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산업은 약 2만 개의 부품을 활용하며 전·후방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치는 국가 기간산업으로, 한국 경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자동차 산업의 성장은 부품 제조업이 뒷받침하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196628
부산 : 국립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5
학위논문(박사) -- 국립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기술경영학과 , 2025. 2
2025
한국어
ESG ; PDCA 모형 ; 델파이조사 ; 경영 실천 프레임워크 ; 중소기업 ; 자동차부품 제조산업
부산
; 26 cm
지도교수: 이운식
I804:21031-20000086843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자동차 산업은 약 2만 개의 부품을 활용하며 전·후방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치는 국가 기간산업으로, 한국 경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자동차 산업의 성장은 부품 제조업이 뒷받침하고 ...
자동차 산업은 약 2만 개의 부품을 활용하며 전·후방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치는 국가 기간산업으로, 한국 경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자동차 산업의 성장은 부품 제조업이 뒷받침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으로 국내에는 약 15,239개의 자동차부품 제조업체들이 존재한다. 이들 기업은 제조업 전체 고용의 약 8%, 전체 생산의 약 6.5%, 전체 수출의 약 3.6%를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 중소기업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최근 몇 년간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중소기업들도 생산의 효율성 향상뿐만 아니라 ESG 경영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모색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글로벌 완성차 제조사들은 공급사슬 전반에서 ESG 리스크를 관리하고 있으며, 부품 공급사인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공급사슬 ESG 평가를 시행하여, 그 결과를 계약내용에 반영하고 있다. 이에 따라 ESG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거래 축소 등과 같은 실질적인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자동차부품 제조업은 타 산업에 비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사회적 책임 및 투명한 지배구조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들은 대기업들에 비해 자본, 인력, 기술적 투자가 부족하여 ESG 경영 실천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산업별 특성을 반영한 구체적인 경영 실천 프레임워크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자동차부품 제조중소기업들이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ESG 경영을 도입할 수 있도록, 이들의 한정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면서도 실천가능한 ESG 경영 프레임워크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글로벌 완성차 제조사들이 각기 다른 ESG 평가기준을 적용하고 있어, 다양한 원청회사들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통합적인 ESG 경영 실천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중소기업들의 ESG 경영 도입을 지원하기 위해, 자동차부품 제조산업의 특성과 중소기업의 현실을 반영한 ESG 경영 실천 프레임워크를 연구하고 개발하고자 한다.
ESG 경영 실천 프레임워크의 개발에 있어서, 국내 주요 자동차 부품업체들과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ESG 공급사슬 평가지표들을 바탕으로, 전문가집단을 구성하여 중요도-성과 분석(IPA)을 통해 23개의 기준지표들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문헌조사와 전문가집단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PDCA 모형을 적용한 102개의 이행지표들을 도출하고 중소기업용 ESG 경영 실천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다. 이후 델파이 조사를 통해 2차례에 걸쳐 내용의 타당성을 검증한 후 97개의 이행지표들로 구성된 중소기업용 ESG 경영 실천 프레임워크를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제안된 프레임워크를 현대자동차 그룹과 제네럴모터스 그룹에 자동차부품을 공급하는 중소기업 2개사에 실제로 적용하여 사례분석을 통한 적용의 유효성도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A사의 경우, 2022년 평가결과가‘중’에서 2023년 ‘중상’으로 상승했으며 윤리, 환경, 노동·인권, 안전·보건 모든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좋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환경 분야는 ‘하상’에서‘중상상’으로 상승하여 제안된 프레임워크의 유효성이 검증되었다. 두 번째로, B사의 경우, EcoVadis 플랫폼에 의해 종합 45점(브론즈)에서 종합 62점(실버)로 상승했고, 특히 환경, 노동·인권 분야에서 각각 70점(Advanced)을 획득하여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다만 원자재 공급사슬 관리와 부패방지 등에서 일부 점수가 낮은 부분이 있었지만 중소기업의 ESG 공급사슬 평가대응은 모든 분야에 대해 완벽한 수준으로 이행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점에 비추어 용인 되는 수준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현장 적용사례로 볼 때, 자동차부품 제조 중소기업들이 ESG 공급사슬 평가를 대비함에 있어, 전문가의 도움없이도 실무적으로 ESG 경영 실천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프레임워크를 활용한다면, 다수의 글로벌 기업들에게 부품을 공급하는 중소기업들이 별도의 평가기준 마다 대응하는 것이 아닌 자동차산업용으로 통합된 ESG 경영 실천 방안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단순 선택질문 형식이 아닌 PDCA 모형을 기반으로 구성했기 때문에 ESG 경영 실천에 대해 잘 모른다고 하더라도 단계별로 ESG 경영 실천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utomotive industry, utilizing approximately 20,000 components, significantly influences upstream and downstream industries as a national key industry and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Korean economy. Its growth is supported by the automotive parts...
The automotive industry, utilizing approximately 20,000 components, significantly influences upstream and downstream industries as a national key industry and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Korean economy. Its growth is supported by the automotive parts manufacturing sector, which, as of 2023, comprises about 15,239 domestic companies. These companies account for approximately 8% of total manufacturing employment, 6.5% of total production, and 3.6% of total exports, with the majority be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management has increased, requiring SMEs not only to enhance production efficiency but also to pursue sustainable growth through ESG practices. Global automakers are managing ESG risks across the supply chain and conducting ESG evaluations for parts suppliers, including SMEs, incorporating the results into contractual terms. Consequently, failure to meet ESG standards may result in tangible disadvantages, such as reduced business transactions.
The automotive parts manufacturing sector has a significant environmental impact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and faces growing demands for social responsibility and transparent governance. However, SMEs struggle with limited capital, workforce, and technological resources, making ESG management challenging. Moreover, there is a lack of specific ESG management framework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is industry.
Thus, to enable SMEs in the automotive parts manufacturing sector to adopt ESG management for sustainable growth, there is a pressing need to develop a practical and resource-efficient ESG management framework. Given the diverse ESG evaluation criteria employed by global automakers, an integrated ESG management solution is also required to meet the varying demands of multiple parent companie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SG management framework that reflect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automotive parts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realities faced by SMEs.
To develop this framework, the study identified 23 key criteria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based on ESG supply chain evaluation indicators from major domestic automotive parts manufacturers and global automakers, with input from a group of experts. Subsequently, 102 actionable indicator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expert interviews, applying the PDCA (Plan-Do-Check-Act) model to design an ESG management framework for SMEs. The validity of this framework was verified through a two-round Delphi survey, resulting in the final framework comprising 97 actionable indicators. The proposed framework was applied and validated through case studies involving two SMEs supplying parts to Hyundai Motor Group and General Motors Group.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Company A, its ESG evaluation improved from "Moderate" in 2022 to "Moderately High" in 2023, showing positive results across all domains, including ethics, environment, labor and human rights, and safety and health. Notably, its environmental evaluation rose from "Low-Moderate" to "Moderately High," confirming the framework's effectiveness. Second, Company B's overall score on the EcoVadis platform increased from 45 (Bronze) to 62 (Silver), achieving 70 points (Advanced) in the environment and labor and human rights categories. While there were lower scores in raw material supply chain management and anti-corruption, these were deemed acceptable given the practical difficulties SMEs face in achieving perfection across all areas of ESG supply chain evalua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proposed framework enables SMEs in the automotive parts manufacturing sector to practically implement ESG management and prepare for supply chain ESG evaluations without relying heavily on external expertise. Furthermore, the integrated ESG management solution proposed by this study allows SMEs supplying multiple global companies to address evaluation criteria through a unified framework tailored to the automotive industry. Lastly, the PDCA-based structure enables step-by-step implementation of ESG management, even for those with limited knowledge, fostering practical adoption of ESG practice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