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대 동서양 중장기병의 창설 배경―로마와 신라를 중심으로― =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Ancient Heavy Cavalry in the East and West : A Comparative Study of Rome and Sill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299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보병 위주의 고대 전쟁에서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은 중장기병의 창설 배경을 밝히려는 것이다. 특히 중장보병이 허약하다는 평가를 받는 로마와 신라를 중심으로 중장기병이 강한 적과 싸우면서 받은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 사료, 비문, 유물을 근거로 기수와 말의 갑옷, 무기인 장창의 사용 여부를 파악한다.
      연구 결과는 로마는 파르티아와의 카라이 전투에서 대패했지만, 그러한 일회성 패배에서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하지만 3~4세기 사산조 페르시아와의 전투에서 지속해서 패배하면서 중장기병의 강화 필요성을 느꼈다. 중장 기병대를 증설하고, 이들을 사산조 페르시아와 대적하는 동부 지역에 집중적으로 배치한 것이 그 근거이다.
      신라 또한 5세기의 마갑이 출토되고, 6세기에 10정의 기병 부대가 조직되고, 7세기 계금당과 5주서로 확대되는 것을 보면 최소한 5세기 이전에 중장기병이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 계기로 볼 수 있는 것은 5세기 초 고구려의 팽창정책으로 신라가 고구려와 대적하면서이다.
      로마와 신라의 중장기병 창설과 강화는 자국의 강점을 강화하고, 적국의 강점을 모방하는 원칙을 준수했다고 볼 수 있다. 총이 나오면서 보병 위주의 전략으로 바뀌기까지 세계 전쟁사의 주역이었던 중장기병 연구는 전쟁 기술과 전략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보병 위주의 고대 전쟁에서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은 중장기병의 창설 배경을 밝히려는 것이다. 특히 중장보병이 허약하다는 평가를 받는 로마와 신라를 중심으로 중장기...

      본 연구의 목적은 보병 위주의 고대 전쟁에서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은 중장기병의 창설 배경을 밝히려는 것이다. 특히 중장보병이 허약하다는 평가를 받는 로마와 신라를 중심으로 중장기병이 강한 적과 싸우면서 받은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 사료, 비문, 유물을 근거로 기수와 말의 갑옷, 무기인 장창의 사용 여부를 파악한다.
      연구 결과는 로마는 파르티아와의 카라이 전투에서 대패했지만, 그러한 일회성 패배에서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하지만 3~4세기 사산조 페르시아와의 전투에서 지속해서 패배하면서 중장기병의 강화 필요성을 느꼈다. 중장 기병대를 증설하고, 이들을 사산조 페르시아와 대적하는 동부 지역에 집중적으로 배치한 것이 그 근거이다.
      신라 또한 5세기의 마갑이 출토되고, 6세기에 10정의 기병 부대가 조직되고, 7세기 계금당과 5주서로 확대되는 것을 보면 최소한 5세기 이전에 중장기병이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 계기로 볼 수 있는 것은 5세기 초 고구려의 팽창정책으로 신라가 고구려와 대적하면서이다.
      로마와 신라의 중장기병 창설과 강화는 자국의 강점을 강화하고, 적국의 강점을 모방하는 원칙을 준수했다고 볼 수 있다. 총이 나오면서 보병 위주의 전략으로 바뀌기까지 세계 전쟁사의 주역이었던 중장기병 연구는 전쟁 기술과 전략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origins of heavy cavalry.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influence received by Rome and Silla, both of which faced opponents with strong heavy cavalry.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 that during the 3rd and 4th centuries, repeated defeats in battles against the Sassanian Empire underscored the necessity for Rome to strengthen its heavy cavalry. As evidence, Rome expanded its heavy cavalry units and concentrated them in the eastern regions to counter the Sassanian threat.
      Similarly, in Silla, the discovery of horse armor from the 5th century, the organization of Ten Jeong Units in the 6th century, and their later expansion into structures in the 7th century suggest the presence of heavy cavalry at least before the 5th century. This development is believed to have been prompted by Silla's confrontations with Goguryeo during the latter's expansionist policies in the early 5th century.
      The establishment and reinforcement of heavy cavalry in both Rome and Silla adhered to a principle of enhancing their own strengths while emulating the strengths of their adversar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origins of heavy cavalry.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influence received by Rome and Silla, both of which faced opponents with strong heavy cavalry.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 that during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origins of heavy cavalry.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influence received by Rome and Silla, both of which faced opponents with strong heavy cavalry.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 that during the 3rd and 4th centuries, repeated defeats in battles against the Sassanian Empire underscored the necessity for Rome to strengthen its heavy cavalry. As evidence, Rome expanded its heavy cavalry units and concentrated them in the eastern regions to counter the Sassanian threat.
      Similarly, in Silla, the discovery of horse armor from the 5th century, the organization of Ten Jeong Units in the 6th century, and their later expansion into structures in the 7th century suggest the presence of heavy cavalry at least before the 5th century. This development is believed to have been prompted by Silla's confrontations with Goguryeo during the latter's expansionist policies in the early 5th century.
      The establishment and reinforcement of heavy cavalry in both Rome and Silla adhered to a principle of enhancing their own strengths while emulating the strengths of their adversari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