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현대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오브제의 조형성 연구 = The Modeling Study on Hair Style as Found in the Hair Colle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2595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odeling study of objet expressed by hair style.
      The modern idea such as unification, concentration, standardization of Modernism which was epochal in the 20th century art field gradually fell backward while the idea creating new culture in the peak of 1960s is on the rise.
      By expressing this existential crisis sense and a sense of a lienation in the form of radicalism, post structural idea became influential. People felt apprehensions and unbelief about multipolarization and subdivision.
      As establishment and use of multimedia date base has been generalization since 21st century, modern society called multicode-internet generation is being changed so rapidly that every art field becomes one in value system information of globalization.
      Because of the phenomenon of transmit to this information society, the border between each culture collapses, a new culture is formed through cultural exchange between each culture and the style in the cultural art appeared variously through the phenomenon of post modernism.
      Hair style is a main cause, which is judged human's sensibility and personality, personal beauty sense and appearance with dress. It has been a symbolic role communicating and expressing a standard of living and position.
      As hair style is changed by human's mental desire which pursues the then current culture, a fixed idea and a new idea, it reflects the image of the then current society. but the study on the structure of objet expressed in hair style of the modern collection indicating the trend recently is unsatisfying, so it is very significant to examine the objet phenomenon as found in modern artistic trend about the structure of jean hair style in main world collection.
      Therefore I'd like to investigate about the objet structure expressed in hair style as found in modern collection on this article.
      I'm willing to analyze systematically the hair style in modern collection from 2005 to 2013 as the objet expressed in the hair style found in modern collection and the objet characteristics found in art through the theoretical access.
      This study is very important in general fashion expressing the artistry of hair style and shows culture area in the mirror of the current art style. Taking a step forward in collection, it is help to direction about new creativity in real popularization.
      This si the study on the objet modeling expressed in the hair style. The range and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material of the objet as found in the hair style and a kind of hairstyle?
      Second, research the concept of the obze and development background, then classify modeling characteristics as found in artistic trend.
      Third, make clea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on comparing modeling of the objet expressed in the hair style with hairdesign factors.
      The objet originates in Latin 'objectum' meaning special object which leads to human's subconsciousness and mental action strongly. It is also French meaning the object, things of symbolic function which cause people to give rise to a latent desire and fantasy by recording things not related to the art or things apart from original daily use.
      To begin with, the materials of the objet found in the hair style are paper including a band tape, Korean paper, plastic paper and a fiber including lace, cloth and feathers metal, acryly, rubber and so on.
      I analyze the modeling characteristics of the objet expressed in art by many researchers and classify the modeling of the objet expressed in hair style as Fusion nature, Imitative nature and Extension nature.
      Fusion nature means that it makes original nature of the object lost, denies tradition nature, emphasizes the modeling of its own design with a new thing and then is created naturally.
      Imitative nature means that the exsiting form is pure structural elements, we make the most of already existent form and the image occuring to other concept. Extension nature means that the abstract objet is disqualified individuality, materiality is more emphasized and gets the abstract effect.
      In Fusion nature, strong wave was usually expressed and the material of objet such as thread, tissue, feather, sunglasses, netting thread was used. The objet with the compounding of heterogeneous factors and the abstract expression were used by showing the form of objet vertically.
      Imitative nature was expressed to utilize the image on the ground of using existent figures. It can be a challenge about new aesthetic sense. In imitative nature objet, it is classified as being expressed nature, people and things.
      It showed that the traditional custom getting away from a fixed idea and the use of objet getting away from the expression of standarized hair style was an area that can be expanded endlessly.
      It is usually expressed a pony tail style which binds whole hair neatly. We can divide objet expressing nature, people, things. The objet expressed nature with flowers, trees, butterflies and people with indians and things with hats, hairstyle.
      Extension nature means that the objet represented with extensional things expresses humor and irony as expression of a new aesthetic sense due to the meaning turn of unbecoming things. Then it evokes dramatical effect.
      It can be moved by interaction deri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model human body. It has movability which is easy to move and fluidity which is able to change depending on condition or occasion.
      It expand things to the objet or expresses Kitsch by means of the meaning turn of unreal and irrelevant objet.
      Therefore, extension nature draws a line between the objet expanded things and Kitsch objet.
      As you examine in this study, the use of objet is various and is to have potential to recreate limitless images. The analysis of art by various objet phenomenon enables us to see the artwork with a new visual sens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old cognition. By showing strange or impossible expression so far, and through the understanding about the expression aspect of objet in hair style, it showed that hairstyle is various and can be analyzed with a new method.
      번역하기

      The modeling study of objet expressed by hair style. The modern idea such as unification, concentration, standardization of Modernism which was epochal in the 20th century art field gradually fell backward while the idea creating new culture in the p...

      The modeling study of objet expressed by hair style.
      The modern idea such as unification, concentration, standardization of Modernism which was epochal in the 20th century art field gradually fell backward while the idea creating new culture in the peak of 1960s is on the rise.
      By expressing this existential crisis sense and a sense of a lienation in the form of radicalism, post structural idea became influential. People felt apprehensions and unbelief about multipolarization and subdivision.
      As establishment and use of multimedia date base has been generalization since 21st century, modern society called multicode-internet generation is being changed so rapidly that every art field becomes one in value system information of globalization.
      Because of the phenomenon of transmit to this information society, the border between each culture collapses, a new culture is formed through cultural exchange between each culture and the style in the cultural art appeared variously through the phenomenon of post modernism.
      Hair style is a main cause, which is judged human's sensibility and personality, personal beauty sense and appearance with dress. It has been a symbolic role communicating and expressing a standard of living and position.
      As hair style is changed by human's mental desire which pursues the then current culture, a fixed idea and a new idea, it reflects the image of the then current society. but the study on the structure of objet expressed in hair style of the modern collection indicating the trend recently is unsatisfying, so it is very significant to examine the objet phenomenon as found in modern artistic trend about the structure of jean hair style in main world collection.
      Therefore I'd like to investigate about the objet structure expressed in hair style as found in modern collection on this article.
      I'm willing to analyze systematically the hair style in modern collection from 2005 to 2013 as the objet expressed in the hair style found in modern collection and the objet characteristics found in art through the theoretical access.
      This study is very important in general fashion expressing the artistry of hair style and shows culture area in the mirror of the current art style. Taking a step forward in collection, it is help to direction about new creativity in real popularization.
      This si the study on the objet modeling expressed in the hair style. The range and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material of the objet as found in the hair style and a kind of hairstyle?
      Second, research the concept of the obze and development background, then classify modeling characteristics as found in artistic trend.
      Third, make clea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on comparing modeling of the objet expressed in the hair style with hairdesign factors.
      The objet originates in Latin 'objectum' meaning special object which leads to human's subconsciousness and mental action strongly. It is also French meaning the object, things of symbolic function which cause people to give rise to a latent desire and fantasy by recording things not related to the art or things apart from original daily use.
      To begin with, the materials of the objet found in the hair style are paper including a band tape, Korean paper, plastic paper and a fiber including lace, cloth and feathers metal, acryly, rubber and so on.
      I analyze the modeling characteristics of the objet expressed in art by many researchers and classify the modeling of the objet expressed in hair style as Fusion nature, Imitative nature and Extension nature.
      Fusion nature means that it makes original nature of the object lost, denies tradition nature, emphasizes the modeling of its own design with a new thing and then is created naturally.
      Imitative nature means that the exsiting form is pure structural elements, we make the most of already existent form and the image occuring to other concept. Extension nature means that the abstract objet is disqualified individuality, materiality is more emphasized and gets the abstract effect.
      In Fusion nature, strong wave was usually expressed and the material of objet such as thread, tissue, feather, sunglasses, netting thread was used. The objet with the compounding of heterogeneous factors and the abstract expression were used by showing the form of objet vertically.
      Imitative nature was expressed to utilize the image on the ground of using existent figures. It can be a challenge about new aesthetic sense. In imitative nature objet, it is classified as being expressed nature, people and things.
      It showed that the traditional custom getting away from a fixed idea and the use of objet getting away from the expression of standarized hair style was an area that can be expanded endlessly.
      It is usually expressed a pony tail style which binds whole hair neatly. We can divide objet expressing nature, people, things. The objet expressed nature with flowers, trees, butterflies and people with indians and things with hats, hairstyle.
      Extension nature means that the objet represented with extensional things expresses humor and irony as expression of a new aesthetic sense due to the meaning turn of unbecoming things. Then it evokes dramatical effect.
      It can be moved by interaction deri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model human body. It has movability which is easy to move and fluidity which is able to change depending on condition or occasion.
      It expand things to the objet or expresses Kitsch by means of the meaning turn of unreal and irrelevant objet.
      Therefore, extension nature draws a line between the objet expanded things and Kitsch objet.
      As you examine in this study, the use of objet is various and is to have potential to recreate limitless images. The analysis of art by various objet phenomenon enables us to see the artwork with a new visual sens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old cognition. By showing strange or impossible expression so far, and through the understanding about the expression aspect of objet in hair style, it showed that hairstyle is various and can be analyzed with a new meth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세기 예술분야의 획을 그었던 모더니즘적 구조주의의 획일화, 집중화, 규격화 등의 근대 사상은 1960년대를 정점으로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려는 사상이 대두되면서 서서히 퇴보하게 되었다. 이러한 실존적 위기의식과 소외감을 '급진주의'적인 형식으로 나타냄으로써 후기 구조주의 사상이 대두 되었고 인간의 주체와 자아에 대한 의구심과 회의를 느끼게 되고 예술의 분야가 다원화, 세분화가 되었다. 또한 21세기에 접어들어 멀티미디어 데이터 베이스의 구축과 이용이 보편화되면서 `멀티코드-인터넷세대`로 대변되는 현대 사회는 globalization의 가치체계정보로 모든 예술 분야가 하나가 되어 빠른 속도로 변화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정보화 사회로의 전이(轉移)현상으로 인해 각 문화 간의 경계가 와해되거나, 각 문화 간의 교류로 인해 새로운 문화가 형성되고 포스트 모더니즘 현상으로 인해 문화 예술에서도 그 양식에 있어 다양한 변화가 나타났다.
      헤어스타일은 인간의 감성과 개성, 개인의 미적 감각과 외모를 가름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그 외 생활수준이나 지위, 신분을 나타내고 전달하는 상징적 역할을 해왔으며 그 시대의 문화와 고정관념, 그리고 새로운 사상을 추구하는 인간 심리의 욕구에 의하여 변하게 되므로 써 그 시대의 사회상을 반영한다. 최근 들어 트랜드를 제시하는 현대컬렉션에서의 헤어스타일에 표현된 오브제의 조형성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기에 세계 주요 컬렉션에서 보여 진 헤어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하여 현대의 예술사조에 흔히 나타나고 있는 오브제의 현상을 살펴보는 것은 큰 의의가 있다고 사료되므로 본고에서는 현대컬렉션에서 나타난 헤어스타일에 표현된 오브제의 조형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오브제의 이론적 접근을 통하여 현대 컬렉션에 나타난 최근 2005년부터 2013년까지 헤어스타일을 미술에서 나타난 오브제의 특성과 현대컬렉션에서 나타난 헤어스타일에 표현된 오브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데 이는 헤어스타일의 예술성을 표현하는 전체적인 패션의 중요한 것으로써 시대의 예술 양식을 반영하는 문화 영역임을 보여주고, 컬렉션에서 더 나아가 실제 대중화에 있어 새로운 창조에 대한 방향성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대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디자인 특성을 밝히고 오브제의 개념과 발생배경을 고찰하여 미술에 나타난 오브제의 조형성을 분류하고 헤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의 종류를 밝혀 현대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오브제의 조형성에 따른 표현 특성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현대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디자인의 표현 특성과 헤어오브제의 조형성에 나타난 표현 특성을 밝혀 연구한 결과는 헤어디자인 분야에서도 창의적이고 예술성을 표현하는 개성적인 헤어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먼저 뉴욕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디자인은 주로 굵은 웨이브나 풍성함을 표현하여 립에만 포인트를 주어 메이크업을 하거나 단정하게 하나로 묶어 포니테일 스타일로 표현하여 수수한 스타일의 표현을 하였고 런던 컬렉션의 헤어디자인은 모발에 장식을 얹거나 두상에 무언가를 뒤집어 쓴 스타일이 많았는데 대표적으로 똬리를 틀어 올리거나 여러 가지 헤어컬러를 체인지하는 스타일이었으며 눈과 입술을 강조한 메이크업이 주로 많았으며 밀라노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디자인은 전체적으로 반듯하고 깔끔한 헤어스타일 보다는 한쪽으로 머리를 기우려 한쪽에 무거움을 표현하거나 높게 묶어 마치 마리 앙투아네트를 연상시킨 듯 빽콤의 효과로 풍성하게 부풀려 전체적으로 크고 웅장함을 나타내거나, 앞머리에 무게감을 주어 앞으로 쏠리듯 하였고 강한 섀도우의 표현으로 눈을 강조한 메이크업을 주로 많이 하였고 파리컬렉션에 나타난 헤어디자인은 여러 컬러의 표현으로 각자 다른 이미지를 표현한 헤어스타일이 주로 많았으며, 밀라노 컬렉션과 비슷하게 비대칭으로 한쪽으로 머리를 쏟아지게 하는 헤어스타일과 강한 섀도우로 눈을 강조하거나 선으로 윤곽을 또렷하게 만들어 주는 메이크업을 주로 하였다.
      미술에 나타난 오브제의 조형성을 분류하여 헤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의 종류를 현대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오브제의 조형적 특성을 바탕으로 헤어오브제의 조형성 분류를 융합성, 모방성, 확장성으로 나누었다.
      헤어오브제의 융합성은 제대로 오브제를 다루는 과정에 의해서 물체의 원래 성질을 상실시켜 전통성을 부정하고 새로움을 추구하여 물질성이 더 강조 되어 순수하게 창조한다는 것을 의미하였고 모방성은 기존의 형태는 순수한 구성적 요소로써 이미 존재하고 있는 형상을 그대로 활용하여 형태가 주는 관념을 떠올리게 하는 이미지를 살리는 것이다. 융합성에서는 주로 강한 웨이브를 하였고 오브제의 종류는 섬유에 속하는 실, 휴지, 깃털, 선글라스, 망사 등을 사용하여 서로 이질적인 요소들을 융합시켜 오브제로 사용하여 오브제의 형태미를 수직적인 곡선이나 와선 등으로 선의 미를 추상적으로 표현하였고 모방성은 머리를 하나로 단정하게 묶은 포니테일 스타일을 하였으며, 모방성에서 자연, 사람, 사물을 오브제로 하였다. 자연을 표현을 오브제로는 꽃, 나무, 나비 등을 표현하였으며, 사람은 깃털을 염색하여 인디언과 같이 표현하며, 사물은 언 발란스(unbalance)로 비스듬하게 쓴 모자와 딱딱한 직선 형태로 표현하였다.
      확장성은 사물을 확장하여 오브제로 표현 된 것으로 전혀 어울리지 않는 사물의 의미전환과 새로운 미의식의 표현으로 유머와 풍자를 표현하거나 극적인 효과를 자아내어 모델인체의 움직임에 따라 파생되는 상호작용으로 인해 움직일 수 있거나 움직이기 쉬운 성질인 가동성과 형편이나 경우에 따라 변할 수 있는 유동성을 지니며 고정되지 않은 오브제를 그대로 놓아둠으로써 우연성과 의외성을 발견할 수 있는 우산이나, 바퀴, 스텐드 등을 의미전환으로 표현되었고 캔, 비닐, 새장 등 천박하고 값싼 장식을 한 것은 키치적인 오브제의 확장성으로 표현되었다.
      오브제의 사용은 다양하며 무한한 이미지를 재창출 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며 다양한 오브제 현상에 의한 작품의 분석은 과거의 인식과는 다른 새로운 시각으로 작품을 바라볼 수 있게 해주고 이제까지 불가능하거나 낯선 표현들을 나타냄으로써 헤어스타일에 있어서 오브제의 표현양상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헤어스타일이 다양하고 새로운 방법으로 해석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번역하기

      20세기 예술분야의 획을 그었던 모더니즘적 구조주의의 획일화, 집중화, 규격화 등의 근대 사상은 1960년대를 정점으로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려는 사상이 대두되면서 서서히 퇴보하게 되었다...

      20세기 예술분야의 획을 그었던 모더니즘적 구조주의의 획일화, 집중화, 규격화 등의 근대 사상은 1960년대를 정점으로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려는 사상이 대두되면서 서서히 퇴보하게 되었다. 이러한 실존적 위기의식과 소외감을 '급진주의'적인 형식으로 나타냄으로써 후기 구조주의 사상이 대두 되었고 인간의 주체와 자아에 대한 의구심과 회의를 느끼게 되고 예술의 분야가 다원화, 세분화가 되었다. 또한 21세기에 접어들어 멀티미디어 데이터 베이스의 구축과 이용이 보편화되면서 `멀티코드-인터넷세대`로 대변되는 현대 사회는 globalization의 가치체계정보로 모든 예술 분야가 하나가 되어 빠른 속도로 변화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정보화 사회로의 전이(轉移)현상으로 인해 각 문화 간의 경계가 와해되거나, 각 문화 간의 교류로 인해 새로운 문화가 형성되고 포스트 모더니즘 현상으로 인해 문화 예술에서도 그 양식에 있어 다양한 변화가 나타났다.
      헤어스타일은 인간의 감성과 개성, 개인의 미적 감각과 외모를 가름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그 외 생활수준이나 지위, 신분을 나타내고 전달하는 상징적 역할을 해왔으며 그 시대의 문화와 고정관념, 그리고 새로운 사상을 추구하는 인간 심리의 욕구에 의하여 변하게 되므로 써 그 시대의 사회상을 반영한다. 최근 들어 트랜드를 제시하는 현대컬렉션에서의 헤어스타일에 표현된 오브제의 조형성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기에 세계 주요 컬렉션에서 보여 진 헤어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하여 현대의 예술사조에 흔히 나타나고 있는 오브제의 현상을 살펴보는 것은 큰 의의가 있다고 사료되므로 본고에서는 현대컬렉션에서 나타난 헤어스타일에 표현된 오브제의 조형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오브제의 이론적 접근을 통하여 현대 컬렉션에 나타난 최근 2005년부터 2013년까지 헤어스타일을 미술에서 나타난 오브제의 특성과 현대컬렉션에서 나타난 헤어스타일에 표현된 오브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데 이는 헤어스타일의 예술성을 표현하는 전체적인 패션의 중요한 것으로써 시대의 예술 양식을 반영하는 문화 영역임을 보여주고, 컬렉션에서 더 나아가 실제 대중화에 있어 새로운 창조에 대한 방향성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대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디자인 특성을 밝히고 오브제의 개념과 발생배경을 고찰하여 미술에 나타난 오브제의 조형성을 분류하고 헤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의 종류를 밝혀 현대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오브제의 조형성에 따른 표현 특성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현대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디자인의 표현 특성과 헤어오브제의 조형성에 나타난 표현 특성을 밝혀 연구한 결과는 헤어디자인 분야에서도 창의적이고 예술성을 표현하는 개성적인 헤어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먼저 뉴욕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디자인은 주로 굵은 웨이브나 풍성함을 표현하여 립에만 포인트를 주어 메이크업을 하거나 단정하게 하나로 묶어 포니테일 스타일로 표현하여 수수한 스타일의 표현을 하였고 런던 컬렉션의 헤어디자인은 모발에 장식을 얹거나 두상에 무언가를 뒤집어 쓴 스타일이 많았는데 대표적으로 똬리를 틀어 올리거나 여러 가지 헤어컬러를 체인지하는 스타일이었으며 눈과 입술을 강조한 메이크업이 주로 많았으며 밀라노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디자인은 전체적으로 반듯하고 깔끔한 헤어스타일 보다는 한쪽으로 머리를 기우려 한쪽에 무거움을 표현하거나 높게 묶어 마치 마리 앙투아네트를 연상시킨 듯 빽콤의 효과로 풍성하게 부풀려 전체적으로 크고 웅장함을 나타내거나, 앞머리에 무게감을 주어 앞으로 쏠리듯 하였고 강한 섀도우의 표현으로 눈을 강조한 메이크업을 주로 많이 하였고 파리컬렉션에 나타난 헤어디자인은 여러 컬러의 표현으로 각자 다른 이미지를 표현한 헤어스타일이 주로 많았으며, 밀라노 컬렉션과 비슷하게 비대칭으로 한쪽으로 머리를 쏟아지게 하는 헤어스타일과 강한 섀도우로 눈을 강조하거나 선으로 윤곽을 또렷하게 만들어 주는 메이크업을 주로 하였다.
      미술에 나타난 오브제의 조형성을 분류하여 헤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의 종류를 현대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오브제의 조형적 특성을 바탕으로 헤어오브제의 조형성 분류를 융합성, 모방성, 확장성으로 나누었다.
      헤어오브제의 융합성은 제대로 오브제를 다루는 과정에 의해서 물체의 원래 성질을 상실시켜 전통성을 부정하고 새로움을 추구하여 물질성이 더 강조 되어 순수하게 창조한다는 것을 의미하였고 모방성은 기존의 형태는 순수한 구성적 요소로써 이미 존재하고 있는 형상을 그대로 활용하여 형태가 주는 관념을 떠올리게 하는 이미지를 살리는 것이다. 융합성에서는 주로 강한 웨이브를 하였고 오브제의 종류는 섬유에 속하는 실, 휴지, 깃털, 선글라스, 망사 등을 사용하여 서로 이질적인 요소들을 융합시켜 오브제로 사용하여 오브제의 형태미를 수직적인 곡선이나 와선 등으로 선의 미를 추상적으로 표현하였고 모방성은 머리를 하나로 단정하게 묶은 포니테일 스타일을 하였으며, 모방성에서 자연, 사람, 사물을 오브제로 하였다. 자연을 표현을 오브제로는 꽃, 나무, 나비 등을 표현하였으며, 사람은 깃털을 염색하여 인디언과 같이 표현하며, 사물은 언 발란스(unbalance)로 비스듬하게 쓴 모자와 딱딱한 직선 형태로 표현하였다.
      확장성은 사물을 확장하여 오브제로 표현 된 것으로 전혀 어울리지 않는 사물의 의미전환과 새로운 미의식의 표현으로 유머와 풍자를 표현하거나 극적인 효과를 자아내어 모델인체의 움직임에 따라 파생되는 상호작용으로 인해 움직일 수 있거나 움직이기 쉬운 성질인 가동성과 형편이나 경우에 따라 변할 수 있는 유동성을 지니며 고정되지 않은 오브제를 그대로 놓아둠으로써 우연성과 의외성을 발견할 수 있는 우산이나, 바퀴, 스텐드 등을 의미전환으로 표현되었고 캔, 비닐, 새장 등 천박하고 값싼 장식을 한 것은 키치적인 오브제의 확장성으로 표현되었다.
      오브제의 사용은 다양하며 무한한 이미지를 재창출 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며 다양한 오브제 현상에 의한 작품의 분석은 과거의 인식과는 다른 새로운 시각으로 작품을 바라볼 수 있게 해주고 이제까지 불가능하거나 낯선 표현들을 나타냄으로써 헤어스타일에 있어서 오브제의 표현양상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헤어스타일이 다양하고 새로운 방법으로 해석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방법 및 내용 2
      • Ⅱ. 현대 컬렉션에서 나타난 헤어디자인 4
      • 1. 현대컬렉션 4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방법 및 내용 2
      • Ⅱ. 현대 컬렉션에서 나타난 헤어디자인 4
      • 1. 현대컬렉션 4
      • 1) 뉴욕컬렉션 4
      • 2) 런던컬렉션 5
      • 3) 밀라노 컬렉션 6
      • 4) 파리 컬렉션 6
      • 2. 헤어스타일 6
      • 1) 웨이브 7
      • 2) 업스타일 8
      • 3. 현대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디자인 10
      • 1) 뉴욕컬렉션 10
      • 2) 런던컬렉션 13
      • 3) 밀라노 컬렉션 15
      • 4) 파리 컬렉션 18
      • Ⅲ. 오브제의 조형 특성 20
      • 1. 오브제의 개념 20
      • 2. 미술 오브제의 조형성 분류 29
      • 3. 헤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의 종류 36
      • 1) 종이 36
      • 2) 섬유 36
      • 3) 깃털 37
      • 4) 기타 37
      • Ⅳ. 현대컬렉션에서 나타난 헤어오브제의 조형성 41
      • 1. 융합성 42
      • 2. 모방성 47
      • 3. 확장성 52
      • Ⅴ. 결론 59
      • 참고문헌 62
      • 영문초록 6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