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浦項 中城里新羅碑」에 나타난 新羅 六部와 官等制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9년 발견된 「포항중성리신라비」의 새로운 석문을 바탕으로 6세기 전반 금석문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新羅6部의 전개과정과 구조, 그리고 京外官等의 문제를 살폈다. 이로써 신라의 왕경 6부는 전통적인 족적 기반의 거주지 중심의 구획으로부터 지연적인 행정단위체로 개편하였고, 각 부의 족적 기반으로서의 宮과 사적 성격의 使人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6부 생성 단계의 ‘간지-일벌’의 체계로부터 분화?발전한 신라의 관등제가,「중성리비」에서 喙?沙喙의 관등체계, 그리고 왕경 여타 4부의 ‘干支-壹伐’ 체계 및 지방 村단위의 ‘干支-壹金知’의 삼중체계를 거쳐, 법흥왕의 율령 반포 때에 경외 관등체계로 정비되었고, A.D. 539~561년 무렵에 京位17관등, 外位11관등제로 정비되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나아가 신라 골품제는, 진골~4두품의 구분이 마립간기에 이미 성립되어, 진골과 6~1두품으로 확대 정비됨으로써 법흥왕의 율령에 반영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번역하기

      2009년 발견된 「포항중성리신라비」의 새로운 석문을 바탕으로 6세기 전반 금석문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新羅6部의 전개과정과 구조, 그리고 京外官等의 문제를 살폈다. 이로써 신라의 왕경...

      2009년 발견된 「포항중성리신라비」의 새로운 석문을 바탕으로 6세기 전반 금석문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新羅6部의 전개과정과 구조, 그리고 京外官等의 문제를 살폈다. 이로써 신라의 왕경 6부는 전통적인 족적 기반의 거주지 중심의 구획으로부터 지연적인 행정단위체로 개편하였고, 각 부의 족적 기반으로서의 宮과 사적 성격의 使人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6부 생성 단계의 ‘간지-일벌’의 체계로부터 분화?발전한 신라의 관등제가,「중성리비」에서 喙?沙喙의 관등체계, 그리고 왕경 여타 4부의 ‘干支-壹伐’ 체계 및 지방 村단위의 ‘干支-壹金知’의 삼중체계를 거쳐, 법흥왕의 율령 반포 때에 경외 관등체계로 정비되었고, A.D. 539~561년 무렵에 京位17관등, 外位11관등제로 정비되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나아가 신라 골품제는, 진골~4두품의 구분이 마립간기에 이미 성립되어, 진골과 6~1두품으로 확대 정비됨으로써 법흥왕의 율령에 반영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a new interpretation of Pohang Jungseongri Silla Stone Mounument discovered in 2009, I examined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structure of Silla 6 Bu and the Office rank of Capital and provinces. With this, it was found that Silla 6 Bu was reorganized as a territorial administrative district from a residence-centered district based on kinship and there were palaces as the clan basis of each Bu and messengers(sain; 使人) with private characteristic.
      In addition, it can be figured out that, going through triple systems, as it were, an office rank system of Yangbu(喙部)?Saryangbu(沙喙部), ‘Khanji(干支)-Ilbul(壹伐)’ structure of 4 Bu in capital and ‘Khanji(干支)-IlKumji(壹金知)’ structure in provinces(村; chon), the Office rank system of Silla, which developed from ‘Khanji(干支)-Ilbul(壹伐)’ structure at the beginning of creation of 6 Bu, was organized to the office rank system of capital and provinces when the law was promulgated in the reign of King Bupheung and then the system was completed as Gyeongwi 17 levels of office rank(京位: office rank held by residents of capital) and Woewi 11 levels of office rank(外位: office rank held by residents of provinces) at around 539~561 A.D.
      Moreover, the status hierarchy from True bone(Chingol) to the head rank four (4 dupum) as the core basis of Bone rank system(Golpum System) of Silla was already established in the period of Maripgan and it was enlarged to True bone and head rank system from six to one, then, reflected on the Statute enacted in the reign of King Bupheung.
      번역하기

      Based on a new interpretation of Pohang Jungseongri Silla Stone Mounument discovered in 2009, I examined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structure of Silla 6 Bu and the Office rank of Capital and provinces. With this, it was found that Silla 6 Bu was ...

      Based on a new interpretation of Pohang Jungseongri Silla Stone Mounument discovered in 2009, I examined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structure of Silla 6 Bu and the Office rank of Capital and provinces. With this, it was found that Silla 6 Bu was reorganized as a territorial administrative district from a residence-centered district based on kinship and there were palaces as the clan basis of each Bu and messengers(sain; 使人) with private characteristic.
      In addition, it can be figured out that, going through triple systems, as it were, an office rank system of Yangbu(喙部)?Saryangbu(沙喙部), ‘Khanji(干支)-Ilbul(壹伐)’ structure of 4 Bu in capital and ‘Khanji(干支)-IlKumji(壹金知)’ structure in provinces(村; chon), the Office rank system of Silla, which developed from ‘Khanji(干支)-Ilbul(壹伐)’ structure at the beginning of creation of 6 Bu, was organized to the office rank system of capital and provinces when the law was promulgated in the reign of King Bupheung and then the system was completed as Gyeongwi 17 levels of office rank(京位: office rank held by residents of capital) and Woewi 11 levels of office rank(外位: office rank held by residents of provinces) at around 539~561 A.D.
      Moreover, the status hierarchy from True bone(Chingol) to the head rank four (4 dupum) as the core basis of Bone rank system(Golpum System) of Silla was already established in the period of Maripgan and it was enlarged to True bone and head rank system from six to one, then, reflected on the Statute enacted in the reign of King Bupheu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머리말
      • Ⅰ.「浦項中城里新羅碑」에 나타난 新羅6部와 그 변화
      • Ⅱ.「浦項 中城里新羅碑」와 신라 京外 官等制의 정비
      • Ⅲ. 신라 6부 성격론과 骨品制 형성에 대한 단상
      • 요약
      • 머리말
      • Ⅰ.「浦項中城里新羅碑」에 나타난 新羅6部와 그 변화
      • Ⅱ.「浦項 中城里新羅碑」와 신라 京外 官等制의 정비
      • Ⅲ. 신라 6부 성격론과 骨品制 형성에 대한 단상
      • 맺음말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