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bstract
- 1. 서론
- 2. 인공지능 기반 위성 대기질 모니터링 연구 동향
- 3. AI 활용 위성 기반 대기질 모니터링 분야 주요 연구 주제
- 4. 한계점 및 나아갈 방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77925
최현영(Hyunyoung Choi) ; 황수민(Soomin Hwang) ; 강은진(Eunjin Kang) ; 김예진(Yejin Kim) ; 양세영(Seyoung Yang) ; Saman Malik ; Jebun Naher Keya (울산과학기술원 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 ; 이시현(Sihyun Lee) ; 임정호(Jungho Im)
2025
Korean
539
KCI등재,SCOPUS,ESCI
학술저널
179-198(2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모델링 연구 관점에서 살펴본 대기오염물질 장거리이동 연구와 전망
Code of Research Ethics of the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etc.
3차원 대기질 모델을 이용한 사막먼지 발생량 산정 모델의 검증 및 평가: 현황 및 전망
지붕 표면 열 플럭스가 난류 고유 구조 및 오염물질 분산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큰 에디 모의
Goonhilly Satellite Earth Station
Teachers TV Teachers TV[제18회 김옥길기념강좌] 인공지능, 감정, 휴머니즘(Human-Compatible Artificial Intelligence’)’
이화여자대학교 스튜어드 러셀누구나 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Data Analysi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for Everyone]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이세훈누구나 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Data Analysi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for Everyone]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이세훈인공지능의 이해
건국대학교 백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