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Delphi 기법을 이용한 해수담수화 플랜트 유망 국가 분석 = Analysis of Promising Country for Seawater Desalination Plant Using Delphi Meth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628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해수담수화 플랜트 시장 진출 유망 국가 분석을 위한 지수를 개발하였고 이를 위해서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자료의 특성상 국가별로 편차가 커 스케일 재조정 방법을 통해 각...

      해수담수화 플랜트 시장 진출 유망 국가 분석을 위한 지수를 개발하였고 이를 위해서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자료의 특성상 국가별로 편차가 커 스케일 재조정 방법을 통해 각 지표별로 표준화를 실시하였고, 해수담수화 플랜트에 대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Delphi 기법을 통한 설문 조사를 통해 가중치를 결정하였다. 총 23개의 지표를 3가지 요소로 나누어 각각의 항목별로 가중치를 결정하였으며, 사우디아라비아, UAE, 쿠웨이트, 이란, 카타르, 중국, 싱가포르, 인도, 알제리, 터키, 미국 등 11개 국가, 즉 해수담수화 플랜트 해외 시장 유망 국가들에 대해서 지수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지수를 비교하였을 때 미국이 0.537, 중국이 0.490, 사우디아라비아가 0.329로 나타났다. 현지 사정을 고려하였을 때는 미국과 중국은 해외 시장 진출을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을 수 있지만 그 외에 국가에 대해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전략적으로 시장 진출을 도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index was developed for analyzing the promising countries for seawater desalination plant and related data se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Each indicators was standardized by scale readjustment method and Delphi method was used to calculate the w...

      An index was developed for analyzing the promising countries for seawater desalination plant and related data se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Each indicators was standardized by scale readjustment method and Delphi method was used to calculate the weights for indicators from questionnaire survey by experts in seawater desalination plant field. Twenty three indicator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indicator groups. Eleven countries (Saudi Arabia, UAE, Kuwait, Iran, Qatar, China, Singapore, India, Algeria, Turkey, United States) were selected considering present data availability and index for each country was calculated. The results show United States and China took the first (0.537) and second (0.490) place for the most promising country for seawater desalination plant. However it will not be easy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markets because of present seawater desalination technology level and national policy, etc. Saudi Arabia took the third (0.329) place and other countries which has more than 0.2 index value can be considered as a promising countries for seawater desalination plant. We can establish a strategy to export our seawater desalination technology and plant using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developed index can be applied to other countries, which were not included in this study, when their data is availab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정석, "해외 물 기근 현황과 용도별・국가별 자본지출 전망을 고려한 해수담수화 플랜트 시장성 평가" 한국물환경학회 27 (27): 178-187, 2011

      2 손민우, "기후변화를 고려한 홍수취약성지표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44 (44): 231-248, 2011

      3 Nardo, M, "Tools for composite indicators building" Eurepean Communities 2005

      4 Ministry of Environment,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y of water industry"

      5 Lee, J. S, "Method of delphi" Publisher of Education and Science 2001

      6 Yu, G. Y, "Introduction method development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index of climate change" Korea Environment Institue 2008

      7 Global Water Intelligence, "Global water market 2008: Opporunities in scarcity and environmental regulation" 2007

      8 Kim, I. S, "Emerging water industry-Seawater desalination" KSCE 57 (57): 15-21, 2009

      9 USA. IPCC, "Climate change 2007, In The physical science synthesis repor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10 UNDP, "Adaptation policy frameworks for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strategies, Policies and Measur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1 양정석, "해외 물 기근 현황과 용도별・국가별 자본지출 전망을 고려한 해수담수화 플랜트 시장성 평가" 한국물환경학회 27 (27): 178-187, 2011

      2 손민우, "기후변화를 고려한 홍수취약성지표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44 (44): 231-248, 2011

      3 Nardo, M, "Tools for composite indicators building" Eurepean Communities 2005

      4 Ministry of Environment,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y of water industry"

      5 Lee, J. S, "Method of delphi" Publisher of Education and Science 2001

      6 Yu, G. Y, "Introduction method development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index of climate change" Korea Environment Institue 2008

      7 Global Water Intelligence, "Global water market 2008: Opporunities in scarcity and environmental regulation" 2007

      8 Kim, I. S, "Emerging water industry-Seawater desalination" KSCE 57 (57): 15-21, 2009

      9 USA. IPCC, "Climate change 2007, In The physical science synthesis repor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10 UNDP, "Adaptation policy frameworks for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strategies, Policies and Measur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70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