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에 거주하는 한국인 어머니들이 영국의 슈어스타트 아동 센터(Sure Start Children’s center)에 대해 어떠한 경험과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를 위해 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31256
2015
-
370
KCI등재
학술저널
119-144(2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에 거주하는 한국인 어머니들이 영국의 슈어스타트 아동 센터(Sure Start Children’s center)에 대해 어떠한 경험과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를 위해 아...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에 거주하는 한국인 어머니들이 영국의 슈어스타트 아동 센터(Sure Start Children’s center)에 대해 어떠한 경험과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를 위해 아동센터를 정기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여섯 명의 한국어머니들이 인터뷰에 참가했다. 영국의 아동센터는 1998년부터 시행된 슈어스타트(Sure Start)에서 확장된 보편적 아동복지 서비스이다. 슈어스타트는 빈곤 · 소외된 지역 아동과 가족의 ‘확실한 출발’을 보장한다는 목표 아래 교육, 건강, 부모 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아동복지 프로젝트로서, 2004년부터 아동센터를 통해 영국의 전 지역으로 서비스가 확대되었다.
연구결과 영국 내에서 유아를 키우는 한국 어머니들은 지역 사회 내에 쉽게 접할 수있는 다양한 유아교육 환경, 그 중에 특히 종합적인 아동 및 가족을 위한 서비스를 한곳에서 제공하고 있는 슈어스타트 아동센터를 중요한 지역기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유아기 자녀를 둔 가족에게 아동센터는 매일 유아와 부모가 자유롭게 찾아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지역 내 중요한 장소로 인식되었다. 아동센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정기적으로 이용한 한국 어머니들은 센터의 가장 큰 장점으로 조기 교육 서비스 및 지역내 정보 교환, 다문화 가족과의 만남을 들었다. 그러나 한국어머니들은 아동센터가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임에도 자녀를 위한 조기교육 프로그램에만 참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제한된 서비스 이용의 원인으로, 문화와 언어적 제약에 따른 사회성의 결여, 서비스 정보 제공 부족, 거리 및 서비스 이용시간 등의 물리적 제약 등이
제기되었다. 이와 같은 서비스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적극적지원 활동자(outreach worker)’의 고용과 ’부모 홍보대사 (parent ambassador)’의 임명이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우리나라의 육아종합지원센터나 지역 내 아동 서비스기관 운영에 있어서 ‘부모 임파워먼트(parental empowerment)’ 와 가족 특성에 맞는 다양한 서비스 제공 측면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학부모의 요구와 문화를 고려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서비스 장소 확보 측면에서는 건물신축이라는 고정된 틀을 넘어서서 기존지역서비스 제공자와의 장소 공유방안 모색을 제안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verall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erceptions of Sure Start Children’s Center (SSCC) in England through the experiences of Korean mothers. Data collection was undertaken by semi-structured and open-ended interviews, with six Korean mother...
The overall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erceptions of Sure Start Children’s Center (SSCC) in England through the experiences of Korean mothers. Data collection was undertaken by semi-structured and open-ended interviews, with six Korean mothers who attended programs in SSCC regularly. Data were analyzed using a thematic approach and explanatory were subsequently tested for completeness and adequacy by members check and peer check. The results indicated that Korean mother recognized the role and need of community-level children’s services and
had positive experiences including opportunities of children early learning and making social contact. Barriers of accessibility and lack of information about service availability were identified as challenge issues to access
extended-services. Findings suggest that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such as employing ‘outreach worker’ and appointing ‘community ambassador’ are pivotal to facilitate services in SSCC. The themes presented from research with Korean mother’s views will guide ways to design future Korean integrated children’s service in a responsive service delivery. The current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future Korean integrated services in terms of parental empowerment, needs based family support, and accessibility with sharing building.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복희, "지역사회 공공보육시설 설치를 위한 학부모 인식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5 : 259-281, 2003
2 이미화, "저소득층 영유아 가정 주양육자들의 정책적 요구 분석" 육아정책연구소 3 (3): 87-116, 2009
3 김명순, "저소득 가정의 영유아를 위한 교육, 복지, 보건의 통합적 조기 개입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위한 비교 고찰" 한국아동권리학회 12 (12): 161-187, 2008
4 이하정, "일본의 지역중심 자녀양육지원 체제의 특성 -지역양육지원거점사업(만남의 광장)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73-395, 2010
5 한유미, "육아지원센터 도입의 과제 및 활성화 방안"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5 (45): 75-98, 2006
6 이정원, "유치원과 보육시설 미이용 아동의 육아현황" 육아정책연구소 3 (3): 116-137, 2009
7 김은주, "영아기 자녀를 둔 전업주부의 육아 경험 연구" 한국육아지원학회 7 (7): 93-114, 2012
8 곽혜경, "시설 미이용 아동을 위한 보육시설의 통합서비스의 제공 방안"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9 (59): 155-176, 2009
9 Ward, U., "Working with parents in early years settings" Learning Matter 2009
10 DCSF, "Working together to safeguard children: A guide to inter- agency working to safeguard and promote the welfare of children 2010"
1 조복희, "지역사회 공공보육시설 설치를 위한 학부모 인식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5 : 259-281, 2003
2 이미화, "저소득층 영유아 가정 주양육자들의 정책적 요구 분석" 육아정책연구소 3 (3): 87-116, 2009
3 김명순, "저소득 가정의 영유아를 위한 교육, 복지, 보건의 통합적 조기 개입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위한 비교 고찰" 한국아동권리학회 12 (12): 161-187, 2008
4 이하정, "일본의 지역중심 자녀양육지원 체제의 특성 -지역양육지원거점사업(만남의 광장)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73-395, 2010
5 한유미, "육아지원센터 도입의 과제 및 활성화 방안"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5 (45): 75-98, 2006
6 이정원, "유치원과 보육시설 미이용 아동의 육아현황" 육아정책연구소 3 (3): 116-137, 2009
7 김은주, "영아기 자녀를 둔 전업주부의 육아 경험 연구" 한국육아지원학회 7 (7): 93-114, 2012
8 곽혜경, "시설 미이용 아동을 위한 보육시설의 통합서비스의 제공 방안"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9 (59): 155-176, 2009
9 Ward, U., "Working with parents in early years settings" Learning Matter 2009
10 DCSF, "Working together to safeguard children: A guide to inter- agency working to safeguard and promote the welfare of children 2010"
11 UNICEF, "UNICEF Annual Report 2007" 2007
12 Mugford M., "The social support and family health study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d economic evaluation of two alternative forms of postnatal support for mothers living in disadvantaged inner-city areas" 8 (8): 1-120, 2004
13 Anning, A., "The quality of early Learning, play and childcare service in Sure Start local programmes" NESS 2005
14 Desforges, C., "The impact of parental involvement, parental support and family education on pupil achievements and adjustment" DfES 2003
15 Munro, E., "The Munro review of child protection, part two: A system’s analysis" DfE 2011
16 Munro, E., "The Munro review of child protection, part one: A system’s analysis" DfE 2010
17 Eisenstadt N., "Sure Start: key principles and ethos" 28 (28): 3-4, 2002
18 Coe, C., "Sure Start: Voice of the ‘hard-to-reach’" 34 (34): 48-61, 2008
19 Glass N., "Sure Start: The development of an early intervention programme for young children" 13 : 257-264, 1999
20 Tunstill J., "Sure Start local programmes: Implications of case study data from the national evaluation of Sure Start" 19 : 158-171, 2005
21 Simpson A., "Sure Start Folkestone local evaluation 2002 summary: Understanding barriers to service inclusion faced by local parents"
22 Siraj-Bltchford, I., "Researching effective pedagogy in the early years" DfES 2002
23 Punch, K., "Introduction to social researc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SAGE 1998
24 Davis, J. M., "Integrated children’ service" SAGE 2011
25 Ofsted, "Inspecting children's centers: Completing an evidence base"
26 Laming, L., "Inquiry into death of victoria climb" TSO 2003
27 Craig, G., "Improving service for young children; from Sure Start to Children’s centers" SAGE 88-93, 2007
28 Anning, A., "Improving service for young children: From Sure Start to children’s centers" SAGE 2008
29 Henderson J., "Getting started with a local Sure Start programme evaluation"
30 Lewis, J., "From Sure Start to children’s center: An analysis of policy change in English early years programmes" 40 (40): 71-88, 2011
31 Garbers, C., "Facilitating access to services for children and families: lessons from Sure Start local programmes" 11 (11): 287-296, 2006
32 Avis, M., "Ethnic minority participation in an east midlands Sure Start" 81 (81): 28-31, 2008
33 Williams, F., "Empowering parents in sure start programmes" DfES 2006
34 Anning, A., "Developing multi professional teamwork for integrated children’s services" Open University Press 2010
35 도미향, "City-District-Country's Direction for an Intergrated Network of Infant & Childcare Support" 한국가족복지학회 16 (16): 163-179, 2011
36 Ball, M., "Building in sure start local programmes" DfES 2005
37 Waller, T., "An introduction to early years childhood" SAGE 2009
38 Seo, S. K., "A suggestion of a future Seoul childcare support system: A case study of Germany family center-Annual report of current situation and issues of families in Seoul (2011)" 1 : 185-203, 2011
39 Yu H. M.,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of childcare delivery system and its improvement in the local community" 1 : 208-209, 2012
40 Broadhead, P., "A children, families and communities: Creating and sustaining integrated services" Open University press 2008
Gaps between National Policy-design and Local Implementations in Education Policy
A Case Study of Racial Stratification and Intersectionality in a Multicultural School
An Analysis on Schools of Curriculum Thought of South Korea in its Formative Years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STEAM with United States STEM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9 | 0.79 | 0.9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1 | 0.94 | 1.28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