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윤두서의 <채애도(採艾圖)>와 문인정신 : 풍속화 논의를 중심으로 = Yun Doo-seo's Chae Ae-do (採艾圖) and Literary Spirit: Focusing on the discussion of Genre pain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604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윤두서의 <채애도>는 그동안 조선후기 풍속화의 범주 안에서 이해되어 왔다. 풍속과 관련된 소재를 다룬 <채애도>를 비롯한 단 네 점의 그림으로 인해 윤두서는 조영석과 더불어 조...

      윤두서의 <채애도>는 그동안 조선후기 풍속화의 범주 안에서 이해되어 왔다. 풍속과 관련된 소재를 다룬 <채애도>를 비롯한 단 네 점의 그림으로 인해 윤두서는 조영석과 더불어 조선후기 풍속화의 발전을 이끈 선구적 역할을 견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그동안 풍속화에 관한 연구는 주로 조선후기에 어떠한 요인으로 인해 풍속화가 탄생하고 유행하게 되었는지, 그 시대정신을 밝히는데 주력하여 왔다. 풍속화란 역사화의 위대한 장르에 대비된 일반인의 작은 삶을 중시한 근대 서구의 유산이다. 그러므로 일반인의 작은 삶의 소중함에 미적 의미를 부여하고, 일상의 삶을 묘사하려는 근대적 시각 없이 출현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조선 풍속화의 연원을 선사시대의 암각화나 고구려 벽화로 추산하거나, 조선 전기 무일도나 빈풍도와 연결하여 이해하는 것 또한 조심해서 접근해야 할 관점이라고 여겨진다.
      본문은 <채애도>의 분석을 통하여 문인화풍의 특징으로 알려진 사의(寫意)적 표현을 따르기보다, 절파(浙派)의 표현방법을 적극 수용한 윤두서가 어떻게 문인 정신을 그림에 구현하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조선시대 문인화가의 삶의 태도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동주, 17 : 167-168, 1979

      2 안휘준, "한국회화의 전통" 문예출판사 1988

      3 김원룡, "한국미술의 역사" 시공아트 2003

      4 이중희, "조선후기 풍속화의 발생과 근대성"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13) : 41-71, 2004

      5 이태호, "조선후기 풍속화에 그려진 여속과 미의식"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3) : 35-80, 2006

      6 우지연, "조선후기 문인화가의 예술ㆍ철학적 특징 一考" 한국양명학회 (57) : 243-276, 2020

      7 홍선표, "조선시대 회화사론" 문예출판사 2004

      8 오주석, "우리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 2" 돌베개 1998

      9 이동주, "우리나라의 옛그림" 학고재 1995

      10 정병모, "빈풍칠월도류 회화와 조선조 후기 속화" 174 : 16-39, 1987

      1 이동주, 17 : 167-168, 1979

      2 안휘준, "한국회화의 전통" 문예출판사 1988

      3 김원룡, "한국미술의 역사" 시공아트 2003

      4 이중희, "조선후기 풍속화의 발생과 근대성"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13) : 41-71, 2004

      5 이태호, "조선후기 풍속화에 그려진 여속과 미의식"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3) : 35-80, 2006

      6 우지연, "조선후기 문인화가의 예술ㆍ철학적 특징 一考" 한국양명학회 (57) : 243-276, 2020

      7 홍선표, "조선시대 회화사론" 문예출판사 2004

      8 오주석, "우리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 2" 돌베개 1998

      9 이동주, "우리나라의 옛그림" 학고재 1995

      10 정병모, "빈풍칠월도류 회화와 조선조 후기 속화" 174 : 16-39, 1987

      11 김백균, "문인과 문인화의 이해"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47 : 25-44, 2016

      12 정혜린, "공재(恭齋) 윤두서(尹斗緖)의 문인화관 연구 -남종문인화의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실학학회 (13) : 333-364, 2007

      13 이내옥, "공재 윤두서" 시공사 2003

      14 백인산, "간송미술 36 회화" 컬처그라퍼 2014

      15 윤두서, "記拙"

      16 Ayres, W, "Picturing History: American Painting 1770-1903" Fraunces Tavern Museum 177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