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미디어 시대에 미디어는 놀이의 한 영역이고 이는 유아들에게도 마찬가지다. 유아용 콘텐츠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학습용 콘텐츠에 대한 연구나 디자인과 같은 특정 요소에 대한 연구 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672033
2018
Korean
유아용 콘텐츠 ; 뉴미디어 ; 재미 요소 ; 콩순이 ; 캐리 ; 핑크퐁 ; Kids Content ; New Media ; Fun Factors ; Kongsuni and Friends ; Carrie and Toys ; Pinkfong
310
KCI등재
학술저널
40-52(13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뉴미디어 시대에 미디어는 놀이의 한 영역이고 이는 유아들에게도 마찬가지다. 유아용 콘텐츠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학습용 콘텐츠에 대한 연구나 디자인과 같은 특정 요소에 대한 연구 위...
뉴미디어 시대에 미디어는 놀이의 한 영역이고 이는 유아들에게도 마찬가지다. 유아용 콘텐츠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학습용 콘텐츠에 대한 연구나 디자인과 같은 특정 요소에 대한 연구 위주로 이루어졌으나 실제 유아들을 위해 개발되는 콘텐츠들 중 재미와 즐거움을 주목적으로 하는 콘텐츠들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에 본 연구는 유튜브에서 단기간에 구독자 수를 가장 많이 확보한 유아용 콘텐츠인 엉뚱발랄 콩순이, 캐리와 장난감 친구들, 그리고 핑크퐁의 재미 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미디어 환경의 특성과 관련이 높은 재미 요소는 자기결정감과 독립성이고 콘텐츠의 특성에 대한 재미 요소는 감각적 생생함, 공감, 신체적 역동감이며 콘텐츠 연계 활동의 특성에 대한 재미 요소는 자기표현감과 대인교류감으로 정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아들이 뉴미디어 환경에서 콘텐츠를 선택, 소비하고 이를 놀이로 연계하는 전반적인 과정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재미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콘텐츠의 특성을 보다 폭넓게 이해하는 시각을 제공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edia can be considered as a type of play for kids in this new media era. Researches on media content for kids have mainly focused on educational effect or specific features such as design, but a great deal of kids content is created for fun and enjoy...
Media can be considered as a type of play for kids in this new media era. Researches on media content for kids have mainly focused on educational effect or specific features such as design, but a great deal of kids content is created for fun and enjoyment. This study analyzes fun factors of the most popular kids content on Youtube: Kongsuni and Friends, Carrie and Toys, and Pinkfong. The result shows that seven fun factors can be grouped into three categories; 1) Self-determination and independence are related to the media environment; 2) Sensuous vividness, empathy, and physical dynamic are related to the content; 3) Self-expression and social interaction are related to associated activities. This study extends our perspective on kids content by analyzing fun factors in the comprehensive process of media consump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선진, "재미의 본질" 경성대학교 출판부 2013
2 송방원, "인간성능의 계층적 분석(Hierarchical Analysis)을 이용한 재미(Fun)의 구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3 유구종, "유아교육용 인터넷 콘텐츠 평가 및 콘텐츠 유형별 사례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243-268, 2008
4 권창현, "유아 문화콘텐츠 제작을 위한 재미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디자인학회 13 (13): 29-44, 2010
5 이용수, "유아 교육용 콘텐츠 GUI디자인이 유저(User)에게 미치는 영향 - 콘텐츠 GUI디자인 중심으로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8 (18): 213-222, 2015
6 임혜리, "유아 TV프로그램 캐릭터디자인에 대한 연구"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50 : 156-168, 2015
7 강승묵, "영상스토리텔링의 재미요소 분석-영화/드라마/애니메이션-" 인문콘텐츠학회 (18) : 31-72, 2010
8 안성혜,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기획"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9 유소미, "애니메이션캐릭터가 유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9
10 심숙영, "아동놀이와 뉴미디어 게임" 한국아동권리학회 13 (13): 107-129, 2009
1 김선진, "재미의 본질" 경성대학교 출판부 2013
2 송방원, "인간성능의 계층적 분석(Hierarchical Analysis)을 이용한 재미(Fun)의 구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3 유구종, "유아교육용 인터넷 콘텐츠 평가 및 콘텐츠 유형별 사례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243-268, 2008
4 권창현, "유아 문화콘텐츠 제작을 위한 재미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디자인학회 13 (13): 29-44, 2010
5 이용수, "유아 교육용 콘텐츠 GUI디자인이 유저(User)에게 미치는 영향 - 콘텐츠 GUI디자인 중심으로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8 (18): 213-222, 2015
6 임혜리, "유아 TV프로그램 캐릭터디자인에 대한 연구"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50 : 156-168, 2015
7 강승묵, "영상스토리텔링의 재미요소 분석-영화/드라마/애니메이션-" 인문콘텐츠학회 (18) : 31-72, 2010
8 안성혜,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기획"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9 유소미, "애니메이션캐릭터가 유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9
10 심숙영, "아동놀이와 뉴미디어 게임" 한국아동권리학회 13 (13): 107-129, 2009
11 김신우, "스마트스터디, 모바일 교육 채널 ‘핑크퐁TV’ 서비스 시작"
12 정유진, "사회적 이벤트의 짧은 동영상 반복 시청 : 몰입, 동일시, 대리 만족이 루프워칭(loop watching)에 미치는 영향" (주)에스비에스 15 (15): 86-134, 2017
13 고유미, "미디어 콘텐츠와 아동의 놀이: ‘캐리와 장난감 친구들’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7 (17): 53-65, 2017
14 이용욱, "게임스토리텔링의 재미요소와 기제분석에 대한 기초 연구-온라인게임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학회 (18) : 7-29, 2010
15 이승훈, "게임 소프트웨어 재미요소의 체계적인 분류와 탐색방법"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3 (13): 1506-1513, 2010
16 박명기, "‘핑크색 사막여우’ 핑크퐁, 15억 글로벌동심 훔쳤다"
17 김희경, "‘캐리와 친구들’로 대통령상 받은 박창신 캐리소프트 대표"
18 박미주, "‘캐리와 장난감 친구들’ 코스닥으로 간다"
19 정혜진, "[썸人-권원숙 캐리소프트 대표] ‘인간캐릭터 필패’ 징크스 깨... ‘캐통령 성공 스토리, 이제 시작이죠’"
20 이대호, "[기업탐탐] 출판사 아닌 출판사 삼성출판사"
21 S. W. Haugland, "What Role should Technology Play in Young Children's Learning? Part 2. Early Childhood Classrooms in the 21st Century : Using Computer to Maximize Learning" 55 (55): 12-18, 2000
22 R. Barr, "Transfer of Learning between 2D and 3D Sources During Infancy: Informing Theory and Practice" 30 (30): 128-154, 2010
23 A. R. Lauricella, "Toddlers’ Learning from Socially Meaningful Video Characters" 14 (14): 216-232, 2011
24 R. Barr, "The Effect of Repetition on Imitation from Television during Infancy" 49 (49): 196-207, 2007
25 J. Piaget, "Play, Dreams and Imitation in Childhood" Norton 1962
26 윤형섭, "MMORPG의 재미 평가 모델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9
27 D. L. Linebarger, "Infants’ and Toddlers’ Television Viewing and Language Outcomes" 48 (48): 624-645, 2005
28 F. L. F. Lee, "Frontiers in New Media Research" Routledge 2013
29 J. Marsh, "Exploring Play and Creativity in Pre-schoolers’ Use of Apps: Final Project Report"
30 V. C. Strasburger, "Children, Adolescents, and the Media" Sage Publications 2014
31 한국콘텐츠진흥원, "2016 캐릭터 산업백서" 2017
32 한국콘텐츠진흥원, "2016 애니메이션 산업백서" 2017
영어교과에서의 전략 지도(Strategy Instruction)의 효과
대학교양 영어수업의 협동학습이 영어말하기 능력향상과 정의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 어려움이 있는 국내 초등학생의 학교-기반 중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5-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9 | 1.25 | 1.573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