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방재정 위기와 로컬 거버넌스의 역할 = The Role of Local Governance on Overcoming An Emerging Local Fiscal Crisi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680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방정부는 재정자율성에 기초한 다양한 정책을 수행할 때 자기책임성이 부여된 만큼 절차적 정당성에 근거하여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과 산출을 극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 만 효율성...

      지방정부는 재정자율성에 기초한 다양한 정책을 수행할 때 자기책임성이 부여된 만큼 절차적 정당성에 근거하여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과 산출을 극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 만 효율성에 근거하기보다 선심성 지출, 방만한 경영으로 재정건전성화 위협을 받는다. 지방재정위기의 근본적인 원인은 거버넌스의 실패에서 기인된 구조적 문제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내·외적요인에서 기인된 관리능력의 부재로 규정하였다. 본 논문은 지방재정위기와 로컬거버넌스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일본의 재정위기와 그 대응을 로컬거버넌스차원에 분석함으로서 재정위기의 가능성과 위기관리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중앙정부는 지방재정의 자율성확대를 위한 전략과 감사 등의 활동이 전제되어야 한다. 책임축소보다는 지방재정건전화를 위해 지방재정의 자율성을 확대하는 법·제도 구 축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방만한 재정운영을 근절하기 위한 ``재정파 산제도 도입``의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둘째, 지방정부는 거버넌스의 주체로서 재정건전성 강화를 위해 자기책임성을 확보해야한다. 거버넌스의 부재 또는 거버넌스 실패로부터 기인되어 방만한 경영 등 도덕적 해이는 거버넌스 관점에서 치유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지방재정의 투명성 증진차원에서 상당한 정보와 전문성을 갖춘 주민과 시민사회 단체들의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지방정부는 행·재정의 건전화를 위한 로컬 거버넌스의 주체적 역할이 되어 야 하며, 주민, 시민사회단체 등 상호작용을 강화하는 로컬 거버넌스적 노력을 증대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ocal governments are able to allocate resource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when they were given adequate local fiscal autonomy and own fiscal resources. Unfortunately, when local governments excessively depend their fiscal resources from the central...

      Local governments are able to allocate resource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when they were given adequate local fiscal autonomy and own fiscal resources. Unfortunately, when local governments excessively depend their fiscal resource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while lacking their own fiscal resources and proper institutional and political monitoring systems, local leaders might have incentives to engage in moral hazard behavior, resulting in fiscal inefficiency and unsound fiscal practices. In this paper, we argue that the current emerging local fiscal crises in Korea are in large part attributable to the lack of local governance system, resulting from the lack of fiscal autonomy, heavy dependence on central resources, and rent-seeking behavior by local political leaders and bureaucrats.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causes of local fiscal crises experienced among the United States, Japan, and Korea, focusing on local governance perspective, we attempt to draw policy implications concerning the possibility of local fiscal crisis and its proper management in Korea. Above all, we argue that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provide more fiscal resources back to local governments for a proper functioning of local fiscal autonomy. In return for that, we also argue that local governments must be responsible for their own fiscal soundness based on transparent, responsible, and efficient fiscal behavior. To instill local fiscal discipline, we suggest that it is worthwhile to consider an introduction of municipal bankruptcy law, which is implemented in state and local governments in the United States. Second, we argue that local governments must establish a proper local governance system to avoid unsound and irresponsible fiscal behaviors by local political leaders and bureaucrats. Likewise, we argue that active citizen participation in local fiscal affairs are necessary to promote local fiscal discipline and transparency. In sum, local governments should exercise proper role in introducing workable local governance system by actively interacting with citizen and other stake-hold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승현, "협력적 로컬거버넌스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진안군 도화동산조성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3 (23): 503-525, 2009

      2 유재원, "한국지방정치론: 이론과 실제" 박영사 2003

      3 "한국은 정부서 지원 파산 까진 안가"

      4 김동욱, "최근 외국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위기 극복사례" 한국지방재정공제회 59-78, 2009

      5 문태현, "지역혁신을 위한 문화정책거버넌스의 성공요인분석-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집행위원회를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17 (17): 337-358, 2005

      6 김인,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 전달에 있어서 거버넌스 구조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 유형별 비교분석" 한국행정학회 40 (40): 51-75, 2006

      7 장노순, "지방재정론(개정3판)" 대영문화사 2008

      8 행정안전부, "지방재정 건전성 강화방안"

      9 조태제, "지방자치단체의 파산제도" 서울: 한국법제연구원. 2006

      10 정순관, "지방자치단체의 파산과 지역거버넌스의 역할- 일본 유바리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0 (20): 119-138, 2008

      1 조승현, "협력적 로컬거버넌스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진안군 도화동산조성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3 (23): 503-525, 2009

      2 유재원, "한국지방정치론: 이론과 실제" 박영사 2003

      3 "한국은 정부서 지원 파산 까진 안가"

      4 김동욱, "최근 외국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위기 극복사례" 한국지방재정공제회 59-78, 2009

      5 문태현, "지역혁신을 위한 문화정책거버넌스의 성공요인분석-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집행위원회를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17 (17): 337-358, 2005

      6 김인,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 전달에 있어서 거버넌스 구조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 유형별 비교분석" 한국행정학회 40 (40): 51-75, 2006

      7 장노순, "지방재정론(개정3판)" 대영문화사 2008

      8 행정안전부, "지방재정 건전성 강화방안"

      9 조태제, "지방자치단체의 파산제도" 서울: 한국법제연구원. 2006

      10 정순관, "지방자치단체의 파산과 지역거버넌스의 역할- 일본 유바리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0 (20): 119-138, 2008

      11 곽채기,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위기의 본질과 대응방안" 전남대학교 법률행정연구소 18 : 317-349, 1998

      12 김재훈, "지방자치단체 거버넌스 구조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쓰레기 수거서비스를 중심으로" 40 (40): 51-75, 2006

      13 김동기, "지방분권시대의 한국지방재정학" 법문사 2009

      14 감사원, "지방공기업 개발사업 추진실태. 감사결과발표 전문" 감사원 2011

      15 안성호, "지방거버넌스와 지방정책: 네트워크 관점에서 본 지방정책사례" 도서출판 다운샘 2004

      16 이창균, "일본의 지방재정위기의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5 (5): 1-28, 2000

      17 강형기, "일본의 중앙지방관계 변화와지방재정의 자기책임성- 유바리(夕張)시의 재정파탄과 한국 지방정부에의 교훈" 한국지방자치학회 20 (20): 23-47, 2008

      18 "인천시 재정 건전성 높여야"

      19 "유바리시의 교훈"

      20 남황우, "유바리시 재정파산에 관한 연구" 20 (20): 179-205, 2007

      21 김도희, "울산지역 로컬 거버넌스(Local Governance)의 성과와 한계:주민참여예산제와 주민배심원제의 정책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5 (15): 131-158, 2006

      22 박희봉, "시민참여와 로컬 거버넌스" 한국정책과학학회 10 (10): 1-23, 2006

      23 신희영, "민주적 로컬 거버넌스 구성과 지방정부" 서울행정학회 16 (16): 1-28, 2005

      24 정창훈, "미국지방자치단체의 지방재정위기관리제도와 시사점 ― 파산제도를 중심으로 ―" 비교법학연구소 32 : 47-88, 2011

      25 서정섭, "미국 지방재정위기의 발생과 관리제도에 대한 고찰" 6 (6): 223-244, 2001

      26 배응환, "로컬거버넌스: 갈등에서 협력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 (19): 187-216, 2005

      27 김정렬, "거버넌스와 행정국가" 대한정치학회 10 (10): 23-44, 2003

      28 이현출, "거버넌스와 NGOs: 의약분업 사례를 중심으로" 35 (35): 217-236, 2001

      29 정성호, "거버넌스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연구원 19 (19): 171-202, 2010

      30 "日 지방재정 건전화계획 사례"

      31 行方久生, "夕張市 財政破綻 問題の論点と自治体の危機" 研究機構インフォメー ション・サービス NO.76 2007

      32 Powell. W. W, "neither Market nor Hierarchy: Network Forms of Organization"

      33 World Bank,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2008" Washington , DC. 2008

      34 Rhodes, R, "The New Governance: Governing without Government" 44 : 652-667, 1996

      35 Seong-Ho, Jeong, "The Effect of Governance on Economic Growth" The Yonsei University 2009

      36 Kooiman, J, "Societal Governance: Levels, Modes, Orders of Social-Political Interaction in Debating governa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37 Cahill, A. G, "Responding to municipal fiscal distress: An emerging issue for state governments in the 1990s" 52 (52): 88-94, 1992

      38 Kickert, W, "Public Governance in the Netherlands: An Alternative to Anglo-American Managerialism" 75 : 731-752, 1997

      39 Pierre, J, "Governance, Politics and the State" St. Martin's Press 2000

      40 Rosenau, J, "Governance without Government: Order and Change in World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41 Kooiman, J, "Governance and public management in Managing Public Organizations (2nd edn)" Sage 1993

      42 Seldadyo, H, "Governance and Growth Revisited" 60 (60): 279-290, 2007

      43 World Bank, "Governance and Development" Washington, D.C. 1992

      44 Andrew. C, "From Local Government to Local Governance and Beyond" 19 (19): 101-117, 1998

      45 Bradbury, "Fiscal Distress in Large U.S. Cities" 33-34, 1982

      46 March, J, "Democratic Governance" Free Press 1995

      47 Pierre, J, "Debating governa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48 Frey, Martin A, "An Introduction to Bankruptcy Law, 5th edition" Thomson Delmar Learning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9-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Rea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KCI등재후보
      2005-09-06 학술지등록 한글명 : 지방행정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 Local Administration Review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7 1.285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