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무원 이직의 세대별 영향요인 비교: 직무태도와 조직관성, 그리고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981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우리나라의 공무원에 대한 선호는 점차 하락하고 있으며, 이직률은 높아지고 있다. 공직이 갖는 고용안정성에도 불구하고, 최근 입직한 신입 공무원의 이직률 증가는 조직 내 누적된 ...

      현재 우리나라의 공무원에 대한 선호는 점차 하락하고 있으며, 이직률은 높아지고 있다. 공직이 갖는 고용안정성에도 불구하고, 최근 입직한 신입 공무원의 이직률 증가는 조직 내 누적된 문제점이 대외적으로 표출되는 징후이며, 더 나아가 관료 조직의 위기 전초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무원의 이직의도의 선행요인을 살피고자 한다. 우선, 기존 문헌을 고찰하고, 유력한 선행요인으로 제시되는 직무태도(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둘째, 최근 조직학에서 주목받는 조직관성 변수를 통해 관료제 특유의 위계적 구조가 이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선행요인과 이직의도 간 관계에서 세대별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전체 응답자 대상의 분석모형에서는 직무태도와 조직관성 모두 유의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성세대(1980년 이전 출생) 대상의 분석 모형에서는 직무태도만 유의한 영향을 보이고 조직관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MZ세대(1981년 이후 출생) 모형에서는 직무태도와 조직관성 모두 유의한 영향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성세대 모형과 비교하여 직무태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두 세대의 이직의도의 원인이 상이하며, 특히 MZ세대 공무원들의 이직에 조직의 관성적 관행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ly, preference for public officials in Korea is gradually decreasing, but the turnover rate is increasing. Despite the job security of public office, the high turnover of newly hired and less experienced employees can cause serious problems bot...

      Currently, preference for public officials in Korea is gradually decreasing, but the turnover rate is increasing. Despite the job security of public office, the high turnover of newly hired and less experienced employees can cause serious problems both inside and outside a civil service organiz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influential factors on turnover intention. First,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the influence of public officials’ job attitudes (job satisfaction,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is verified. Second, the role of organizational inertia, which has recently received attention, is explored. Finally, it is confirm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MZ generation and the older generation in the relationship to turnover inten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all major variables were significant in the analysis model based on all respondents. In the model based on the older generatio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a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the case of the MZ generation, the influence on job attitude i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older generation, and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inertia is also confirm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auses of turnover intentions of the two generations are different, and in particular, the inertial practices of the organization are important for MZ generation civil servants’ turnov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연구설계
      • Ⅳ. 분석 결과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연구설계
      • Ⅳ. 분석 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