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명경제 개념의 도입과 ‘생명’ 가치 기업경영으로 전환 = Paradigm Shift into Corporate Management with The Value of ‘Life’ Through the Concept of Life Econom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65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the concept of life economy and emphasizes that companies should convert to purpose-oriented management centered on life values. Recently, the role of companies in the issues of confusion of human identity due to the intelligence o...

      This study presents the concept of life economy and emphasizes that companies should convert to purpose-oriented management centered on life values. Recently, the role of companies in the issues of confusion of human identity due to the intelligence of machines, the climate crisis due to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social value realization has changed. This increases the need to transition from efficiency and result-oriented management, which is the management logic so far, to management of the value of life for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As a research method, the meaning of the life economy was applied to the management principle by investigating various academic perspectives on life with existing literature research. Life is defined meaning in cooperation and good relationships with stakeholders and society, not alone. This means that corporate management centered on life value should be able to share and sympathize with the process of survival and development in the community, away from the logic of self-corporate interests.
      The corporate management paradigm mentioned in this paper refers to the balance of responsible management such as corporate survival, development, social value, and environmental response through corporate production activities and processes.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fe economy, the three balances of ethical management,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technology management result in 'life'.
      This study theoretically builds the concept of life, which has not been discussed in the management research fields, the link between the life economy and corporate management and presents a new value of management logi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생명 경제의 개념을 도입하여 기업이 생명 가치 중심의 목적 지향적 경영으로 전환해야 함을 연구하였다. 최근 기계의 지능화로 인한 인간 정체성의 혼란과 환경파괴로 인한 기후...

      본 연구는 생명 경제의 개념을 도입하여 기업이 생명 가치 중심의 목적 지향적 경영으로 전환해야 함을 연구하였다. 최근 기계의 지능화로 인한 인간 정체성의 혼란과 환경파괴로 인한 기후 위기, 사회적 가치의 실현에서 기업의 역할은 달라졌다. 이는 지금까지의 경영 논리인 효율과 성과 중심에서 공동체의 생존과 발전을 포함한 생명 가치의 경영으로 전환해야 할 필요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기존의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생명에 대한 여러 학문적 관점을 조사하여 생명 경제의 의미를 정의하고 경영원리`에 적용하였다. 생명은 혼자만의 존재가 아니라 이해관계자 및 사회와의 협력과 선한 관계 속에서 정의되고 의미를 발견하게 된다. 이는 생명 가치 중심의 기업경영은 자기기업중심의 논리로부터 벗어나 공동체 안에서의 생존과 발전의 과정을 함께 공유하고 공감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 언급하는 생명 경제에서의 기업경영 패러다임은 기업은 기업 내부와 외부를 통합하여 이윤을 창출해야 하고, 기업의 이해관계자 모두에게 생명의 가치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함은 물론, 기업의 생산활동과 과정을 통해 기업의 생존과 발전, 사회적 가치, 그리고 환경 대응에 이르기까지 책임 있는 경영의 균형을 말한다. 또한 생명경제 관점에서 3가지-윤리경영, 환경경영, 기술경영-의 균형은 생명중심 경영의 주요 관점이다. 이 3가지 경영의 통합을 통해 생명 가치의 경영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그동안 경영학계에서는 논의되지 않았던 생명의 개념을 생명경제와 기업경영의 연계를 이론적으로 구축하고, 새로운 가치의 경영 논리를 제시한 데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완형, "팬데믹 시대 생태계경영의 통합적 협력모델 연구" 한국로고스경영학회 19 (19): 136-157, 2021

      2 장동현, "탐욕의 경제를 넘어 생명의 은총으로, 신앙으로 일구는 생명의 경제"

      3 이갑두, "칼빈의 신앙과 경제윤리 그리고 제네바의 변혁의 관계" 한국로고스경영학회 18 (18): 1-26, 2020

      4 Ruskin, J, "존러스킨의 생명의 경제학: 나중에 온 이사람에게도" 아인북스 2018

      5 이상호, "조지스큐-로이젠(N. Georgescu-Roegen)의 생명경제학과 플로우-펀드 모델" 한국경제학회 56 (56): 195-221, 2008

      6 하상균 ; 박용승, "이해관계자중심 경영패러다임의 실천을 위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모형 탐색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35 (35): 167-196, 2020

      7 김재구, "이해관계자 자본주의와 ESG" 41-51, 2021

      8 최무진, "의사결정론과 지원시스템" 계명대학교출판부 2016

      9 Monod, J, "우연과 필연" 궁리 2010

      10 Sandel, M. J, "완벽에 대한 반론" 와이즈베리 2016

      1 이완형, "팬데믹 시대 생태계경영의 통합적 협력모델 연구" 한국로고스경영학회 19 (19): 136-157, 2021

      2 장동현, "탐욕의 경제를 넘어 생명의 은총으로, 신앙으로 일구는 생명의 경제"

      3 이갑두, "칼빈의 신앙과 경제윤리 그리고 제네바의 변혁의 관계" 한국로고스경영학회 18 (18): 1-26, 2020

      4 Ruskin, J, "존러스킨의 생명의 경제학: 나중에 온 이사람에게도" 아인북스 2018

      5 이상호, "조지스큐-로이젠(N. Georgescu-Roegen)의 생명경제학과 플로우-펀드 모델" 한국경제학회 56 (56): 195-221, 2008

      6 하상균 ; 박용승, "이해관계자중심 경영패러다임의 실천을 위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시스템 모형 탐색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35 (35): 167-196, 2020

      7 김재구, "이해관계자 자본주의와 ESG" 41-51, 2021

      8 최무진, "의사결정론과 지원시스템" 계명대학교출판부 2016

      9 Monod, J, "우연과 필연" 궁리 2010

      10 Sandel, M. J, "완벽에 대한 반론" 와이즈베리 2016

      11 Nurse, P, "생명이란 무엇인가?: 5단계로 이해하는 생물학" 까치 2022

      12 Margulis, "생명이란 무엇인가?" 도서출판리수 1995

      13 김균진, "생명의 신학: 인간의 생명에 대한 기독교 신학의 이해"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5

      14 김영선, "생명의 개념과 본질에 대한 신학적 고찰" 한국기독교학회 30 (30): 237-262, 2003

      15 정우현, "생명을 묻다: 과학이 놓치도 있는 생명에 대한 15가지 질문" 이른비 2022

      16 문시영, "생명윤리의 신학적 기초" 긍휼 2014

      17 Attali, J., "생명경제로의 전환" 한국경제신문 2020

      18 박명규, "사회적 가치의 다차원적 구조" 한울아카데미 2018

      19 박종무, "모든 생명은 서로 돕는다" 도서출판 리수 2014

      20 신중섭, "도덕 감정과 이기심— 아담 스미스를 중심으로 —" 새한철학회 73 (73): 109-133, 2013

      21 최무진, "기독교적 프레임을 통한 전략이론의 이해: 크리스천 분파의 모색" 한국로고스경영학회 19 (19): 1-18, 2021

      22 이찬웅, "기계이거나 생명이거나" 이학사 2021

      23 배종석, "공동체로서의 기업’에 대한 이해" 2009

      24 Osburg, T, "Sustainability in a digital world: New opportunities through new technologies" Springer 2017

      25 Bazerman, M. H, "Judgment in managerial decision making" John Wiley & Sons, Inc 2006

      26 Adamides, E. D, "Industrial ecosystems as technological niches" 17 (17): 172-180, 2009

      27 Georgescu-Roegen, N, "Analytical economics" Harvard Univ 1976

      28 Lee, Wan-Hyung, "A Study on humanity management: Theory and model" 18 (18): 75-89, 202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