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동차 경음기 소음 및 상향등 점멸 신호에 대한 의미 해석과 정서 지각 = Drivers’ intention interpretation and emotion perception on vehicles’ horn sound and high beam flashing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river communication is essential to the limited use of road resources by road users.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fine this only by laws and systems. In general, communication while driving, based on social norms, can be helpful or dangerous to traffic safety depending on the method and contents. This study analyzed the driver's communication status through horns and high beam flashing, the meaning of signals interpreted by drivers, and the level of perceived emotion (anger). As a result of the study, drivers judged that other drivers used horns and high beams for more diverse purposes. In addition, they more negatively assessed the reasons for the operation of horns and high beams by other drivers. The response was also different depending on how the horn and the high beam work. When the intensity of the signal stimulus was weak, it was interpreted as a positive or neutral meaning, but when the intensity of the stimulus was strong, it was interpreted as a negative meaning. The same stimulus pattern also showed a low level of perceived anger if the meaning was interpreted positively or neutrally. However, when the same stimulus was interpreted as a request or a protest, a high anger reaction was shown. If the communication method using horn and high beam is not appropriate, it can act as a risk factor for traffic safety. Therefore, education on drivers' communication while driving need to be strengthened.
      번역하기

      Driver communication is essential to the limited use of road resources by road users.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fine this only by laws and systems. In general, communication while driving, based on social norms, can be helpful or dangerous to traf...

      Driver communication is essential to the limited use of road resources by road users.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fine this only by laws and systems. In general, communication while driving, based on social norms, can be helpful or dangerous to traffic safety depending on the method and contents. This study analyzed the driver's communication status through horns and high beam flashing, the meaning of signals interpreted by drivers, and the level of perceived emotion (anger). As a result of the study, drivers judged that other drivers used horns and high beams for more diverse purposes. In addition, they more negatively assessed the reasons for the operation of horns and high beams by other drivers. The response was also different depending on how the horn and the high beam work. When the intensity of the signal stimulus was weak, it was interpreted as a positive or neutral meaning, but when the intensity of the stimulus was strong, it was interpreted as a negative meaning. The same stimulus pattern also showed a low level of perceived anger if the meaning was interpreted positively or neutrally. However, when the same stimulus was interpreted as a request or a protest, a high anger reaction was shown. If the communication method using horn and high beam is not appropriate, it can act as a risk factor for traffic safety. Therefore, education on drivers' communication while driving need to be strengthen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운전 중 의사소통은 제한된 도로자원을 여러 이용자들이 함께 사용하기 위해 필수적인 조건이지만 법과 제도로만 규정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 보통 사회적 규범에 바탕을 두고 있는 운전 중 의사소통은 그 방식과 내용에 따라 교통안전에 도움이 되거나 또는 위험을 끼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 중 의사소통 방식 중 경음기와 상향등 점멸을 통한 운전 중 의사소통 실태와 운전자들이 해석하는 신호의 의미 및 지각된 정서(분노) 수준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운전자들은 일반적으로 자신보다는 다른 운전자들이 경음기와 상향등을 더 다양한 상황에서 작동한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다른 운전자들의 경음기·상향등 작동 이유를 더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또 경음기와 상향등의 작동 방식에 따라서도 다른 반응이 나타났다. 경음기와 상향등 점멸 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정보전달이나 주의환기, 양보 표현 등 긍정적이거나 중립적 의미로 해석하는 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반대로 자극의 강도가 강한 경우 요구나 항의 등 부정적 의미로 해석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동일한 경음기 소리나 상향등 불빛 자극에 대해서도 그 의미가 긍정적이거나 중립적 자극으로 해석될 때 지각된 분노수준은 낮았으나 일방적 요구나 항의 표현으로 해석할 때는 높은 분노반응을 보였다. 경음기와 상향등을 사용한 운전 중 의사소통은 그 방식이 적절하지 못한 경우 교통안전에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올바른 운전 중 의사소통 방식에 대한 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번역하기

      운전 중 의사소통은 제한된 도로자원을 여러 이용자들이 함께 사용하기 위해 필수적인 조건이지만 법과 제도로만 규정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 보통 사회적 규범에 바탕을 두고 있는 운...

      운전 중 의사소통은 제한된 도로자원을 여러 이용자들이 함께 사용하기 위해 필수적인 조건이지만 법과 제도로만 규정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 보통 사회적 규범에 바탕을 두고 있는 운전 중 의사소통은 그 방식과 내용에 따라 교통안전에 도움이 되거나 또는 위험을 끼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 중 의사소통 방식 중 경음기와 상향등 점멸을 통한 운전 중 의사소통 실태와 운전자들이 해석하는 신호의 의미 및 지각된 정서(분노) 수준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운전자들은 일반적으로 자신보다는 다른 운전자들이 경음기와 상향등을 더 다양한 상황에서 작동한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다른 운전자들의 경음기·상향등 작동 이유를 더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또 경음기와 상향등의 작동 방식에 따라서도 다른 반응이 나타났다. 경음기와 상향등 점멸 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정보전달이나 주의환기, 양보 표현 등 긍정적이거나 중립적 의미로 해석하는 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반대로 자극의 강도가 강한 경우 요구나 항의 등 부정적 의미로 해석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동일한 경음기 소리나 상향등 불빛 자극에 대해서도 그 의미가 긍정적이거나 중립적 자극으로 해석될 때 지각된 분노수준은 낮았으나 일방적 요구나 항의 표현으로 해석할 때는 높은 분노반응을 보였다. 경음기와 상향등을 사용한 운전 중 의사소통은 그 방식이 적절하지 못한 경우 교통안전에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올바른 운전 중 의사소통 방식에 대한 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형사정책연구원, "전국범죄피해조사" 2016

      2 김영수, "자동차 화상 시뮬레이터에서 주행 중 타 차량의 경적음이남녀운전자의 자율신경계 반응에 미치는 영향" 1-8, 2008

      3 지상휘, "자동차 경적음의 심리 영향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945-952, 2017

      4 최상섭, "자동차 경적소리의 특성에 따른 뇌파 및 감성 반응" 154-157, 1998

      5 설재훈, "보복운전 실태 조사 및 방지 방안" (214) : 1-, 2005

      6 SBS, "번쩍번쩍’ 48번 상향등 세례, 난폭운전 처벌 못한다"

      7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로드레이지(road rage) 및 운전문화 관련 인식 조사"

      8 이순철, "교통심리학" 학지사 2000

      9 Lennon, A., "You're a bad driver but I just made a mistake’: Attribution differences between the ‘victims’ and ‘perpetrators’ of scenario-based aggressive driving incidents" 14 : 209-211, 2011

      10 Ba, Y, "The effect of communicational signals on drivers'subjective appraisal and visual attention during interactive driving scenarios" 34 : 2015-, 1118

      1 형사정책연구원, "전국범죄피해조사" 2016

      2 김영수, "자동차 화상 시뮬레이터에서 주행 중 타 차량의 경적음이남녀운전자의 자율신경계 반응에 미치는 영향" 1-8, 2008

      3 지상휘, "자동차 경적음의 심리 영향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945-952, 2017

      4 최상섭, "자동차 경적소리의 특성에 따른 뇌파 및 감성 반응" 154-157, 1998

      5 설재훈, "보복운전 실태 조사 및 방지 방안" (214) : 1-, 2005

      6 SBS, "번쩍번쩍’ 48번 상향등 세례, 난폭운전 처벌 못한다"

      7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로드레이지(road rage) 및 운전문화 관련 인식 조사"

      8 이순철, "교통심리학" 학지사 2000

      9 Lennon, A., "You're a bad driver but I just made a mistake’: Attribution differences between the ‘victims’ and ‘perpetrators’ of scenario-based aggressive driving incidents" 14 : 209-211, 2011

      10 Ba, Y, "The effect of communicational signals on drivers'subjective appraisal and visual attention during interactive driving scenarios" 34 : 2015-, 1118

      11 Joint, M., "Road Rage in Aggressive Driving: Three Studies" 15-23, 1995

      12 Takada, M., "Questionnaire survey on vehicle horn use and its effects on drivers and pedestrians" 34 : 187-196, 2013

      13 Takada, M., "Effects of vehicle horn acoustic properties on auditory impressions and the interpretation of reasons for horn use by other drivers" 58 : 259-272, 2010

      14 Mizell, L., "Aggressive Driving in Aggressive Driving:Three Studies" 1-13, 1997

      15 Tasca, L.,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aggressive driving research"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42 0.798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