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환경에 맞게 재설계된 「예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인식과 경험에 대해 질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수업에 참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042663
2020
-
607
KCI등재
학술저널
167-193(27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환경에 맞게 재설계된 「예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인식과 경험에 대해 질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수업에 참여...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환경에 맞게 재설계된 「예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인식과 경험에 대해 질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7명의 학생들을 선정하여 이메일 면담을 진행하였고 면담기록물 및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수업이기에 가능하였던 ‘익명성이보장하는 솔직함’은 학습자가 내면을 노출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을 낮추었으며 타인에 대한 고정관념을 걷어내어 서로에게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물리적으로는 접촉하지 못하고 있었지만 편견 없이 자신의 목소리가 들려지는 경험을 통해온라인 수업 공간이 ‘선입견 없는 안전한 공간’이라고 인식하게 되었다. 둘째, ‘기록과 성찰을 가능하게 하는 워크시트’와‘파트너의 피드백과 공감’은 기술의 불편함을 넘어서는 상호작용의 경험을 가능하게 하였다. 셋째, 온라인 수업에서의 예술적경험은 학생들에게 새로운 자기표현의 방법을 획득하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예술은 ‘누군가의 것이 아닌 누구나의 것’이라고인식하게 되었으며 예술로 여기지 않았던 일상적 행위들 안에서 미적 의미를 발견하는 기회가 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litatively explore the learners’ perception and experience on online class, focusing on the case of 「Theory and Practice of Art Therapy」 redesigned for online environment. 7 students who attended the class we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litatively explore the learners’ perception and experience on online class, focusing on the case of 「Theory and Practice of Art Therapy」 redesigned for online environment. 7 students who attended the class were selected for the email interview, and various data including interview record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rankness guaranteed by anonymity made possible by untact class, lessened the burden of the learners to expose their inside and had positive effect on each other by breaking stereotypes. Although they couldn t make physical contact, the experience of hearing their own voice without prejudice led them to recognize the online class space as a ‘safe space without preconception’. Second, Worksheets for recording and reflection and Partner s feedback and empathy allowed interactive experiences that exceed the inconvenience of technology. Third, the artistic experience in online class provided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acquire a new way of self-expression, to recognize that the art is anyone s, not someone s , and to discover aesthetic meaning within ordinary acts not considered ar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지연, "현대인의 익명적 이미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 Mcniff, S., "통합예술치료" 한국학술정보(주) 2014
3 오재호, "코로나 19가 앞당긴 미래, 교육하는 시대에서 학습하는 시대로" 2020 (2020): 1-25, 2020
4 배영임, "코로나 19, 언택트 사회를 가속화하다" 2020 (2020): 1-26, 2020
5 Kramer, A., "치료로서의 미술" 시그마프레스 2007
6 최혜진, "창의·융합을 위한 대학의 체험교육 방법 연구-교양교육과정 설계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38 (38): 39-70, 2016
7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아카데미프레스 2012
8 정병은, "장애아동의 사회적 포용을 위한 문화예술정책" 281-311, 2016
9 권상희, "인터넷미디어의 상호작용성이 라디오방송 제작방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11 : 5-44, 2003
10 정옥희, "인문학적 접근 미술교육의 필요성과 실천 가능성"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5 (15): 71-98, 2014
1 이지연, "현대인의 익명적 이미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 Mcniff, S., "통합예술치료" 한국학술정보(주) 2014
3 오재호, "코로나 19가 앞당긴 미래, 교육하는 시대에서 학습하는 시대로" 2020 (2020): 1-25, 2020
4 배영임, "코로나 19, 언택트 사회를 가속화하다" 2020 (2020): 1-26, 2020
5 Kramer, A., "치료로서의 미술" 시그마프레스 2007
6 최혜진, "창의·융합을 위한 대학의 체험교육 방법 연구-교양교육과정 설계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38 (38): 39-70, 2016
7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아카데미프레스 2012
8 정병은, "장애아동의 사회적 포용을 위한 문화예술정책" 281-311, 2016
9 권상희, "인터넷미디어의 상호작용성이 라디오방송 제작방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11 : 5-44, 2003
10 정옥희, "인문학적 접근 미술교육의 필요성과 실천 가능성"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5 (15): 71-98, 2014
11 김경숙, "음악치료 교양수업 수강생들의 심리적 안녕과 음악치유경험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2 강인애, "왜 구성주의인가" 문음사 1997
13 조석연, "온라인을 활용한 대학교양교육에서의 국악교육" 한국국악교육학회 44 (44): 215-238, 2017
14 문영대, "온라인에서 보여지는 미술교육의 형태와 정보론적 변화에 대해" 13 (13): 261-277, 2003
15 서희전,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학습자 특성, 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결과 간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1 (21): 1-28, 2005
16 최희재,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기술적, 사회적 익명성이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0 (10): 63-74, 2009
17 강인애, "온라인 박물관을 활용한 시각문화미술교육의 수업사례: 맥락적 학습과 자기주도적 학습을 중심으로" 한국조형교육학회 (56) : 1-34, 2015
18 이정기, "온라인 대학교육"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19 이은진, "예술치료를 활용한 마음교양강좌가 대학생의 대인관계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7 (27): 437-459, 2011
20 한국예술치료학회, "예술치료 용어 사전" 양서원 2010
21 정옥희, "예술체험을 통한 대학 인문교양교육 활성화 사례 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64) : 171-194, 2017
22 이모영, "예술심리치료에서 예술의 창조적 차원에 대한 고찰 : 예술에 대한 인지적 관점을 중심으로" 4 (4): 109-129, 2008
23 Malchiodi, C. A., "사이버 미술치료의 가능성 : 미술치료와 컴퓨터 테크놀로지" 서울하우스 2011
24 손지현, "반성적 글쓰기를 통해 보는 미술과 교육실습"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2 : 155-172, 2007
25 Rubin, J. A., "미술치료학개론" 시그마프레스 2006
26 현성숙, "미술치료에서의 디지털이미지의 활용과 접근"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13) : 453-466, 2006
27 박소정, "미술치료에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가능한 자기’의 적용"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5 (15): 153-178, 2019
28 홍은주, "미술치료 교양강좌가 대학생의 자기성장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1 (21): 427-439, 2010
29 Malchiodi, C. A., "미술치료" 서울하우스 2008
30 한국미술교과교육학회, "미술교육 이론의 탐색" 예경 2003
31 양지연, "뮤지엄 온라인 원격교육의 의미와 방향" 한국문화교육학회 14 (14): 77-99, 2019
3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화예술교육 전환을 위한 특별대담 기록집"
33 오유진, "문학·음악·미술을 통합한 대학교양 수업 연구"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3) : 197-217, 2015
34 이상희, "디지털 미술치료의 가능성 및 발전방향" 1309-1315, 2009
35 문현영, "대학의 교양강좌를 이용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11 (11): 33-44, 2011
36 오혜영, "대학생의 심리적 위기 극복 및 인성계발 지원사업설계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8
37 손동현, "대학교양교육론" 철학과 현실사 2019
38 이배용, "대학교양교육과 이화여자대학교의 비전" 3 (3): 5-20, 2009
39 임은정, "대학 교육과정 결정과정의 특징: 4개 대학 교양 교육과정 결정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81-107, 2007
40 김순임, "대학 교양교육의 흐름과 발전 방안-전남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1-39, 2013
41 박주호, "대학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 만족도 및 교육과정 개선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43-82, 2014
42 윤유진, "대학 교양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국내•외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비교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259-286, 2018
43 박미정, "대학 교양교과목에서 예술치료에 대한 재학생 인식 정도 및 만족도 연구" 한독심리운동학회 2 (2): 77-94, 2016
44 소현경, "국내 디지털미술치료의 현황과 발전방향" 사)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8 (8): 35-49, 2018
45 오헌석, "교육의 미래를 디자인하다" 학지사 139-171, 2015
46 손동현, "교양교육의 새로운 위상과 그 강화 방책" 3 (3): 5-22, 2009
47 김인설,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칼럼"
48 강인애, "‘성찰저널(Reflective Journal)’이 지닌 교육적 의미에 대한 탐구: 대학에서의 수업사례" 한국교육방법학회 21 (21): 93-117, 2009
49 김지현, "학제적 교양교과과정의 특징과 의의 ― 하버드대학 ‘새 교양교육(New General Education)’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193-247, 2014
50 Nadella, S., "https://www.microsoft.com/ko-kr/microsoft-365/blog/2020/05/19/microsoft-teamsfluid-framework-new-microsoft-365/"
51 김선아,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25/2020052502660.html"
52 전정운, "e-Learning을 활용한 문화소외계층의 문화예술교육 방안연구"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09
53 OECD,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54 윤유진,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대학의 교양교육의 만족도 및 요구도 조사"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311-325, 2020
55 최형신, "21세기의 이러닝" 학지사 2013
미술교육 파트너십의 목표 형성 과정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기업연계 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초등교사 예술 전문성 신장을 위한 도예 직무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
영아 숲·예술놀이 프로그램 적용연구 창의적 예술 표현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7-2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Society For Art Education Of Korea -> Society for Art Education of Korea | ![]() |
2005-06-15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조형교육외국어명 : ART EDUCATION REVIEW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6 | 0.86 | 0.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2 | 0.76 | 0.941 | 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