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나말려초 및 고려 전기 시간 기록 즉 冊曆 이용의 배경과 양상, 曆法의 필요성, 司天臺의 정비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宣明曆』의 이용과 다른 역법의 사용 가능성, 고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06215
2010
Korean
天命 ; 儀禮 ; 曆法 ; 宣明曆 ; 頒曆 ; 司天臺 ; 冬至 ; Mandate of Heaven ; Rituals ; Calendar System ; Calendrical Science ; Xuanming Calendar ; Dissemination of Almanac by China ; Astronomy Office
KCI등재
학술저널
493-529(37쪽)
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나말려초 및 고려 전기 시간 기록 즉 冊曆 이용의 배경과 양상, 曆法의 필요성, 司天臺의 정비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宣明曆』의 이용과 다른 역법의 사용 가능성, 고려 ...
본 연구에서는 나말려초 및 고려 전기 시간 기록 즉 冊曆 이용의 배경과 양상, 曆法의 필요성, 司天臺의 정비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宣明曆』의 이용과 다른 역법의 사용 가능성, 고려 나름의 수치 계산과 측량을 통한『선명력』의 보정 및 그 내용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고려는 중세 왕조로서 天命思想에 기초하여 시간 이해와 그 지배를 도모하였다. 그것은 紀年과 冊曆의 반포, 曆數와 刻漏등과 직접 관련되는 것이었지만 그 내용은 중농정책을 위한 ‘以時勸農’ 및 月令체제, 다양한 의례의 시간, 인사행정 등에 적용되었다. 고려는 천명사상을 실현하고 천하질서의 중심축으로서 신성화된 군주의 지배체제를 모색하였다. 책력의 반포는 그러한 군주의 위상을 보여주는 상징이었다. 이에 『선명력』을 역 계산의 중요 텍스트로 삼으면서 그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다른 역법즉, 『대연력』이나 ‘대술역법’, 『구집력』, 『건흥력』 및 송의 역법, 『대명력』등을 활용하여 정확한 역일을 제공하고자 했던 것이다. 적어도 ‘일남지’등의 기록을 통해 볼 때 성종 대에는 『선명력』을 중심으로 고려의 실정에 맞는 역일계산을 추산하여 책력을 만들었다 여겨진다.
이상에서처럼 고려왕조는『선명력』등 다양한 역법을 이용한 책력의 편찬과 반포를 통하여 중세왕조로서 정확한 농시의 파악과 역일 계산 내용을 제공하고자 했다. 정치운영 면에 있어서 ‘敬授人時’?‘治曆明時’를 구현하여 의례, 조공, 조세, 관료제 운영 등 왕조 운영의 규칙성과 합리화,
통일성을 꾀하려 했다. 이를 보면 고려 전기의 역법이해와 적용은 한국사에 있어 중세왕조의 성격을 형성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고 하겠다. 그것은 단순히 중국의 역서를 받아서 썼다거나 개경을 중심으로 경도와 위도만 보정한 후 쓴 것으로 평가할 수 없을 것이다. 국제관계 상 중국의 역법과 역일을 일부 수용하면서도 독자적 역일 계산을 해내고 이를 반포함으로써 고려왕조는 자주국으로서의 위상을 보여주었던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in which time record, i.e., the almanac, was used and the necessity for calendrical science,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Astronomy Office, and calendrical science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e Xuanming calendar from e...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in which time record, i.e., the almanac, was used and the necessity for calendrical science,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Astronomy Office, and calendrical science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e Xuanming calendar from end of Silla to early Goryeo period.
As a dynasty of the Middle Ages that was grounded on the idea of Mandate of Heaven, Goryeo contrived to understand time and control it. This is directly related to calendar system and dissemination of almanac as well as numbers used in calculating a calendar and time measured with a clepsydra, the contents of which were applied toward "recommending work according to appropriate farming seasons" for important agricultural policies as well as monthly ordinance system, diverse ritual times, and personnel administration. Goryeo searched for a sacred ruling system of the sovereign through its realization of the idea of Mandate of Heaven and as the axis of universal order. To do so, almanacs, numbers for calculating a calendar, and clepsydra were developed by focusing on the Xuanming calendar. It can be said that comprehension and application of the calendrical science in early Goryeo has contributed greatly toward the formation of Korea"s medieval dynasty. And one cannot evaluate this period as simply adopting China"s book on calendar or using information from this book by merely remeasuring longitude and latitude with Gaegyeong as the center.
Ultimately, Goryeo dynasty was able to accurately provide established pattern of astronomy as well as grasp the farming seasons and calendrical days as a dynasty of the Middle Ages by compilation and dissemination of almanacs that used various calendrical sciences such as the Xuanming calendar.
In statecraft, Goryeo was able to exert itself to inform its people the seasons, months, and days they should observe as well as to accurately reveal the seasons by correcting calculating the calendrical system so that it can plan regulations, rationalization, and unification of dynastic operations such as rituals, tributes, tax, and bureaucratic system. In international relations, Goryeo manifested its status as an independent kingdom by partially accepting China"s calendrical methods and calendrical days while calculating and disseminating its own calendrical day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일권, ""천지서상지"의 역사적 의의와 한국사에서의 사료적 가치" 한국고대사학회 26 : 221-268, 2002
2 나일성, "한국천문학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3 남문현, "한국의 물시계" 건국대학교출판부 54-56, 1995
4 박성래, "한국 전근대의 역사와 시간" 역사비평사 (50) : 2000
5 "증보문헌비고"
6 "조선금석총람"
7 "우리 역사의 하늘과 별자리" 고즈윈 2008
8 한국역사연구회, "역주나말려초금석문" 혜안 1996
9 한정수, "여말선초 지방지식인의 시간 이해 耘谷 元天錫을 중심으로" 한국사상문화학회 (38) : 133-160, 2007
10 "신당서"
1 김일권, ""천지서상지"의 역사적 의의와 한국사에서의 사료적 가치" 한국고대사학회 26 : 221-268, 2002
2 나일성, "한국천문학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3 남문현, "한국의 물시계" 건국대학교출판부 54-56, 1995
4 박성래, "한국 전근대의 역사와 시간" 역사비평사 (50) : 2000
5 "증보문헌비고"
6 "조선금석총람"
7 "우리 역사의 하늘과 별자리" 고즈윈 2008
8 한국역사연구회, "역주나말려초금석문" 혜안 1996
9 한정수, "여말선초 지방지식인의 시간 이해 耘谷 元天錫을 중심으로" 한국사상문화학회 (38) : 133-160, 2007
10 "신당서"
11 "송사"
12 "삼국사기"
13 김일권, "동양천문사상 하늘의 역사" 예문서원 241-250, 2007
14 "동국이상국후집"
15 한정수, "고려중기 지식인층의 시간 이해" 한국사상문화학회 (47) : 55-84, 2009
16 안지원, "고려의 국가 불교의례와 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155-, 2005
17 한정수, "고려시대의 월령과 국가운영" 전북대학교 쌀․삶․문명연구원 (5) : 2010
18 "고려사절요"
19 "고려사"
20 "고려도경"
21 한정수, "고려 초의 국제관계와 年號紀年에 대한 재검토" 역사학회 (208) : 203-233, 2010
22 한정수, "고대사회의 '농시(農時)'의 이해" 한국역사연구회 (57) : 209-239, 2005
23 李龍範, "麗代의 僞曆에 對하여" 震檀學會 (29) : 1966
24 大谷光男, "高麗朝および 高麗史の曆日について" 조선학회 141 : 1991
25 金昌賢, "高麗時代 日官에 관한 一考察" 한국사학회 (45) : 1992
26 김해영, "高麗史 天文志의 檢討" 경상대사학회 2 : 1986
27 朴星來, "高麗初의 曆과 年號" 一志社 10 : 1978
28 이희덕, "高麗儒敎政治思想의 硏究" 一潮閣 63-64, 1984
29 李殷晟, "韓國의 冊曆 上" 電波科學社 83-, 1978
30 全相運, "韓國科學技術史" 정음사 1983
31 국사편찬위원회,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Ⅲ" 1995
32 "舊唐書"
33 "稼亭集"
34 "漢書"
35 "海東繹史"
36 "書經"
37 斉藤国治, "日本․中国․朝鮮古代の時刻制度 : 古天文学による検証" 雄山閣 1995
38 "國朝寶鑑"
39 김일권, "元曉와 憬興의 金光明經 註疏에 나타난 신라의 天文 星宿 世界觀"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17) : 2000
40 薄樹人, "中國天文學史" 文津出版社 172-176, 1996
41 "中國の時計" 19 :
42 全相運, "三國 및 統一新羅時代의 天文儀器" 3 : 1964
43 박성래, "〈수시력〉 수용과 〈칠정산〉 완성" 한국과학사학회 24 (24): 1992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1 | 1.11 | 1.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3 | 1.05 | 2.153 | 0.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