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구시 수성구의 가로수 생육상태를 연구함에 있어 생육상태나 인위적 관리 측면에서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에서 시작하였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로수의 변화는 당...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147034
경산 :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학위논문(석사) --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 한약개발학과 한약개발학 , 2022. 2
2022
한국어
경상북도
54 ; 26 cm
지도교수: 임원현
I804:47004-20000060977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구시 수성구의 가로수 생육상태를 연구함에 있어 생육상태나 인위적 관리 측면에서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에서 시작하였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로수의 변화는 당...
본 연구는 대구시 수성구의 가로수 생육상태를 연구함에 있어 생육상태나 인위적 관리 측면에서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에서 시작하였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로수의 변화는 당연한 일이지만 수목이 가지는 자연적 수형과 가로수라는 법령과 조례에 따른 모습은 서로 상이하다.
가로수의 시간적 변화 및 관리적 측면에서 도로 규모별, 수종에 따른 가로수의 성장변화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대구시 수성구에 1991년에서 1995년에 식재되어 1997년 생육환경을 조사한 14개 노선의 6개 수종으로, 가로수에 대한 선행연구와 수성구 가로수 기본계획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2021년 6월부터 9월까지 4개월간 대구시 수성구 14개 노선의 6개 수종에 대하여 도로 규모별과 수종별로 수고, 근원직경, 지하고, 수관폭, 흉고직경, 수목건강도, 환경피해도등, 7가지 항목에 대한 가로수의 도로 규모별 변화량과 수종별 변화량에 대하여 현장 조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도로 규모별과 수종별 변화량에 의하면, 가로수 수형의 외관은 성장하였으나, 수목건강도와 환경피해도에서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로수의 수형은 인위적 관리에 의해 자연수형을 갖추지 못했으며, 주변 상가에서의 훼손 및 관리의 부재로 인한 피해를 받고 있고, 가지 및 줄기의 상처와 지하 공간의 협소함으로 인한 뿌리 융기현상 등이 나타나고 있다. 뿌리 융기 현상에 의해 보도의 들뜸으로 인한 보행자의 보행에 불편을 야기 시키며, 융기된 뿌리를 잘라냄으로 가로수의 무게중심 불균형으로 가로수가 차도로 기울고 있음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가로수의 외형은 성장하였으나, 수고가 높은 가로수, 수관폭이 큰 가로수들은 법과 조례에 의해서 잘못된 전지 작업으로 생육적 측면(수목 건강도, 환경피해도)은 퇴보된 점이 특징이다.
본 연구는 대구시 수성구의 14개 노선, 6종의 수종으로 한정하여 조사·분석한 관계로 연구의 범위가 제한되어 있으나,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가로수의 수종 선정과 관리 개선 보완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가로수와 보행자가 만족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져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tarted with the thought that there might be problems in terms of growth status or artificial management in studying the growth status of street trees in Suseong-gu, Daegu. Naturally, the street trees change over time. However, the original...
This study started with the thought that there might be problems in terms of growth status or artificial management in studying the growth status of street trees in Suseong-gu, Daegu.
Naturally, the street trees change over time. However, the original natural form of trees and the appearance of street trees with laws and ordinanc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erms of temporal change and management of street tre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growth of street trees according to road size and tree species. The study sites were 6 tree species on 14 routes planted from 1991 to 1995 in Suseong-gu, Daegu Metropolitan City, and the growth environment was investigated in 1997. The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rom field surveys, previous studies on street trees, and Suseong-gu street tree basic plan data.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amount of change in 7 items by road size and tree species for 6 tree species for 4 months from June to September 2021. The seven items are as follows: tree height, diameter at root collar, crown height, crown diameter, diameter at breast height, tree health, and environmental damage.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field survey and analysis, according to the amount of change by road size and tree type, the tree's appearance increased. However, the tree health and environmental damage decreased.
The trees along the street did not have a natural tree form due to artificial management, and they were suffering harm due to damage and lack of management in the surrounding shops. There were wounds on the branches and stems, and root uplift due to the narrowness of the underground space was occurring.
The lifting of the sidewalk due to the severe root uplift caused inconvenience to pedestrians, and the roadside tree with the raised root cut off was leaning toward the side of the road.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appearance of street trees has grown, but the characteristics of trees with high tree height and large tree form are that the growth aspect (tree health, environmental damage) has deteriorated due to incorrect pruning according to laws and ordinances.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as it is limited to 14 routes and 6 species of trees in Suseong-gu, Daegu. In the future, through continuous research, tree species selection and improvement and supplementation work should be carried out, and systematic and efficient research that can satisfy street trees and pedestrians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