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소방 초급지휘관 자격인증 평가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51248

      • 저자
      • 발행사항

        청주 : 충북대학교, 202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충북대학교 , 방재공학협동과정 , 2024. 2

      • 발행연도

        202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50.83 판사항(5)

      • 발행국(도시)

        충청북도

      • 기타서명

        A Study on Improvement of Qualification Evaluation Indicators of Initial Incident Fire Commander

      • 형태사항

        70p. ; 26cm

      • 일반주기명

        충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됩니다
        지도교수:원정훈
        참고문헌: 64-67p.

      • UCI식별코드

        I804:43009-000000059130

      • 소장기관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response to increasingly diverse and complex disasters, the Fire Department has actively trained fire commanders through the 'Field Commander Qualification Certification System (FCQCS)' since 2020. The core of FCQCS is an evaluation contents produced for each rank and role of each fire commander. The training and evaluation according to FCQCS are operated based on evaluation indicators. This study proposes a refined evaluation table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FGI)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survey. While initial commanders view the entry-level commander qualification system positively, an analysis reveals differences in the required evaluation indicators for entry-level commander certification compared to the perceptions of entry-level commanders.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evaluation items since the system's implementation in 2020. The current point allocation for the entry-level commander qualification evaluation index is based on competencies prioritized by entry-level commanders, resulting in disparities. AHP survey targeted commanders with initial commander qualification certification to assess the point distribution in the initial commander evaluation index. The findings propose an improved evaluation index, emphasizing differences between existing indicators and the priorities of initial commanders. The primary reason for these disparities is the system's emphasis on procedural aspects in training and evaluation, while initial commanders prioritize their responsibilities. Notably, initial incident commanders prioritize both firefighter safety and the lives of those being rescued. Adjusting the points for firefighter safety in the qualification evaluation of initial commanders is essential. 
      번역하기

      In response to increasingly diverse and complex disasters, the Fire Department has actively trained fire commanders through the 'Field Commander Qualification Certification System (FCQCS)' since 2020. The core of FCQCS is an evaluation contents produc...

      In response to increasingly diverse and complex disasters, the Fire Department has actively trained fire commanders through the 'Field Commander Qualification Certification System (FCQCS)' since 2020. The core of FCQCS is an evaluation contents produced for each rank and role of each fire commander. The training and evaluation according to FCQCS are operated based on evaluation indicators. This study proposes a refined evaluation table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FGI)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survey. While initial commanders view the entry-level commander qualification system positively, an analysis reveals differences in the required evaluation indicators for entry-level commander certification compared to the perceptions of entry-level commanders.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evaluation items since the system's implementation in 2020. The current point allocation for the entry-level commander qualification evaluation index is based on competencies prioritized by entry-level commanders, resulting in disparities. AHP survey targeted commanders with initial commander qualification certification to assess the point distribution in the initial commander evaluation index. The findings propose an improved evaluation index, emphasizing differences between existing indicators and the priorities of initial commanders. The primary reason for these disparities is the system's emphasis on procedural aspects in training and evaluation, while initial commanders prioritize their responsibilities. Notably, initial incident commanders prioritize both firefighter safety and the lives of those being rescued. Adjusting the points for firefighter safety in the qualification evaluation of initial commanders is essentia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재난발생 유형이 대형화, 복잡화됨에 따라 육상재난총괄기관인 소방에서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자 지난 2020년부터 ‘현장지휘관 자격인증제도’ 를 도입하여 재난현장에 강한 소방지휘관을 양성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현장 지휘관 자격인증제도의 핵심은 각 소방지휘관의 계급 및 역할 별로 제작된 평가 항목이나, 제도가 시행된 이후 평가항목의 타당성과 개선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지휘관 자격증을 취득한 소방지휘관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FGI)와 AHP 분석을 통해 평가항목을 검증하고, 평가항목의 가중치를 새롭게 제안하였다. 초급지휘관들은 초급지휘관 자격인증제도의 효용성과 실효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나, 초급지휘관 자격인증에 필요한 평가지표의 배점은 초급지휘관들의 인식과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초급지휘관 자격인증제도가 2020 년 시행된 이후 초급지휘관 자격인증제도의 평가 항목에 관한 연구 및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현재의 초급지휘관 자격인증 평가지표의 배점은 재난현장에서 초급지휘관들이 우선시하는 역량과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초급지휘관 자격인증을 취득한 지휘관들을 대상으로 초급지휘관 평가지표에 배점에 대해 AHP 설문을 수행하고 개선된 평가지표를 제안하였다. 현재의 평가지표의 배점과 초급지휘관들이 평가하는 우선순위에는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선순위에 차이가 발생한 주요 이유는 자격인증제도에서 실시하는 교육 및 평가는 초급지휘관의 임무 및 역할과 함께 절차적인 부분을 강조하고 있으나, 초급지휘관들은 자신의 임무를 절차적인 부분보다 우선시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초급지휘관은 구조대상자의 생명만큼이나 소방대원의 안전에 각별한 신경을 쓰는 것으로 분석되므로 초급지휘관 자격인증 교육 및 평가에 있어 소방대원 안전 부분 항목의 배점을 상향하는 것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재난발생 유형이 대형화, 복잡화됨에 따라 육상재난총괄기관인 소방에서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자 지난 2020년부터 ‘현장지휘관 자격인증제도’ 를 도입하여 재난현장에 강한 ...

      재난발생 유형이 대형화, 복잡화됨에 따라 육상재난총괄기관인 소방에서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자 지난 2020년부터 ‘현장지휘관 자격인증제도’ 를 도입하여 재난현장에 강한 소방지휘관을 양성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현장 지휘관 자격인증제도의 핵심은 각 소방지휘관의 계급 및 역할 별로 제작된 평가 항목이나, 제도가 시행된 이후 평가항목의 타당성과 개선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지휘관 자격증을 취득한 소방지휘관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FGI)와 AHP 분석을 통해 평가항목을 검증하고, 평가항목의 가중치를 새롭게 제안하였다. 초급지휘관들은 초급지휘관 자격인증제도의 효용성과 실효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나, 초급지휘관 자격인증에 필요한 평가지표의 배점은 초급지휘관들의 인식과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초급지휘관 자격인증제도가 2020 년 시행된 이후 초급지휘관 자격인증제도의 평가 항목에 관한 연구 및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현재의 초급지휘관 자격인증 평가지표의 배점은 재난현장에서 초급지휘관들이 우선시하는 역량과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초급지휘관 자격인증을 취득한 지휘관들을 대상으로 초급지휘관 평가지표에 배점에 대해 AHP 설문을 수행하고 개선된 평가지표를 제안하였다. 현재의 평가지표의 배점과 초급지휘관들이 평가하는 우선순위에는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선순위에 차이가 발생한 주요 이유는 자격인증제도에서 실시하는 교육 및 평가는 초급지휘관의 임무 및 역할과 함께 절차적인 부분을 강조하고 있으나, 초급지휘관들은 자신의 임무를 절차적인 부분보다 우선시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초급지휘관은 구조대상자의 생명만큼이나 소방대원의 안전에 각별한 신경을 쓰는 것으로 분석되므로 초급지휘관 자격인증 교육 및 평가에 있어 소방대원 안전 부분 항목의 배점을 상향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1 연구배경 1
      • 1.2 연구목적 3
      • 1.3 연구방법 및 절차 4
      • 1.4 연구동향 6
      • Ⅰ. 서 론 1
      • 1.1 연구배경 1
      • 1.2 연구목적 3
      • 1.3 연구방법 및 절차 4
      • 1.4 연구동향 6
      • Ⅱ. 이론적 배경 9
      • 2.1 지휘관의 개념 9
      • 2.2 현장지휘 체계 12
      • 2.3 현장지휘관 자격인증제도 17
      • 2.4 Focus Group Interview 28
      • 2.5 Analytic Hierarchy 29
      • Ⅲ. 초급지휘관 평가지표 인식조사 연구설계 32
      • 3.1 연구 개요 32
      • 3.2 Focus Group Interview 연구 설계 33
      • 3.2.1. Focus Group Interview 전문가 선정기준 34
      • 3.2.2. Focus Group Interview 질문지 구성과 내용 35
      • 3.3 Analytic Hierarchy Process 연구 설계 35
      • 3.3.1. 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을 위한 계층모형 35
      • Ⅳ. 초급지휘관 평가지표 인식조사 분석결과 40
      • 4.1 Focus Group Interview 분석결과 40
      • 4.2 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결과 42
      • 4.2.1. 평가항목(상위역량) 45
      • 4.2.2. 행동지표(하위역량) 47
      • 4.3 소결 58
      • Ⅴ. 결론 62
      • 참고문헌 64
      • 국문요약 6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