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로나-19(COVID-19) 상황에서 아동양육시설의 변화와 생활지도원의 정서적 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 of Child Care Facilities and the Emotional Experience of Life Instructors in Corona-19(COVID-19)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355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motional experiences of experiencing certain changes after COVID-19 and experiencing changes for life instructors working in child care facilities dedicated to infants among social welfare facilitie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life instru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abor Standards Act was not observed as life instructors performed heavy roles and tasks other than their original roles. Second, psychological exhaustion was experienced due to work increase or decrease and overtime work. Third, even though COVID-19 was confirmed, the life instructor who worked felt skeptical about the job and considered changing jobs. Fourth, life instructors who self-quarantined due to COVID-19 had conflicting feelings of relief and sorry for their colleagues. This study present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practical countermeasures that can be implemented in child care facilities and social welfare sit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motional experiences of experiencing certain changes after COVID-19 and experiencing changes for life instructors working in child care facilities dedicated to infants among social welfare facilities. To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motional experiences of experiencing certain changes after COVID-19 and experiencing changes for life instructors working in child care facilities dedicated to infants among social welfare facilitie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life instru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abor Standards Act was not observed as life instructors performed heavy roles and tasks other than their original roles. Second, psychological exhaustion was experienced due to work increase or decrease and overtime work. Third, even though COVID-19 was confirmed, the life instructor who worked felt skeptical about the job and considered changing jobs. Fourth, life instructors who self-quarantined due to COVID-19 had conflicting feelings of relief and sorry for their colleagues. This study present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practical countermeasures that can be implemented in child care facilities and social welfare sit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시설 중 영유아 전담 아동양육시설에서 근무하는 생활지도원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어떤 변화를 겪었고, 변화를 겪을 때의 정서적인 경험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생활지도원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지도원은 본래의 역할 이외의 과중된 역할과 업무를 수행하게 되면서 근로기준법은 지켜지지 않았다. 둘째, 업무 증감과 초과근무로 인해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였다. 셋째, 코로나 확진이 되었음에도 근무를 하는 생활지도원은 직업에 대한 회의감을 느끼고 이직을 고려하였다. 넷째, 코로나 확진으로 자가 격리를 했던 생활지도원들은 확진에 대한 안도감과 동료에 대한 미안함이라는 상반된 감정을 가졌다.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과 사회복지현장에 실천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응방안을 구축하는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시설 중 영유아 전담 아동양육시설에서 근무하는 생활지도원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어떤 변화를 겪었고, 변화를 겪을 때의 정서적인 경험에 대해 탐색하는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시설 중 영유아 전담 아동양육시설에서 근무하는 생활지도원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어떤 변화를 겪었고, 변화를 겪을 때의 정서적인 경험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생활지도원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지도원은 본래의 역할 이외의 과중된 역할과 업무를 수행하게 되면서 근로기준법은 지켜지지 않았다. 둘째, 업무 증감과 초과근무로 인해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였다. 셋째, 코로나 확진이 되었음에도 근무를 하는 생활지도원은 직업에 대한 회의감을 느끼고 이직을 고려하였다. 넷째, 코로나 확진으로 자가 격리를 했던 생활지도원들은 확진에 대한 안도감과 동료에 대한 미안함이라는 상반된 감정을 가졌다.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과 사회복지현장에 실천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응방안을 구축하는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철희 ; 이종화, "한국 사회복지사 이직연구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1 (21): 74-111, 2019

      2 하경희 ; 배은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는 정신재활서비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 주간재활시설 종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9 (49): 55-85, 2021

      3 보건복지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유행대비 사회복지시설 대응 지침"

      4 김형모, "코로나19와 아동복지시설" 321-335, 2020

      5 주해란 ; 한아름, "코로나19기간 동안 어린이집 긴급보육을이용하는 영아기 어머니의 정서적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6 (26): 209-227, 2021

      6 김민이, "코로나19 팬데믹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 어머니의 부모역할 경험: 근거이론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1

      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코로나19 이후 자녀가 있는 여성의 일·돌봄 변화 온라인조사" 2021

      8 국가트라우마센터, "코로나19 심리지원 가이드라인"

      9 이승민, "코로나19 시대 장애인거주시설 현장" (262) : 21-25, 2020

      10 김지민 ; 신상준, "코로나19 시기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심리적⋅직업적⋅제도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8 (48): 5-36, 2021

      1 강철희 ; 이종화, "한국 사회복지사 이직연구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1 (21): 74-111, 2019

      2 하경희 ; 배은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는 정신재활서비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 주간재활시설 종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9 (49): 55-85, 2021

      3 보건복지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유행대비 사회복지시설 대응 지침"

      4 김형모, "코로나19와 아동복지시설" 321-335, 2020

      5 주해란 ; 한아름, "코로나19기간 동안 어린이집 긴급보육을이용하는 영아기 어머니의 정서적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6 (26): 209-227, 2021

      6 김민이, "코로나19 팬데믹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 어머니의 부모역할 경험: 근거이론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1

      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코로나19 이후 자녀가 있는 여성의 일·돌봄 변화 온라인조사" 2021

      8 국가트라우마센터, "코로나19 심리지원 가이드라인"

      9 이승민, "코로나19 시대 장애인거주시설 현장" (262) : 21-25, 2020

      10 김지민 ; 신상준, "코로나19 시기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심리적⋅직업적⋅제도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8 (48): 5-36, 2021

      11 장영인,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시설보호아동의 권리현황과 과제" 한국아동권리학회 25 (25): 459-489, 2021

      12 김지혜,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사는 안전한가? - 감염위험과 소진을 중심으로 -" 207-228, 2021

      13 김윤정 ; 문순영 ; 이윤화, "코로나19 감염병 재난 속 사회복지사의 경험과 과제" 한국웰니스학회 16 (16): 10-18, 2021

      14 윤민화,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사회복지실천경험:대구지역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실천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15 (15): 41-68, 2021

      15 이원석,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사례연구의 특성" 질적연구학회 21 (21): 85-91, 2020

      16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3

      17 교육부, "유초중등 및 특수학교 코로나19감염예방 관리안내"

      18 윤기혁 ; 박경일 ; 이진열, "위드 코로나(With Corona)시대 노인복지관의 위험관리 대응현황 및 개선방안 - 부산 노인복지관 종사자가 경험한 위험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13) : 225-246, 2021

      19 배원진 ; 박주영, "요양병원 치료사의 코로나19 대응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5 (15): 337-347, 2021

      20 주해란 ; 마미나 ; 이예진 ; 황소연 ; 안태구, "아동양육시설의 양육 환경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보호종료아동의 관점에서" 한국청소년학회 29 (29): 25-59, 2022

      21 노충래 ; 최려나 ; 김현진, "아동복지시설 종사자의 코로나19 감염 예방 실천 영향요인" 한국아동복지학회 70 (70): 197-222, 2021

      22 강희주 ; 구슬이 ; 윤은영 ; 정익중, "아동과 부모의 경험을 통해 본 코로나19 이후 아동 일상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32 (32): 95-120, 2021

      23 민자경 ; 오경자, "시설양육 청소년의 양육장소변경과 문제행동의 관계: 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 32 (32): 591-607, 2013

      24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성평등 생활사전 재택노동편"

      25 강혜련, "서울시 노인종합복지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감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2009

      26 김정근 ; 김두례, "사회복지시설의 코로나19 대응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부산지역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표적집단면접을 중심으로" 지방자치연구소 38 (38): 381-408, 2021

      27 오승환, "사회복지시설의 예방적 코호트 격리정책 평가" 사회복지법제학회 11 (11): 17-48, 2020

      28 안수란, "사회복지생활시설의 감염병 대응 현황과 과제" 381 (381): 1-11, 2020

      29 이선우 ; 박수경,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 소진, 직무만족과의 관계 - 표면행위와 내면행위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69) : 73-102, 2019

      30 홍석자 ; 서상범, "노인요양시설 사회복지사의 직무환경과 개인적 성향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2 (42): 187-216, 2011

      31 고수정, "공사부문 사회복지 전문인력의 직무만족 결정요인 비교분석" 한국정부학회 18 (18): 473-494, 2006

      32 질병관리청, "검역단계에서 해외유입 신종코로나바이러스 확진환자 확인 감염병 위기경보를 ‘주의’단계로 상향"

      33 서종녀, "감염병 대응 서울시 사회복지 생활시설 현황과 과제" 32 (32): 179-179, 2020

      34 경향신문, "“보호시설 아동, 외출·외박 제한에 취업 준비도 못해”복지부‘코로나 대응지침’에 손발 묶인 아이들"

      35 Yanay, U., "The Role of Social Workers in Disasters : The Jerusalem Experience" 48 (48): 263-276, 2005

      36 Naturale, A., "Secondary Traumatic Stress in Social Workers Responding to Disasters: Reports from the Field" 35 (35): 173-181, 2007

      37 Benbow S. M, "Burnout : Current knowledge and relevance to old age psychiatry" 13 : 520-526, 1998

      38 아동권리보장원, "2020년 아동자립지원 통계현황보고서"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47 2.76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