앞세우고 있다. 창업 기업이 고용창출의 원천이며 경제시장을 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부의 경제적 지원이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프라 확충에만 급급한 나머지 신생창업자들의 창업을 준비하는 과정과 창업 후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관리적인 측면이 미흡하다. 최근 국내에서는 협업 환경에 대한 공간적 대안으로 코워킹 스페이스가 주목받고 있는데 아직은 초기 단계이며 다양한 사용자와 제각기 다른 창업 아이템으로 접근되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응하는 운영프로그램과 공간계획에 관한 체계적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큐베이팅 코워킹 스페이스가 지향해야 할 공간을 제시하고자 하며 창업 지원형을 목적으로 하는 국내의 사례분석을 통해 운영프로그램과 협업 및 네트워크형 공간을 분석한다. 또한, 청년창업자들의 효율적인 창업과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할 수 있는 창업단계별 프로그램과 협업 네트워크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한다.
      첫째, 인큐베이팅 코워킹 스페이스는 창업지원관리형 네트워킹 공간이다. 다양한 워커들의 요구와 사회의 이슈를 수렴하는 장으로 사용자 요구에 따라 교육과 창업육성, 협업, 홍보에 이르는 다양한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창업자 및 협업 관계자의 네트워크를 중요시하는 관리공간을 기반으로 한다.
      둘째, 프로그램과 접목된 공간의 중심에서 협업자와 관리자를 연결해주는 지원공간이 있으며 다양한 사용자를 수용하기 위한 오픈형 협업공간과 협업이벤트 및 커뮤니티의 기회를 제공하는 야외 공간, 그리고 외부에 협업을 모습을 표출시키는 네트워크형 공간이 특징적이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사례분석에서 도출한 공간적 특징을 반영하여 IT기반의 청년창업자들을 위한 건국대학교 코워킹스페이스를 디자인을 계획한다. 목표대상과 창업콘텐츠를 뚜렷하게 지정하여 협업의 시너지가 최대한 이뤄질 수 있도록 범위를 좁혀서 진행했으며 창업초기에서부터 준비하는 과정 그리고 창업 후의 청년들의 지속적인 성장을 고려한 공간을 구성한다.
      사이트는 도시와 캠퍼스 중심에 있는 건국대학교 주 입구로서 유동인구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비활성된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었다. 본 계획에서는 대지 축에 따른 유기적인 형태의 공간을 구성하여 청년 및 인근 시민들의 시선적 교류와 자유로운 접근을 가능할 수 있게 유도하였다. 또한, 시민들과의 연계, 청년들의 성장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1층은 대중적 프로그램, 2층은 전문적 프로그램으로 나누어서 공간을 구성하였다. 중정을 활용한 이벤트존을 중심으로 오픈형 협업공간을 계획하였으며 미디어판매와 자재구매, 카페를 활용한 지원공간으로부터 IT기반 청년창업자들의 협업 여건을 제공하였다. 2층에는 협업공간자체를 미디어화 시켜 협업에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멘토와의 직접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수신과 발신의 장이 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또한 인큐베이팅 코워킹 스페이스의 본질인 창업육성과 교육, 협업네트워크를 촉진 시킬 수 있는 공간들로 구성하여 멤버십관리와 컨설팅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받을 수 있게 계획하였고, 멘토링 강연 또는 창업아이템을 직접 연구하며 실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하여 청년창업가들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돕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진행한 본 연구는 장소로서의 물리적 환경을 넘어서서 정보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새로운 환경까지 확장한 공간의 개념으로 청년들의 새로운 코워킹과 협업네트워크, 인큐베이팅 코워킹 스페이스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길 기대하며 향후 보다 다양한 관점으로 인큐베이팅 코워킹 스페이스의 디자인 탐구와 방법적 모색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번역하기

      청년 실업 100만 명. 역대 최고로 우리나라 청년실업에 대한 문제는 고용 없는 성장과 경기 침체로 꾸준히 가속화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개인과 개인, 개인과 기업, 기업과 기업 간의 융합에 ...

      청년 실업 100만 명. 역대 최고로 우리나라 청년실업에 대한 문제는 고용 없는 성장과 경기 침체로 꾸준히 가속화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개인과 개인, 개인과 기업, 기업과 기업 간의 융합에 의한 창조 또는 창의성을 핵심가치로 두어 창조경제를 앞세우고 있다. 창업 기업이 고용창출의 원천이며 경제시장을 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부의 경제적 지원이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프라 확충에만 급급한 나머지 신생창업자들의 창업을 준비하는 과정과 창업 후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관리적인 측면이 미흡하다. 최근 국내에서는 협업 환경에 대한 공간적 대안으로 코워킹 스페이스가 주목받고 있는데 아직은 초기 단계이며 다양한 사용자와 제각기 다른 창업 아이템으로 접근되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응하는 운영프로그램과 공간계획에 관한 체계적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큐베이팅 코워킹 스페이스가 지향해야 할 공간을 제시하고자 하며 창업 지원형을 목적으로 하는 국내의 사례분석을 통해 운영프로그램과 협업 및 네트워크형 공간을 분석한다. 또한, 청년창업자들의 효율적인 창업과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할 수 있는 창업단계별 프로그램과 협업 네트워크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한다.
      첫째, 인큐베이팅 코워킹 스페이스는 창업지원관리형 네트워킹 공간이다. 다양한 워커들의 요구와 사회의 이슈를 수렴하는 장으로 사용자 요구에 따라 교육과 창업육성, 협업, 홍보에 이르는 다양한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창업자 및 협업 관계자의 네트워크를 중요시하는 관리공간을 기반으로 한다.
      둘째, 프로그램과 접목된 공간의 중심에서 협업자와 관리자를 연결해주는 지원공간이 있으며 다양한 사용자를 수용하기 위한 오픈형 협업공간과 협업이벤트 및 커뮤니티의 기회를 제공하는 야외 공간, 그리고 외부에 협업을 모습을 표출시키는 네트워크형 공간이 특징적이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사례분석에서 도출한 공간적 특징을 반영하여 IT기반의 청년창업자들을 위한 건국대학교 코워킹스페이스를 디자인을 계획한다. 목표대상과 창업콘텐츠를 뚜렷하게 지정하여 협업의 시너지가 최대한 이뤄질 수 있도록 범위를 좁혀서 진행했으며 창업초기에서부터 준비하는 과정 그리고 창업 후의 청년들의 지속적인 성장을 고려한 공간을 구성한다.
      사이트는 도시와 캠퍼스 중심에 있는 건국대학교 주 입구로서 유동인구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비활성된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었다. 본 계획에서는 대지 축에 따른 유기적인 형태의 공간을 구성하여 청년 및 인근 시민들의 시선적 교류와 자유로운 접근을 가능할 수 있게 유도하였다. 또한, 시민들과의 연계, 청년들의 성장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1층은 대중적 프로그램, 2층은 전문적 프로그램으로 나누어서 공간을 구성하였다. 중정을 활용한 이벤트존을 중심으로 오픈형 협업공간을 계획하였으며 미디어판매와 자재구매, 카페를 활용한 지원공간으로부터 IT기반 청년창업자들의 협업 여건을 제공하였다. 2층에는 협업공간자체를 미디어화 시켜 협업에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멘토와의 직접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수신과 발신의 장이 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또한 인큐베이팅 코워킹 스페이스의 본질인 창업육성과 교육, 협업네트워크를 촉진 시킬 수 있는 공간들로 구성하여 멤버십관리와 컨설팅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받을 수 있게 계획하였고, 멘토링 강연 또는 창업아이템을 직접 연구하며 실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하여 청년창업가들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돕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진행한 본 연구는 장소로서의 물리적 환경을 넘어서서 정보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새로운 환경까지 확장한 공간의 개념으로 청년들의 새로운 코워킹과 협업네트워크, 인큐베이팅 코워킹 스페이스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길 기대하며 향후 보다 다양한 관점으로 인큐베이팅 코워킹 스페이스의 디자인 탐구와 방법적 모색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1.3 연구의 흐름도 4
      • 제1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1.3 연구의 흐름도 4
      • 제2장 코워킹 스페이스 및 인큐베이팅 시스템의 이론적 고찰 5
      • 2.1 코워킹 스페이스 이론적 고찰 5
      • 2.1.1 코워킹 스페이스 개념 및 정의 5
      • 2.1.2 코워킹 스페이스 현황 6
      • 2.2 코워킹 스페이스 공간 구성 및 운영체제 7
      • 2.2.1 코워킹 스페이스 공간 구성 7
      • 2.2.2 코워킹 스페이스 운영체제 11
      • 2.3 인큐베이팅 개념 및 필요성 12
      • 2.3.1 인큐베이팅의 개념 12
      • 2.3.2 인큐베이팅 공간의 필요성 14
      • 2.4 인큐베이팅 공간의 특징 15
      • 2.4.1 창업지원형 프로그램 15
      • 2.4.2 관리 및 지원공간 15
      • 2.4.2 협업 및 네트워크형 공간 15
      • 제3장 IT기반 청년 창업자를 위한 인큐베이팅 코워킹스페이스
      • 사례분석 17
      • 3.1 IT산업 선정 기준 17
      • 3.2 창업지원형 코워킹 스페이스 사례분석 18
      • 3.2.1 사례분석의 범위 18
      • 3.2.2 사례분석의 틀 20
      • 3.2.3 사례분석 22
      • 3.3 사례분석 종합 및 특성도출 36
      • 3.4 소결 41
      • 제4장 IT기반 청년 창업자를 위한 건국대학교 인큐베이팅
      • 코워킹 스페이스 디자인 43
      • 4.1 개요 44
      • 4.2 목적 45
      • 4.3 디자인 개념 46
      • 4.3.1 FACADE DESIGN 47
      • 4.3.2 SYSTEM DESIGN .48
      • 4.4 사이트 선정 49
      • 4.5 사이트 분석 50
      • 4.6 디자인 프로세스 52
      • 4.7 조감도 54
      • 4.8 프로그램 55
      • 4.9 평면도 56
      • 4.9.1 GROUND FLOOR PLAN 56
      • 4.9.2 UPPER FLOOR PLAN 57
      • 4.9.3 COWORKING OFFICE FLOOR PLAN 58
      • 4.9.4 ROOF GARDEN FLOOR PLAN 59
      • 4.9.5 ROOF PLAN 60
      • 4.10 공간 및 프로그램 구성표 61
      • 4.11 단면도 62
      • 4.12 투시도 63
      • 4.12.1 EVENT ZONE 63
      • 4.12.2 COWORKING ZONE 64
      • 4.12.3 MEDIA ZONE 65
      • 4.12.4 NETWORKING ZONE 1 66
      • 4.12.5 NETWORKING ZONE 2 67
      • 4.12.6 CONFERENCE ROOM 68
      • 4.12.7 RECEPTION 69
      • 4.12.8 NIGHT VIEW 70
      • 4.13 패널 71
      • 제5장 결론 72
      • 참고문헌 74
      • 국문초록 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