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만과 한국의 디지털 인문학(고전) 교육 정책 연구 = A Study on Educational Policies for Digital Humanities (Classics) in Taiwan and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013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Various incidents that caused an uproar in society, such as the emergence of AlphaGo in 2016 and the COVID-19 pandemic that has persisted since 2020, accelerat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se waves of change produced great impacts on the...

      Various incidents that caused an uproar in society, such as the emergence of AlphaGo in 2016 and the COVID-19 pandemic that has persisted since 2020, accelerat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se waves of change produced great impacts on the humanities. Such changes serve to redefine the role of humanities researchers. The expansion of research areas beyond the humanities to engineering has brought about many different possibilities. However, such an expansion in the absence of sufficient preparations has caused unexpected problems. Humanities researchers sometimes experience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due to their limitations in engineering knowledge, and in some projects, they are tasked with performing simple and mindless duties rather than playing a central role. Most of the difficulties that humanists have in relation to digital technologies are represented as common problems for researchers. Accordingly, in order to address such problems, more systematic solutions should be foun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rather than at the individual level. In this context, to find a path forward, this paper aims to examine cases on display in Taiwan, which has already implemented digital policies for humanists (“digital humanities” policy), one step ahead of Korea.
      This paper largely deals with educational policies related to digital humanities in Taiwan and Korea. For Taiwan, the “Digital Humanities Promotion” policy, implemen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from 2013, and the “Plan for Fostering Innovative Talents in the Digital Humanities,” from 2018, were mainly analyzed. These two digital humanities policies are organically connected based on education, and they are characterized by creating educational curricula based on existing domestic and foreign digital archives and research results, along with the three elements that form a virtuous cycle: research, development of tools, and education. In addition, they place great emphasis on sharing educational resources, collaboration, and networking.
      Korea also has high-quality data resources that have been built up over the years in this field. An in-depth discussion is needed in order to form and spread the educational curricula suitable for Korean literature in Chinese(漢文學) based on such resources. Thus, it is hoped that Chinese literature will continue to create research achievements suitable for the digital age while retaining its own unique meaning, and that it will establish itself as a distinctive field of digital human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16년 알파고의 출현, 2020년부터 지속되는 코로나19 등 사회의 여러 사건들은 4차 산업혁명을 가속화시켰고 그 변화의 파동은 인문학계도 출렁이게 하였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인문학 연구...

      2016년 알파고의 출현, 2020년부터 지속되는 코로나19 등 사회의 여러 사건들은 4차 산업혁명을 가속화시켰고 그 변화의 파동은 인문학계도 출렁이게 하였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인문학 연구자들의 역할이 재조정되고 있다. 인문학 영역을 넘어서 공학까지, 연구 영역의 확장은 다양한 가능성을 가져왔다. 그러나 충분한 준비 없이 맞이한 확장으로 예상하지 못한 문제도 함께 발생했다. 공학적 지식의 한계로 소통의 어려움을 겪기도 하고, 프로젝트의 경우 중심 역할보다는 단순한 역할을 맡는 경우도 생겼다. 디지털 기술과 관련하여 인문학자들이 갖는 어려움은 대부분 연구자가 공통으로 갖는 문제로 개인적 차원에서보다 좀 더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해결 방안이 마련돼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한국보다 한발 앞서 인문학자를 위한 디지털 정책, 즉 ‘디지털 인문학’ 정책을 시행한 대만의 사례를 살펴보고 앞으로의 방향 설정에 도움을 얻고자 한다.
      본고는 크게 대만의 디지털 인문학 교육 정책과 한국의 디지털 인문학 교육 정책을 소개한다. 대만의 경우, 2013년부터 시행된 과학기술부의 ‘디지털 인문학 진흥’ 정책과 2018년부터 시행된 ‘디지털 인문학 혁신인재 양성계획’ 정책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두 디지털 인문학 정책은 교육을 중심으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기존 국내외 디지털 아카이브와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교육 커리큘럼을 만들고 연구, 툴 개발, 교육, 이 세 요소가 선순환 구조를 이룬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교육 자원의 공유, 협업, 네트워크 구축을 매우 강조한다.
      한국도 이미 수년간 구축해 온 양질의 데이터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자원을 응용하여 한문학에 적합한 교육 커리큘럼을 만들고 교육하기 위한 깊이 있는 논의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한문학의 고유한 의미를 잃지 않으면서 디지털 시대에 걸맞은 연구 성과들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고 특색 있는 디지털 인문학의 한 분야로 자리매김하기를 바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