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포인트 클라우드 기반 딥 러닝 기법을 이용한 BIM 객체 분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BIM object classification using a deep learning method based on point cloud dat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124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건축 산업 전반에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BIM은 3차원 건축물 객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건축물이 지닌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 형태이다. BIM 데이터는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 표준 형태로 제작 및 배포된다. 이 때 BIM 데이터를 IFC 표준으로 생성하는 과정에서 설계자가 직접 IFC 데이터의 정보를 매핑해야 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는 전문 인력 자원의 소요와 인적 오류의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위험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위험을 줄이고, 보다 효과적으로 IFC 표준에 맞는 BIM 데이터 생성을 위한 딥 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학습한 모델을 통한 자동화된 BIM-IFC간 클래스 매핑 과정을 제안하였다.표준 BIM 라이브러리 데이터인 KBIMS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에서 심층 신경망, 합성곱 신경망, Pointnet 총 3개의 딥 러닝 구조를 학습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세 모델 모두 85% 이상의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그 중 3차원 객체의 위치 정보를 점들의 집합 형태의 데이터인 포인트 클라우드 형태로 표현한 Pointnet이 95% 이상의 정확도를 보여 가장 높은 성능의 모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BIM-IFC 클래스 매핑 작업에서 자동화된 딥 러닝 기반 모델 학습 과정을 통해 기존의 설계 전문가가 수작업으로 수행하는 정보 입력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에 있다.
      번역하기

      건축 산업 전반에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BIM은 3차원 건축물 객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건축물이 지닌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 형태이다. BIM 데이터는 IFC(I...

      건축 산업 전반에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BIM은 3차원 건축물 객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건축물이 지닌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 형태이다. BIM 데이터는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 표준 형태로 제작 및 배포된다. 이 때 BIM 데이터를 IFC 표준으로 생성하는 과정에서 설계자가 직접 IFC 데이터의 정보를 매핑해야 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는 전문 인력 자원의 소요와 인적 오류의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위험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위험을 줄이고, 보다 효과적으로 IFC 표준에 맞는 BIM 데이터 생성을 위한 딥 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학습한 모델을 통한 자동화된 BIM-IFC간 클래스 매핑 과정을 제안하였다.표준 BIM 라이브러리 데이터인 KBIMS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에서 심층 신경망, 합성곱 신경망, Pointnet 총 3개의 딥 러닝 구조를 학습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세 모델 모두 85% 이상의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그 중 3차원 객체의 위치 정보를 점들의 집합 형태의 데이터인 포인트 클라우드 형태로 표현한 Pointnet이 95% 이상의 정확도를 보여 가장 높은 성능의 모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BIM-IFC 클래스 매핑 작업에서 자동화된 딥 러닝 기반 모델 학습 과정을 통해 기존의 설계 전문가가 수작업으로 수행하는 정보 입력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에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use of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s expanding throughout the industry. BIM has been distributed in the form of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 standards, which contains various information of buildings based on 3D building object data. Generating a BIM model, however, often requires tedious and time-consuming processes as the data of the BIM model should be matched with the IFC standards. Usually it is performed by engineers,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human error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utomated BIM-IFC inter-class mapping process by using a deep learning model. In the experiments, the standard BIM library data, KBIMS library, were utilized. Three deep running structures ─ Deep Neural Network,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Pointnet ─ were learned and evaluated. As a result, all three models showed high performance; they all achieved accuracy more than 85%. Among them, Pointnet, which express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ree-dimensional objects as point cloud data, showed the best performance, with accuracy over 95%.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automating the information input process directly performed by existing design experts through an automated deep learning based model learning process in the BIM-IFC class mapping task.
      번역하기

      The use of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s expanding throughout the industry. BIM has been distributed in the form of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 standards, which contains various information of buildings based on 3D building object data. ...

      The use of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s expanding throughout the industry. BIM has been distributed in the form of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 standards, which contains various information of buildings based on 3D building object data. Generating a BIM model, however, often requires tedious and time-consuming processes as the data of the BIM model should be matched with the IFC standards. Usually it is performed by engineers,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human error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utomated BIM-IFC inter-class mapping process by using a deep learning model. In the experiments, the standard BIM library data, KBIMS library, were utilized. Three deep running structures ─ Deep Neural Network,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Pointnet ─ were learned and evaluated. As a result, all three models showed high performance; they all achieved accuracy more than 85%. Among them, Pointnet, which express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ree-dimensional objects as point cloud data, showed the best performance, with accuracy over 95%.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automating the information input process directly performed by existing design experts through an automated deep learning based model learning process in the BIM-IFC class mapping tas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ⅰ
      • 표 목차 ⅳ
      • 그림 목차 ⅳ
      • 수식 목차 ⅳ
      • 요약 ⅰ
      • 표 목차 ⅳ
      • 그림 목차 ⅳ
      • 수식 목차 ⅳ
      • 1. 서론 1
      • 1.1 연구 배경 1
      • 1.2 연구 목적 2
      • 1.3 논문의 구성 2
      • 2. 관련 연구 3
      • 2.1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3
      • 2.2 3차원 데이터 4
      • 2.3 포인트 클라우드 5
      • 2.4 3차원 데이터 분류 알고리즘 7
      • 3. 연구 방법 9
      • 3.1 문제 정의 9
      • 3.2 BIM(KBIMS) 9
      • 3.3 Pointnet 11
      • 4. 실험 15
      • 4.1 실험 개요 15
      • 4.2 분석 과정 15
      • 4.3 합성곱 신경망 학습 15
      • 4.4 심층 신경망 학습 17
      • 4.5 Pointnet 학습 18
      • 4.6 성능 비교 20
      • 5. 결론 21
      • 5.1 연구 결과 요약 및 의의 21
      • 5.2 한계 및 추후 연구과제 22
      • 참고문헌 23
      • 영문초록(Abstract) 2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