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과 미국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의 지질학 탐구활동의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n Inquiry Activities in Geology of High School Earth Science Textbooks of Korea and the U.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188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present th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in science textbooks of high school,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in geology of earth science textbooks of Korea and the U.S. were assessed in the areas of the contents, processes and contexts. Regarding the...

      To present th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in science textbooks of high school,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in geology of earth science textbooks of Korea and the U.S. were assessed in the areas of the contents, processes and contexts. Regarding the contents of inquiry activities, Korean textbooks contain more number of inquiry activities (5.8 per section) than the U.S. curriculums (4 per section). Inquiry activities of Korean textbooks mostly fall on the interpretation of diagrams and graphs whereas those of the U.S. textbooks more hands-on experiment, data transformation and self designing. As for the number of inquiry process skills per inquiry activity, Korean curriculums contain an average of 1.8 whereas the American ones 3. It suggests that the U.S. textbooks require more integrated process skills than the Korean earth science curriculums. In the process skills of all textbooks studied, the highest frequent elements were inferring and data interpretation; the percentage of these two elements was an average of 73.3% in Korean textbooks and 46.2% in the U.S. This suggests that the Korean textbooks emphasize the process skill on particular area, and uneven distribution of elements of process skills may hinder the development of integration ability of students. Particularly in the integrated process skills, the U.S. textbooks presented all 7 elements, while Korean ones presented only 2 to 4 elements, indicating that the Korean textbooks may have weak points in providing various inquiry activities for students compared to the American textbooks. In inquiry context analysis, Korean curriculums provide simplistic inquiry contexts and low applicability to real life whereas the U.S. curriculums provide more integrated inquiry contexts and high applicability to real lif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개선을 위한 제안을 제시하기 위해 한국과 미국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의 지질학 영역에 있는 탐구 활동이 탐구내용, 탐구과정, 탐구상황 면에서 평가되었다. 탐...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개선을 위한 제안을 제시하기 위해 한국과 미국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의 지질학 영역에 있는 탐구 활동이 탐구내용, 탐구과정, 탐구상황 면에서 평가되었다. 탐구활동의 내용에서, 한국 교과서는 단원 당 5.8개로 미국 교과서의 단원 당 4개보다 더 많은 탐구활동 개수를 포함하고 있었다. 한국 교과서는 대부분 도표나 그래프 등 자료해석에 관련된 탐구활동을 포함하고 있고 미국 교과서는 스스로 조작하는 실험이나 자료변형 그리고 직접 설계할 수 있는 탐구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탐구활동 1개당 사용된 탐구과정 개수는 한국 교과서가 평균 1.8개인 반면 미국 교과서는 3개로 미국 교과서가 한국 교과서보다 더욱 다양한 탐구과정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든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탐구과정 요소는 추리와 자료해석으로 이 두 요소의 비율은 한국 교과서는 평균 73.3%이고 미국 교과서는 46.2%였다. 즉 한국 교과서는 특정 탐구과정 요소만을 강조하였고, 이런 고르지 못한 탐구과정 요소의 분포는 학생의 통합능력 신장에 저해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통합적 탐구과정에서 미국 교과서는 7개의 모든 요소가 다 제시되었지만 한국 교과서는 단지 2개 내지 4개의 요소만이 제시되어 한국 교과서가 미국 교과서보다 학생들이 다양한 탐구능력을 함양할 수 있게 하는 탐구활동을 제공하는데 있어 취약점을 갖고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탐구상황 분석에서 한국교과서는 다소 단편적인이고 실생활과 관련이 낮은 탐구 상황이 제공되었고, 미국 교과서는 좀 더 실생활과 관련되어 적용된 탐구 상황의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광명, "한미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의 비교 분석: 날씨 개념을 중심으로" 28 : 51-75, 2005

      2 박광순, "한국의 중학교 과학교과서와 미국 SciencePlus의 생물영역 비교" 28 : 65-81, 1997

      3 김성은,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교과서 5, 6학년 삽화 비교 연구" 31 : 21-39, 2007

      4 권재술, "탐구의 본질과 과학 수업 절차" 18 : 45-51, 2001

      5 신동희, "지구환경을고려한 미래지향적, 지구과학 교육과정 제안" 25 : 239-259, 2005

      6 정진우, "지구과학교육론" 교육과학사, 서울 419-, 1999

      7 경재복, "지구과학 II" (주)중앙교육진흥연구소, 서울 347-, 2008

      8 이문원, "지구과학 II" (주)금성출판사, 서울 391-, 2008

      9 우종옥, "지구과학 II" (주)교학사, 서울 303-, 2008

      10 경재복, "지구과학 I" (주)중앙교육진흥연구소, 서울 267-, 2004

      1 김광명, "한미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의 비교 분석: 날씨 개념을 중심으로" 28 : 51-75, 2005

      2 박광순, "한국의 중학교 과학교과서와 미국 SciencePlus의 생물영역 비교" 28 : 65-81, 1997

      3 김성은,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교과서 5, 6학년 삽화 비교 연구" 31 : 21-39, 2007

      4 권재술, "탐구의 본질과 과학 수업 절차" 18 : 45-51, 2001

      5 신동희, "지구환경을고려한 미래지향적, 지구과학 교육과정 제안" 25 : 239-259, 2005

      6 정진우, "지구과학교육론" 교육과학사, 서울 419-, 1999

      7 경재복, "지구과학 II" (주)중앙교육진흥연구소, 서울 347-, 2008

      8 이문원, "지구과학 II" (주)금성출판사, 서울 391-, 2008

      9 우종옥, "지구과학 II" (주)교학사, 서울 303-, 2008

      10 경재복, "지구과학 I" (주)중앙교육진흥연구소, 서울 267-, 2004

      11 이문원, "지구과학 I" (주)금성출판사, 서울 283-, 2006

      12 우종옥, "지구과학 I" (주)교학사, 서울 221-, 2005

      13 조희형,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3 (23): 239-245, 2003

      14 유모경,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3 (23): 494-504, 2003

      15 이양락,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지구과학 내용의 적정성 분석 및 평가" 한국지구과학회 26 (26): 759-770, 2005

      16 송호봉, "제6차 교육과정에 의한 한국 고등학교 화학 II와 미국 교과서의 비교" 41 : 119-452, 1997

      17 허남조, "우리나라(7차 교육과정)와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 3, 4, 5, 6학년의 지구과학영역 비교 및 분석" 29 : 325-351, 2005

      18 김효남, "미국 초등과학교과서 McGraw-Hill Science외형 및 내용분석" 12 : 41-52, 2002

      19 신동희, "국제 비교 연구에 나타난 우리 나라 학생들의 지구과학 성취도: 성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 23 (23): 207-220, 2002

      20 서혜애, "국가과학교육 기준" 교육과학사, 서울 386-, 2000

      21 조희형, "교수-학습 이론과 과학교육" 교육과학사, 서울 406-, 1999

      22 김찬종, "과학교육학개론" 북스힐, 서울 518-, 1999

      23 김창만, "과학교육탐구" 박영사, 서울 645-, 2003

      24 조희형,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서울 669-, 2005

      25 교육부, "과학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서울 102-, 1998

      26 이덕환, "과학 교육에서의 탐구 활동과 창의력 향상" 118 : 8-25, 2005

      27 Sadler, T.D., "What do students gain by engaging in socioscientific inquiry?" 37 : 371-391, 2007

      28 Zeidler, D.L., "Tangled up in views: Beliefs in the nature of science and responses to socioscientific dilemmas" 86 : 343-367, 2002

      29 Nelson, B.C., "Scientific inquiry in educational multi-user virtual environments" 19 : 265-283, 2007

      30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Science: A process approach (SAPA II)" Delta Education, Inc., Hudson, New Hampshire 1990

      31 Chiappetta, E.L.,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USA 337-, 2001

      32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Position statement on the scientific inquiry"

      33 이미경, "PISA 2006 결과 분석 연구:과학적 소양, 읽기 소양, 수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 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서울 344-, 2007

      34 National Research Council,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USA 272-, 1996

      35 Hughes, G., "Marginalization of socioscientific material in science-technology-society science curricula: Some implications for gender inclusivity and curriculum reform" 37 : 426-440, 2000

      36 Wolf, S.J., "Learning environment, attitudes and achievement among middle-school science students using inquiry-based laboratory activities" 38 : 321-341, 2008

      37 Driver, R.,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s" 84 : 287-312, 2000

      38 Hess, F.S., "Earth Science-Geology, the Environment, and the Universe" McGraw Hill, NY, USA 1002-, 2005

      39 Allison, M.A., "Earth Science" Holt Rinehart Winston, Austin, Texas,USA 954-, 2006

      40 Germann, P.J., "Analysis of nine high school biology laboratory manuals: Promoting scientific inquiry" 33 : 475-499, 1996

      41 김정률, "10학년 과학 교과서 지구 단원의 탐구 과제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26 (26): 501-510,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909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