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포츠 성판별 분석의 딜레마: 의과학기술 진보와 성별 이분법의 줄다리기 = The Dilemma of Sex Verification in Sport: The Tug of War between Medical Advances and the Sex Bina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3067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analyzes the historical evolution of sex verification in sports and the role of medical science as a power that reinforces the sex binary, from the perspective of Foucault’s archaeology of knowledge. The transition from visual inspection to chromosomal analysis, PCR testing, and hormonal analysis reflects the dual nature of efforts to maintain fairness in sports, balancing the pursuit of fair competition with the exclusion or regulation of certain groups. Medical science has functioned as a knowledge-power that defines gender categorization, and this has constantly clashed with new epistemes that seek to reflect the complexity of gender. The findings show that scientific approaches to gender verification have consistently reinforced the gender binary, often serving as a tool to exclude or regulate specific groups. However, the adherence to the gender binary in sports has its limitations, as it fails to fully account for the complex nature of sex. Despite the continuous introduction of scientific techniques, attempts to confine the natural diversity and complexity of sex within the male-female binary framework have faced fundamental dilemmas. The conflict between such regulations and the sporting goal of fairness has further highlighted the inadequacy of defining sex through a simple binary.
      번역하기

      The study analyzes the historical evolution of sex verification in sports and the role of medical science as a power that reinforces the sex binary, from the perspective of Foucault’s archaeology of knowledge. The transition from visual inspection t...

      The study analyzes the historical evolution of sex verification in sports and the role of medical science as a power that reinforces the sex binary, from the perspective of Foucault’s archaeology of knowledge. The transition from visual inspection to chromosomal analysis, PCR testing, and hormonal analysis reflects the dual nature of efforts to maintain fairness in sports, balancing the pursuit of fair competition with the exclusion or regulation of certain groups. Medical science has functioned as a knowledge-power that defines gender categorization, and this has constantly clashed with new epistemes that seek to reflect the complexity of gender. The findings show that scientific approaches to gender verification have consistently reinforced the gender binary, often serving as a tool to exclude or regulate specific groups. However, the adherence to the gender binary in sports has its limitations, as it fails to fully account for the complex nature of sex. Despite the continuous introduction of scientific techniques, attempts to confine the natural diversity and complexity of sex within the male-female binary framework have faced fundamental dilemmas. The conflict between such regulations and the sporting goal of fairness has further highlighted the inadequacy of defining sex through a simple bina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스포츠에서의 성판별 분석의 역사적 변천과 그 과정에서 의과학 지식이 어떻게 권력으로 작용하며 성별 이분법을 강화해 왔는지를 푸코의 지식 고고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육안 검사 시대, 염색체 분석 시대, PCR 검사 시대, 그리고 호르몬 분석 시대에 이르기까지 성판별 분석의 변화는 스포츠의 공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과 특정 집단을 배제하거나 규제하는 권력의 작용이라는 이중적 의미를 지닌다. 이 과정에서 의과학은 성별 구분을 규정하는 지식 권력으로 작동했고, 이는 성별의 복잡성을 반영하고자 하는 새로운 에피스테메와 끊임없이 충돌했다. 연구 결과는 성판별 분석의 과학적 접근이 지속해서 성별 이분법을 강화하고, 그 과정에서 특정한 집단을 배제하거나 규제하는 도구로 활용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스포츠의 성별 이분법의 고수는 자연의 복잡한 성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의과학적 분석 기법의 지속적 도입에도 불구하고, 성별의 자연적 다양성과 복잡성을 단순히 남성과 여성이라는 이분법적 틀 속에 가두려는 시도는 근본적인 딜레마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스포츠에서의 성판별 분석의 역사적 변천과 그 과정에서 의과학 지식이 어떻게 권력으로 작용하며 성별 이분법을 강화해 왔는지를 푸코의 지식 고고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스포츠에서의 성판별 분석의 역사적 변천과 그 과정에서 의과학 지식이 어떻게 권력으로 작용하며 성별 이분법을 강화해 왔는지를 푸코의 지식 고고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육안 검사 시대, 염색체 분석 시대, PCR 검사 시대, 그리고 호르몬 분석 시대에 이르기까지 성판별 분석의 변화는 스포츠의 공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과 특정 집단을 배제하거나 규제하는 권력의 작용이라는 이중적 의미를 지닌다. 이 과정에서 의과학은 성별 구분을 규정하는 지식 권력으로 작동했고, 이는 성별의 복잡성을 반영하고자 하는 새로운 에피스테메와 끊임없이 충돌했다. 연구 결과는 성판별 분석의 과학적 접근이 지속해서 성별 이분법을 강화하고, 그 과정에서 특정한 집단을 배제하거나 규제하는 도구로 활용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스포츠의 성별 이분법의 고수는 자연의 복잡한 성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의과학적 분석 기법의 지속적 도입에도 불구하고, 성별의 자연적 다양성과 복잡성을 단순히 남성과 여성이라는 이분법적 틀 속에 가두려는 시도는 근본적인 딜레마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