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절화장미 수경재배시 배양액의 농도와 pH가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실험은 장미 식물생산공장식 수경재배시 배양액의 EC와 pH와 같은 지하부 환경요인이 장미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배양액의 EC를 1.0~3.5dSㆍm­¹로 처리하였을 때 장미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큰 차이가 없어 비료의 사용량을 고려하여 배양액의 농도를 높게 관리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합성률, 증산률 및 생육 등은 EC 1.0~1.5dSㆍm­¹에서 높아 single-stemmedrose 수경재배에 있어 최적의 농도임을 알 수 있었다.
      배양액의 pH는 pH 3.0과 7.0을 제외한 pH 4.0~6.0에서 광합성률과 증산률이 높게 나타나 장미는 배양액의 pH를 다른 작물에 비해 낮게 관리하는 것이 생육이나 무기이온 흡수에 있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실험은 장미 식물생산공장식 수경재배시 배양액의 EC와 pH와 같은 지하부 환경요인이 장미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배양액의 EC를 1.0~3.5dSㆍm­¹로 처리...

      본 실험은 장미 식물생산공장식 수경재배시 배양액의 EC와 pH와 같은 지하부 환경요인이 장미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배양액의 EC를 1.0~3.5dSㆍm­¹로 처리하였을 때 장미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큰 차이가 없어 비료의 사용량을 고려하여 배양액의 농도를 높게 관리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합성률, 증산률 및 생육 등은 EC 1.0~1.5dSㆍm­¹에서 높아 single-stemmedrose 수경재배에 있어 최적의 농도임을 알 수 있었다.
      배양액의 pH는 pH 3.0과 7.0을 제외한 pH 4.0~6.0에서 광합성률과 증산률이 높게 나타나 장미는 배양액의 pH를 다른 작물에 비해 낮게 관리하는 것이 생육이나 무기이온 흡수에 있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C and pH of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the single-stemmed rose grown in a rose factory installed with hydroponic system. The growth and quality of the single-stemmed ros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with the EC of the nutrient solutions 1.0~3.5 dSㆍm­¹, which resulted in concluding high concentration of the nutrient solution was not necessary. The optimum range of the EC for single-stemmed rose was 1.5~2.0 dSㆍm­¹ considering plant growth, photosynthetic and transpiration rates. The optimum range of the pH for good plant growth without any visible physiological disorder was 4.0~6.0. Therefore, to keep the pH of the nutrient solution for rose low compared to other plants was beneficial for plant growth and uptake of the mineral ions.
      번역하기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C and pH of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the single-stemmed rose grown in a rose factory installed with hydroponic system. The growth and quality of the single-stemmed rose w...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C and pH of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the single-stemmed rose grown in a rose factory installed with hydroponic system. The growth and quality of the single-stemmed ros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with the EC of the nutrient solutions 1.0~3.5 dSㆍm­¹, which resulted in concluding high concentration of the nutrient solution was not necessary. The optimum range of the EC for single-stemmed rose was 1.5~2.0 dSㆍm­¹ considering plant growth, photosynthetic and transpiration rates. The optimum range of the pH for good plant growth without any visible physiological disorder was 4.0~6.0. Therefore, to keep the pH of the nutrient solution for rose low compared to other plants was beneficial for plant growth and uptake of the mineral 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적요
      • Abstract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적요
      • 인용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1-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시설원예‧식물공장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외국어명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1-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9-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KCI등재
      2013-04-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시설원예‧식물공장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5 0.825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