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졸 고학력 노동시장 미스매치 연구 = Graduates Educated Labor Market Mismatch Resea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863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우리나라의 대학은 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제대로 길러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물론 대학이라는 상아탑의 존립 목적이 실용성만을 강조한 기술 교육으로 나아가기는...

      최근 우리나라의 대학은 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제대로 길러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물론 대학이라는 상아탑의 존립 목적이 실용성만을 강조한 기술 교육으로 나아가기는 어렵고, 또한 그것이 올바른 방향도 아닐 것이다. 그러나 학생이나 기업체에서 바라보는 대학 교육의 만족도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냉정하게 반성해야 할 필요성은 있다. 이를 통해 학생이나 기업체에서 절실히 원하는 교육 항목이나 내용을 일부 커리큘럼에 반영한다거나 기초 지식이나 전공 지식 습득과 아울러 이에 대한 교육을 병행해 나간다면 대학 교육이 가지는 한계성을 어느 정도 극복하고, 학생들의 취업률을 제고시키는 데에도 일조하게 될 것이다.
      대졸 고학력자 취업난의 주요 원인으로 인력의 수요와 공급에서 다양한 특성으로 인해 불일치하게 되는 현상인 미스매치(Mismatch)를 꼽을 수 있다. 인력시장에서의 기업과 구직자간 정보의 격차에 따른 인식의 차이와 적절한 직장의 매칭이 발생하지 않아 수요자와 공급자 모두가 곤란을 겪는 문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력의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즉 미스매치의 실질적인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그 원인과 함께 미스매치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충남 지역 인력시장의 공급 측면과 수요 측면을 구분하여 각기 사안에 따른 인식을 조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대학 졸업자의 실업에 대한 원인 중의 하나로 미스매치 문제가 언급된 적은 많지만 미스매치만을 주제로 하여 실제 대학생과 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 원인을 규명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인력 수급 상에 있어서의 미스매치 문제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대안을 모색하여 향후 학생들의 취업률 제고와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 방안을 제시하였다.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 대학교육의 질적 경쟁력 제고, 고용관리관행의 개혁, 산학연계체계 강화, 종합정보체제 구축 등으로 정리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people in the industry have pointed out that universities of Korea have not properly raised educated labor force. Existence of universities as the ivory towers is difficult to emphasis on the education of technology, and it will not be the co...

      Recently people in the industry have pointed out that universities of Korea have not properly raised educated labor force. Existence of universities as the ivory towers is difficult to emphasis on the education of technology, and it will not be the correct direction. However, the college students and the business persons desperate the contents of the desired training item or curriculum reflected the basic knowledge. Therefore the knowledge as well as major concurrently training would be overcome the limitations of university education and students' employment would be improved. Graduates educated unemployment causes from mismatch of supply and demand for manpower due to the inconsistencies in the various characteristics. Information between companies and students in the labor market due to the gap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 does not generate adequate job of matching both the demander and the supplier can be a matter for frustration.
      In this study, the imbalance of supply and demand of labor, ie, the current status of the mismatch is examined and alternatives to overcome with a mismatch are explored. To do this, the demand side and the supply side of Chungcheongnam local labor market are comparatively analyzed.
      Unemployment of university graduates is one of the reasons for the mismatch problem,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that have determined the cause of the mismatch problem using the actual students and businesses to conduct such a survey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s. In this study, the mismatch problem on the labor market is accurately recognized and alternatives are sought to increase of in the future students' employment and provide ways to employment shortage of small businesses. As a way to bridge the mismatch, competitiveness of university education quality, reform of management practices employed, strengthening university-industry linkage systems, and building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s, etc. can be summariz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