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립러닝은 기존 교수학습을 연성-체제적(systemic)으로 도입하여 운영하는 교수 학습 방법이므로, 플립러닝에 관한 연구에서는 실행의 주체와 그를 둘러싼 자원과 맥락을 모두 고려할 필요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077660
2019
-
373
KCI등재
학술저널
823-854(32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플립러닝은 기존 교수학습을 연성-체제적(systemic)으로 도입하여 운영하는 교수 학습 방법이므로, 플립러닝에 관한 연구에서는 실행의 주체와 그를 둘러싼 자원과 맥락을 모두 고려할 필요가...
플립러닝은 기존 교수학습을 연성-체제적(systemic)으로 도입하여 운영하는 교수 학습 방법이므로, 플립러닝에 관한 연구에서는 실행의 주체와 그를 둘러싼 자원과 맥락을 모두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단위를 실행 주체뿐만 아니라 주변 자원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함께 포함하는 ‘활동’으로 두고, CHAT의 관점에서 교사의 플립러닝 실행에 관한 활동체계를 주체, 객체, 규칙, 공동체, 분업, 도구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자유학기제’에서 ‘중등 과학교사’가 플립러닝을 실행하는 활동체계에 주목하여, 과학교사(주체)가 플립러닝을 실행(객체)하는 과정에서 개입 하는 규칙, 커뮤니티, 분업, 도구를 규명하고 그에 따른 모순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주체의 역할 갈등(주체-객체), 커뮤니티의 공감대 부족(커뮤니티-분업), ICT 학습환경 운영의 어려움(도구-객체), 플립러닝에 참여하는 학생의 부적응(커뮤니티-객 체)과 같은 4가지 측면에서의 모순이 발견되었다. 하지만, ‘중등 과학교사’의 맥락이 고려되었음에도, 발견된 모순 대부분은 일반적으로 플립러닝을 실행하는 교사가 겪는 전형적인 갈등 요소에 가까웠다. 그 와중에도 본 사례는 중등 과학교사가 플립러 닝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 자유학기제가 주는 영향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CHAT의 관점에서 ‘자유학기제’의 맥락에서 ‘중등 과학’ 교사의 플립러닝 실행을 주목한 사례연구로, 활동체계의 각 요소를 규명하고 모순의 속성을 논의하였음에 의의를 둔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flipped learning is a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brings existing instructional methods into class systemically, studies on the flipped learning need to consider both the subject of implementation and the resources and context surrounding it. ...
Since flipped learning is a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brings existing instructional methods into class systemically, studies on the flipped learning need to consider both the subject of implementation and the resources and context surrounding i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activity system of the teacher s implementation of the flipped learning in terms of ‘subject’, ‘object’, ‘rules’, ‘community’, ‘division of labor’, and ‘tools(mediating artifacts)’ from the perspective of CHAT with a unit of analysis as ‘activity’ which includes not only the subject but also the surrounding resources and socio-cultural context. In practice, we identified ‘rules’, ‘community’, ‘division of labor’, and ‘tools’ in the process of the flipped learning (object) by a science teacher (subject) and analyzed their contractions, focusing on the activity system in which a secondary science teacher perform the flipped learning in the free-semester system. As a result, contradictions were found in four aspects such as role conflict of the subject (subject-object), lack of consensus of the community (community-division of labor), difficulties of operating the ICT learning environment (tool-object), and maladjustment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flipped learning (community-object). However, despite the context of the ‘secondary science teacher’, most of the contradictions found in the analysis were close to typical conflicts experienced by teachers practicing the flipped learning. In the meantime, this case is thought to be significant in that secondary science teachers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impact of the free semester system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flipped learning.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identifying the elements of the activity system and discussing the properties of contradi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AT as a case study of the flipped learning by the ‘secondary science’ teacher in the context of ‘free-semester syste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성희, "학습자 중심에서 본 이공계형 플립러닝 수업 곤란도 해결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519-541, 2018
2 이지연, "학습자 중심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 수업의 적용 사례" 한국교육공학회 30 (30): 163-191, 2014
3 임진숙, "플립드 러닝이 중학생의 과학성취도와 과학교과 관련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6 (36): 93-114, 2018
4 서미옥, "플립드 러닝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2 (32): 707-741, 2016
5 방진하,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의 교육적 의미와 수업 설계에의 시사점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299-319, 2014
6 이정민, "중학교 과학수업에 적용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의 효과" 한국정보교육학회 20 (20): 263-272, 2016
7 박현주, "중학교 과학교사의 실험수업 실태 및 인식 조사" 과학교육연구소 37 (37): 79-86, 2013
8 최숙영, "중등 과학교사의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에 대한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HAT) 측면에서의 이해"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949-959, 2015
9 이희숙, "전통적 수업과 플립러닝 수업의 언어 상호작용 비교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19 (19): 113-126, 2015
10 김이경, "자유학기제의 도입에 따른 교사들의 직무부담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2 (32): 181-203, 2015
1 정성희, "학습자 중심에서 본 이공계형 플립러닝 수업 곤란도 해결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519-541, 2018
2 이지연, "학습자 중심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 수업의 적용 사례" 한국교육공학회 30 (30): 163-191, 2014
3 임진숙, "플립드 러닝이 중학생의 과학성취도와 과학교과 관련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6 (36): 93-114, 2018
4 서미옥, "플립드 러닝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2 (32): 707-741, 2016
5 방진하,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의 교육적 의미와 수업 설계에의 시사점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299-319, 2014
6 이정민, "중학교 과학수업에 적용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의 효과" 한국정보교육학회 20 (20): 263-272, 2016
7 박현주, "중학교 과학교사의 실험수업 실태 및 인식 조사" 과학교육연구소 37 (37): 79-86, 2013
8 최숙영, "중등 과학교사의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에 대한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HAT) 측면에서의 이해"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949-959, 2015
9 이희숙, "전통적 수업과 플립러닝 수업의 언어 상호작용 비교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 19 (19): 113-126, 2015
10 김이경, "자유학기제의 도입에 따른 교사들의 직무부담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2 (32): 181-203, 2015
11 김미진,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교육과정 특성 분석: 2013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215-241, 2014
12 정광순, "자유학기제 도입과 중학교 수업 개선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399-421, 2013
13 김상홍,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 수업모형 개발"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5
14 성용구, "새로운 교육사회학" 태영출판사 2005
15 유영만, "비구조적 문제상황 이해를 위한 체제-해석적 수업체제설계 모델(SI-ISD Model)개발" 18 (18): 249-295, 2002
16 김기태, "미래지향적 교사론" 교육과학사 2006
17 김남익, "대학에서의 거꾸로 학습(Flipped learning) 사례 설계 및 효과성 연구: 학습동기와 자아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30 (30): 467-492, 2014
18 한문정, "교사의 과학관 학습 실행에 대한 이해: CHAT를 활용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33-42, 2014
19 이민주, "과학 잡지 프로젝트를 통한 중학생의 학습 변화 탐색: 참여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256-270, 2011
20 강영란, "계산기를 활용한 초등 수학 영재의 교실 활동에 관한 활동이론적 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5
21 신영준, "거꾸로 수업(Flipped Learning)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20 (20): 152-167, 2016
22 이민경,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교실사회학적 의미 분석: 참여 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4 (24): 181-207, 2014
23 박태정,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교육적 활용가능성 탐색을 위한 교사 인식 조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8 (18): 81-97, 2015
24 박상준, "거꾸로 교실 모형의 개발과 적용 사례의 연구 - 예비교사 교육에의 적용 결과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2 (22): 1-21, 2015
25 Engeström, Y., "Workplace studies: Recovering work practice and informing system desig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0-166, 2000
26 Baker, J. W., "The “classroom flipped”: Using web course management tools to become the guide on the side" Florida Community College at Jackesonville 9-17, 2000
27 Kim, M. K., "The experience of three flipped classrooms in an urban university : an exploration of design principles" 22 : 37-50, 2014
28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29 Hwang, G. J., "Seamless flipped learning : a mobile technology-enhanced flipped classroom with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2 (2): 449-473, 2015
30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publications 2012
31 Engeström, Y., "Perspectives on activity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38, 1999
32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Vol. 75)" Sage publications 1985
33 Darwin, S., "Learning in activity : exploring the methodological potential of action research in activity theorising of social practice" 19 (19): 215-229, 2011
34 고민석, "Flipped learning을 위해 제작한 과학 학습 동영상에서 초등예비교사들이 사용한 시각화 구성 전략 탐색 -지구 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231-245, 2015
35 Bergmann, J., "Flip your classroom : 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every day"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2012
36 Chao, C. Y., "Exploring students' learning attitude and achievement in flipped learning supported computer aided design curriculum : A study in high school engineering education" 23 (23): 514-526, 2015
37 Perkins, D. N., "Distributed cognitions: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consider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88-110, 1993
38 Cole, M., "Distributed cognitions: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consider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6, 1993
39 Yamagata-Lynch, L. C., "Confronting analytical dilemmas for understanding complex human interactions in design-based research from a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CHAT)framework" 6 (6): 451-484, 2007
40 Yin, R. K.,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applied social research methods)" Sage publications 2009
41 Herreid, C. F., "Case studies and the flipped classroom" 42 (42): 62-66, 2013
42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 Technique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publications 1998
43 신소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탐구실험’ 실행에 대한 사례연구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HAT) 측면에서의 이해-" 한국과학교육학회 38 (38): 885-899, 2018
소속 학교의 학교폭력대응역량에 대한 인식이 중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 영문학 토의·토론학습에서 성찰 유형 집단별 학습 결과 분석과 학습 효과 및제안사항에 대한 질적 분석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응급중환자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및 임상판단력에 미치는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
Flipped Learning을 위한 교수자 콘텐츠 제작 (한성대학교)
신한대학교 신종우Why does research in schools not change the practice of science teachers?
이화여자대학교 David TreagustSecondary Science: Forces and Motion
Teachers TV Teachers TVSecondary Science: Reactive Elements
Teachers TV Teachers TVFlipped learning을 위한 디지털 미디어 활용법
신한대학교 신종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