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상 시퀀스의 언표 가능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443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존재는 시선의 잉여를 부여잡거나 포기하려는 이중적 태도를 견지하는 가운데 개방성을 갖는 자율적 존 재로 거듭날 수 있다. 관계항의 바깥으로부터의 사유를 검토하는 이 논의는 변화의 ...

      존재는 시선의 잉여를 부여잡거나 포기하려는 이중적 태도를 견지하는 가운데 개방성을 갖는 자율적 존 재로 거듭날 수 있다. 관계항의 바깥으로부터의 사유를 검토하는 이 논의는 변화의 불가피성과 필연성을 강조하는데, 이는 시퀀스의 흐릿함에 대한 다음의 논의에서 그 진동하는 장으로서의 속성을 우회적으로 해명한다. 영화 속에서 사용되는 흐릿함의 기술은 시퀀스의 긴장을 이완하는 효과가 있다. 즉 대상에 부 여된 안정된 지위를 거부하고 서사의 구조를 이완시키며 정서가 개입하도록 함으로써 장면이 유동적인 상태로 전환하도록 한다. 일반 언어학과 영화 기호학의 논의를 이 연구에 접목한 것은 장으로서의 시퀀 스가 갖는 총체적 성격을 이해하도록 해 주었다. 이미지로 이루어진 시퀀스를 언어와의 관계 안에서 검 토하는 가운데 도출한 개념은 언표 상황, 그리고 언표 가능성이다. 언표 가능성은 그러나 어떠한 해석 가능한 시퀀스의 언어적 속성을 수립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지 않는다. 언어 자체는 가능성이나 잠재성을 갖지 않으며 발화된 그 자체로 이미 실재성의 조건이 된다. 반면, 이미지로서의 시퀀스는 언어와 같이 이중분절에 의한 의미 창출이 불가능한 영역이고, 그러므로 시퀀스의 조건으로서의 언표 가능성을 논하 는 것은 비언어적 순수 질료로서의 영상 시퀀스가 갖는 잠재성을 다루기 위한 것이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elf becomes able to remain as the self only when it resists being sympathized by the other because the self has a surplus of vision whenever it looks at the other. As far as the self struggles between accepting this surplus of vision or forsaking...

      The self becomes able to remain as the self only when it resists being sympathized by the other because the self has a surplus of vision whenever it looks at the other. As far as the self struggles between accepting this surplus of vision or forsaking it to be sympathized by the other, the self can break the border of itself and depart from the circle of being. Discussions of the idea that occurs from outside of relatum stresses upon the inevitability of change can also indirectly explain how sequences function as fields of resonance. Blurriness as a film technique lowers tension, enforcing an object to be definitive in sequences. Denying the stable status of objects, the technique of blurriness promotes the sequences to be flexible by creating the affection involved in a relaxed structure of a narrative. The potency of the statement refers to ideas from general linguistics, and the semiotics of film, enabling us to understand the totality of sequences. While investigating image-based sequences and the relationships with languages, the notions of a ‘situation of statement’ and the ‘potency of statement’ are deduced. Potency of statement does not have such a purpose as establishing certain explicable, linguistic characteristics. Language becomes a condition of reality itself when it is uttered, and it certainly has no potency or possibilities. On the other hand, because image-based sequences are territories which do not signify through double articulation, reflecting on the potency of statement as a condition of sequences is therefore all about understanding the potency of moving image sequences as non-linguistic pure materia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1. 서언
      • 2. 본문
      • 2.1 대화
      • Abstract
      • 국문초록
      • 1. 서언
      • 2. 본문
      • 2.1 대화
      • 2.2 흐릿함
      • 2.3 언표 가능성
      • 3. 결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risteva, J., "Σημειωτική: Recherches pour une Sémanalyse" Dong Mun Seon Publishing Company 2005

      2 Kaprow, A, "The Blurring of Art and Lif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3

      3 Lee, J. K., "Nomadism2" Humanist Publishing Group 2002

      4 Morson, G. S., "Mikhail Bakhtin: Creation of Prosaics" Literature and Intelligence Publishing Company 2006

      5 Gho, B. K., "Marx and Epicurus: Materialism against Materialism:Progressive Criticism No. 1 section 1"

      6 Metz, C., "Le Signifiant Imaginaire" Literature and Intelligence Publishing Company 2009

      7 Deleuze, G., "Le Bergsonisme" Moonji Publishing Company 1996

      8 Bergson, H., "La Pensée et La Mouvant" Moonyeh Publishing Company 2001

      9 Eisenstein, S., "Film Form: Essays in Film Theory" A Harvest Book, Harcourt Brace & Company 1944

      10 Fehr, J, "Ferdinand de Saussure, Linguistik und Semiologie" Inghan sa-rang Publishing Company 2002

      1 Kristeva, J., "Σημειωτική: Recherches pour une Sémanalyse" Dong Mun Seon Publishing Company 2005

      2 Kaprow, A, "The Blurring of Art and Lif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3

      3 Lee, J. K., "Nomadism2" Humanist Publishing Group 2002

      4 Morson, G. S., "Mikhail Bakhtin: Creation of Prosaics" Literature and Intelligence Publishing Company 2006

      5 Gho, B. K., "Marx and Epicurus: Materialism against Materialism:Progressive Criticism No. 1 section 1"

      6 Metz, C., "Le Signifiant Imaginaire" Literature and Intelligence Publishing Company 2009

      7 Deleuze, G., "Le Bergsonisme" Moonji Publishing Company 1996

      8 Bergson, H., "La Pensée et La Mouvant" Moonyeh Publishing Company 2001

      9 Eisenstein, S., "Film Form: Essays in Film Theory" A Harvest Book, Harcourt Brace & Company 1944

      10 Fehr, J, "Ferdinand de Saussure, Linguistik und Semiologie" Inghan sa-rang Publishing Company 2002

      11 Metz, C, "Essais Sur La Signication au Cinéma1-2" Literature and Intelligence Publishing Company 2011

      12 Saussure, F. d, "Cours de Liquistique Générale" Literature and Intelligence Publishing Company 2006

      13 Deleuze, G., "Cinéma I; L’image-Movement" Vision and Language Publishing Company 2002

      14 Kim, T. J., "A Study on the Openness of Moving Image Sequ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ociety Of Image Art And Media -> The Korean Society Of Media & Art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51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