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공 데이터를 활용해 대구 지역 중학교의 중국어 교육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교육과정의 도입으로 인한 변화에 대응하고 중국어 교육의 학교급 간 연계 시스템을 구축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공공 데이터를 활용해 대구 지역 중학교의 중국어 교육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교육과정의 도입으로 인한 변화에 대응하고 중국어 교육의 학교급 간 연계 시스템을 구축하...
본 연구는 공공 데이터를 활용해 대구 지역 중학교의 중국어 교육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교육과정의 도입으로 인한 변화에 대응하고 중국어 교육의 학교급 간 연계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현장에서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알리미를 활용해 대구 지역 128개 중학교의 공시 자료를 수집하여, ‘중국어 과목 편성 현황’과 ‘수업・평가 운영 현황’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2024학년도 기준으로 128개 중학교 가운데 73개교, 즉 57%가 생활 중국어 과목을 편성하고 있을 만큼, 대구 지역 중학교에서 중국어는 여전히 중요한 과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각 학교의 1, 2학기 교수학습 및 평가 운영 계획을 분석해 본 결과, 2학기에는 전반적으로 수행평가의 비중이 줄어들고 영역 개수 또한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것은 많은 지식을 가르치기보다는 핵심역량의 함양을 중시하여, 수업과 평가가 유기적으로 통합된 수업 설계를 강조하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이념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수행 과제가 성취기준에 맞게 설계되고 영역명의 구조화 정도 또한 향상된 것에서도 잘 드러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reference material for schools to adapt to new curriculum changes and establish an inter-school level linkage system for Chinese language education by analyzing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 middle schools in Daegu based on ...
This study aims to provide reference material for schools to adapt to new curriculum changes and establish an inter-school level linkage system for Chinese language education by analyzing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 middle schools in Daegu based on public data. To this end, data from 128 middle schools in Daegu were gathered using the School Information Service (Hakgyo Alimi), analyzing two aspects: Chinese subject offerings and the teaching and assessment management. The findings show that 73 out of 128 middle schools (57%) offer “Practical Chinese” as of 2024, demonstrating the subject's continued importance. Analysis of first and second semester teaching and evaluation plans revealed decreased performance assessments and fewer assessment areas in the second semester. This reflects the core value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hich emphasizes core competency development and the integration of teaching and evaluation over broad content delivery. This is further supported by the alignment of performance tasks with achievement standards and improved structuring of assessment areas.
부정적 감정의 철학적 이해와 치유 —스피노자와 불교를 중심으로—
디지털 매체 활용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놀이지원 역량에 미치는 영향
고대 동서양 중장기병의 창설 배경―로마와 신라를 중심으로―
북한의 남북한 당국간 회담 선제안 행태 분석-김정일・김정은 시대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