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업사이클링 패션의 조형적 특성 연구 : 해체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Upcycling Fashion: Focusing on the Deconstructive Perspect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860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사회의 대량생산 및 소비체계로 인해 환경적, 경제적인 측면에서 지속가능성에 주목하게 되면서 패션산업에서도 국내외 다양한 브랜드에서 업사이클링 패션을 선보이고 있다. 현대 업사이클링 패션은 단순히 환경적 의미를 넘어서 프린팅, 패턴의 변화, 레이어드 등 다양한 표현 방식을 통해 조형적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업사이클링 패션이 대중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2010년부터 현재까지의 국내외 업사이클링 패션을 중심으로 해체주의 이론에 기반한 조형적 특성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조형적 특성은 ‘소재의 변형을 통한 의미의 해체’, ‘구성의 탈피를 통한 형태의 해체’, ‘이미지의 차용을 통한 경계의 해체’로 분류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재의 변형을 통한 의미의 해체’에서는 패션이 지닌 환경 및 소재에 대한 의미를 가시적으로 드러내고 소재에 대한 고정관념을 탈피해 이질적인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실험성과 우연성의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구성의 탈피를 통한 형태의 해체’에서는 구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탈피해 장식 요소의 활용, 의도적 과장 등 비정형적 형태를 강조한 유희적 표현이 나타났다. 셋째, ‘이미지의 차용을 통한 경계의 해체’에서는 희소성과 해학성을 지닌 이미지의 차용을 통해 예술성이 강조되고, 시대와 문화의 경계를 허무는 이미지와 형태의 조합을 통해 모호성이 드러났다.
      번역하기

      현대 사회의 대량생산 및 소비체계로 인해 환경적, 경제적인 측면에서 지속가능성에 주목하게 되면서 패션산업에서도 국내외 다양한 브랜드에서 업사이클링 패션을 선보이고 있다. 현대 업...

      현대 사회의 대량생산 및 소비체계로 인해 환경적, 경제적인 측면에서 지속가능성에 주목하게 되면서 패션산업에서도 국내외 다양한 브랜드에서 업사이클링 패션을 선보이고 있다. 현대 업사이클링 패션은 단순히 환경적 의미를 넘어서 프린팅, 패턴의 변화, 레이어드 등 다양한 표현 방식을 통해 조형적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업사이클링 패션이 대중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2010년부터 현재까지의 국내외 업사이클링 패션을 중심으로 해체주의 이론에 기반한 조형적 특성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조형적 특성은 ‘소재의 변형을 통한 의미의 해체’, ‘구성의 탈피를 통한 형태의 해체’, ‘이미지의 차용을 통한 경계의 해체’로 분류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재의 변형을 통한 의미의 해체’에서는 패션이 지닌 환경 및 소재에 대한 의미를 가시적으로 드러내고 소재에 대한 고정관념을 탈피해 이질적인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실험성과 우연성의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구성의 탈피를 통한 형태의 해체’에서는 구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탈피해 장식 요소의 활용, 의도적 과장 등 비정형적 형태를 강조한 유희적 표현이 나타났다. 셋째, ‘이미지의 차용을 통한 경계의 해체’에서는 희소성과 해학성을 지닌 이미지의 차용을 통해 예술성이 강조되고, 시대와 문화의 경계를 허무는 이미지와 형태의 조합을 통해 모호성이 드러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s sustainability in terms of environment and economy is increasingly drawing attention due to the mass production and consumption system of contemporary society,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brands in the fashion industry are also introducing upcycling fashion. Contemporary upcycling fashion is advancing beyond simple environmental meaning, show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through various modes of expression such as printing, pattern change, and layering.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upcycling fashion based on the theory of deconstruction by investigating upcycling fashion at home and abroad until now since 2010 when upcycling fashion first became popular.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upcycling fashion at home and abroad based on three categories of deconstruction perspective— deconstruction of meaning through material transformation,’ deconstruction of form through deviation from composition,’ and deconstruction of boundaries through image borrowing’—the following modes of formative characteristics were found. First, in the category of ‘deconstruction of meaning through material transformation,’ it was found that upcycling fashion achieve the effect of experimentation and chance by using disparate materials, visually revealing the meaning of environment and materials contained in fashion and breaking away from fixed ideas about materials. Second, in the category of ‘deconstruction of form through deviation from composition,’ it was found that upcycling fashion show playful expressions that emphasize atypical form such as the use of decorative elements and intentional exaggeration, breaking away from fixed ideas about composition. Third, in the category of ‘deconstruction of boundaries through image borrowing,’ it was found that upcycling fashion emphasize artistry by borrowing rare and humorous images, and display ambiguity by combining images and forms that break down the boundaries between eras and cultures.
      번역하기

      As s sustainability in terms of environment and economy is increasingly drawing attention due to the mass production and consumption system of contemporary society,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brands in the fashion industry are also introducing upcyc...

      As s sustainability in terms of environment and economy is increasingly drawing attention due to the mass production and consumption system of contemporary society,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brands in the fashion industry are also introducing upcycling fashion. Contemporary upcycling fashion is advancing beyond simple environmental meaning, show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through various modes of expression such as printing, pattern change, and layering.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upcycling fashion based on the theory of deconstruction by investigating upcycling fashion at home and abroad until now since 2010 when upcycling fashion first became popular.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upcycling fashion at home and abroad based on three categories of deconstruction perspective— deconstruction of meaning through material transformation,’ deconstruction of form through deviation from composition,’ and deconstruction of boundaries through image borrowing’—the following modes of formative characteristics were found. First, in the category of ‘deconstruction of meaning through material transformation,’ it was found that upcycling fashion achieve the effect of experimentation and chance by using disparate materials, visually revealing the meaning of environment and materials contained in fashion and breaking away from fixed ideas about materials. Second, in the category of ‘deconstruction of form through deviation from composition,’ it was found that upcycling fashion show playful expressions that emphasize atypical form such as the use of decorative elements and intentional exaggeration, breaking away from fixed ideas about composition. Third, in the category of ‘deconstruction of boundaries through image borrowing,’ it was found that upcycling fashion emphasize artistry by borrowing rare and humorous images, and display ambiguity by combining images and forms that break down the boundaries between eras and cultur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업사이클링 Ⅲ. 해체주의의 개념 및 특성 Ⅳ. 현대 업사이클링 패션의 조형적 특성 Ⅴ. 결론
      • Ⅰ. 서론 Ⅱ. 업사이클링 Ⅲ. 해체주의의 개념 및 특성 Ⅳ. 현대 업사이클링 패션의 조형적 특성 Ⅴ.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경, "해체주의적 공간 구성에 나타나는 꼴라쥬적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1

      2 안나연, "해체주의의 표현적 특징을 적용한 조형장신구 연구"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15 (15): 83-98, 2012

      3 양미숙, "해체주의의 상호텍스트성 헤어스타일에 관한 연구" 2 (2): 5-16, 2008

      4 박선지, "해체주의의 개념을 통해 고찰한 건축과 패션의 형태 연구"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52 : 163-176, 2015

      5 박수경, "해체주의와 양식의 해체에 관한 연구 -현대미술에 나타난 개념미술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35) : 313-344, 2012

      6 손뢰, "해체주의를 활용한 예술 장신구 디자인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21

      7 라의숙, "해체주의로 표현된 대중예술속의 패션" 13 : 28-36, 2003

      8 신미라, "해체주의 패션디자인의 단계적 변화와 기호학적 관점의 의미 분석"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 (20): 113-129, 2020

      9 김지원, "해체주의 타이포그래피에 나타나는 외적 표현 양식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3 (13): 93-103, 2012

      10 허진영, "해체주의 발상 방법을 적용한 업사이클링 셔츠 디자인" 한국기초조형학회 21 (21): 655-668, 2020

      1 김은경, "해체주의적 공간 구성에 나타나는 꼴라쥬적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1

      2 안나연, "해체주의의 표현적 특징을 적용한 조형장신구 연구"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15 (15): 83-98, 2012

      3 양미숙, "해체주의의 상호텍스트성 헤어스타일에 관한 연구" 2 (2): 5-16, 2008

      4 박선지, "해체주의의 개념을 통해 고찰한 건축과 패션의 형태 연구"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52 : 163-176, 2015

      5 박수경, "해체주의와 양식의 해체에 관한 연구 -현대미술에 나타난 개념미술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35) : 313-344, 2012

      6 손뢰, "해체주의를 활용한 예술 장신구 디자인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21

      7 라의숙, "해체주의로 표현된 대중예술속의 패션" 13 : 28-36, 2003

      8 신미라, "해체주의 패션디자인의 단계적 변화와 기호학적 관점의 의미 분석"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 (20): 113-129, 2020

      9 김지원, "해체주의 타이포그래피에 나타나는 외적 표현 양식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3 (13): 93-103, 2012

      10 허진영, "해체주의 발상 방법을 적용한 업사이클링 셔츠 디자인" 한국기초조형학회 21 (21): 655-668, 2020

      11 정혜민, "해체주의 관점의 탈구성적 표현 특성- 론 아라드의 디자인 제품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1 (21): 125-149, 2018

      12 독고 윤선, "해체주의 관점에서 본 David Carson의 시각커뮤니케이션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9

      13 허팅, "해체주의 건축양식에 나타난 형태적 특성을 활용한 무용창작연구 : 작품 『illusion o f me』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21

      14 "프리스크미굿"

      15 김부선, "포스트모던아트의 접근을 통한 업사이클링 아트의 발전 가능성 융합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5 : 29-40, 2018

      16 박주희, "폐자원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 연구" 한국복식학회 64 (64): 138-154, 2014

      17 경기연구원, "폐기물의 재탄생 : 업사이클 산업 육성"

      18 나현신, "크리스토퍼 래번 작품에 나타난 업사이클 디자인의 특성 사례연구" 한국디자인지식학회 (31) : 383-397, 2014

      19 "콜리나 스트라다 2021 S/S 컬렉션"

      20 "초포바 로웨나 2019 F/W 컬렉션"

      21 윤수인, "지속가능한 패션의 산업현황과 소비자의 소비행태 연구 : 재사용과 재활용 패션산업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22 배수정, "지속가능성장을 위한 업사이클링"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23 희망브리지, "재활용에 UP을 더하다"

      24 이조원,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해체주의 인식론과 선" 한국선학회 (23) : 321-374, 2009

      25 박민영, "이즘" 청년사 2008

      26 한국업사이클디자인협회, "업사이클이란"

      27 이다혜, "업사이클링 패션브랜드에 나타난 소재특성 연구 (제1보)" 한국의류학회 42 (42): 486-502, 2018

      28 차임선, "업사이클링 제품디자인에 나타나는 특성 - 소재와 기법 및 제품사례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53) : 341-352, 2016

      29 박종열, "업사이클링 산업의 국내외 현황"

      30 하효정, "업사이클링 디자인적 가치요소가 브랜드 경험과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상업 브랜드 공간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5 (15): 17-26, 2017

      31 임은영, "업사이클링 디자인 특성에 따른 작품사례 분석" 한국기초조형학회 15 (15): 483-493, 2014

      32 왕경희, "업사이클링 가방디자인의 소재유형에 따른 특성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 (20): 337-351, 2014

      33 이재희, "업사이클 패션브랜드의 조형적 특징"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5

      34 박인영, "업사이클 패션 브랜드의 디자인 분석 : 래코드(RE;CODE)를 중심으로" 21 (21): 85-100, 2017

      35 정성모, "업사이클 제품의 특성분석과 트리즈 적용을 통한 감성조명 디자인개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9 (19): 343-356, 2018

      36 이루미, "업사이클 제품 및 패션 디자인의 제작기법과 특성"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19 (19): 1-20, 2015

      37 "얼킨 PIETER"

      38 "얼킨 HASSAM"

      39 "액트 넘버원 2019 F/W 컬렉션"

      40 "알루왈리아 2019 S/S 컬렉션"

      41 "알렉산드라 지파 2021 F/W 컬렉션"

      42 아디다스 울트라부스트 언케이지드 팔리, "아디다스, 바다 폐기물로 만든 러닝화·유니폼 국내 판매"

      43 김성은, "신 - 해체주의 패션의 미적 가치에 대한 연구 - 베트멍, 마르케스 알메이다, 자크뮈스를 중심으로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6 (16): 129-150, 2016

      44 "스테파니 니우웬후세 2018 F/W 컬렉션"

      45 "빅터 앤 롤프 2017 S/S 오트쿠튀르 컬렉션"

      46 "비비안 웨스트우드 2019 S/S 레디 투 웨어 컬렉션"

      47 "메종 마르지엘라 2014 S/S 쿠튀르 컬렉션"

      48 "마틴 마르지엘라 2020 F/W 컬렉션"

      49 "마린 세르 2019 S/S 컬렉션"

      50 "마리아나 드브리스"

      51 "마르니 2021 S/S 컬렉션"

      52 "류시에 2018 S/S 뉴욕 패션 위크"

      53 "류시에"

      54 "레저렉션 13"

      55 "다시곰"

      56 "노답 3"

      57 김상효, "구조주의와 해체주의 그리고 데리다" (43) : 29-52, 1992

      58 "show/collection#4"

      59 한국업사이클디자인협회, "https://kud.kr/aboutupcycle90529794"

      60 Norris, C., "What is deconstruction?" 청람 1996

      61 Han, S., "Upcycling as a design strategy for product lifetime opti misation and societal change" 2015

      62 H&M 컨셔스 익스클루시브 컬렉션, "H&M의 컨셔스 익스클루시브 2020 봄 여름 컬렉션"

      63 H&M 리메이드 캡슐 데님 컬렉션, "H&M 진 리디자인 데님 컬렉션 가을 남자 패션으로 활용하기 좋은 데님자켓과 청바지 코디"

      64 "H&M Group"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 The Korea Association of Art&Desig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예논총 -> 조형디자인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 Society of Craft -> Th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6-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예학회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Society Of Craft ->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1 0.586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