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충남 지역 성별 임금격차의 특성과 영향요인을 탐색하고자 지역별고용조사 C형 원자료를 활용하여 인적자원 특성(성별, 연령, 교육수준), 산업 및 직종, 일자리 특성(기업규모, 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63001
2024
Korean
359
학술저널
164-179(1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충남 지역 성별 임금격차의 특성과 영향요인을 탐색하고자 지역별고용조사 C형 원자료를 활용하여 인적자원 특성(성별, 연령, 교육수준), 산업 및 직종, 일자리 특성(기업규모, 고...
본 연구는 충남 지역 성별 임금격차의 특성과 영향요인을 탐색하고자 지역별고용조사 C형 원자료를 활용하여 인적자원 특성(성별, 연령, 교육수준), 산업 및 직종, 일자리 특성(기업규모, 고용지위, 주평균근로시간)이 충남 지역 임금근로자의 월평균임금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t검정 및 F검정을 통하여 월평균임금수준이 각 특성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모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고 인적자원 특성, 산업 및 직종, 일자리 특성 변인을 누적적으로 투입하여 3개 모형의 중다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성별 효과를 가장 크게 낮춘 변인은 일자리 특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규직과 대기업으로 대변되는 양질의 일자리에 여성 분포가 낮음을 시사한다. 양질의 일자리에 대한 여성의 입직과 장기근속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성별임금공시 제도 등을 중심으로 한 지자체와 중앙정부의 정책을 제언하였다.
마산 창동예술촌 건물의 교차 이용에 관한 지역조사 및 정책 제안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는 경상남도 청년정책 현황 및 개선안 검토
지방정부의 역할 변화: 청년 일자리 정책을 중심으로한 지방정부의 역능적 행위자성의 증대
성과측정 역설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청년정책 정책사업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