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생태 전환적 관점의 수업에서 학생들의 캐릭터 창작 활동을 토대로평가 재구성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반고등학교 1학년학생 115명이 참여한 캐릭터 창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생태 전환적 관점의 수업에서 학생들의 캐릭터 창작 활동을 토대로평가 재구성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반고등학교 1학년학생 115명이 참여한 캐릭터 창작...
본 연구는 생태 전환적 관점의 수업에서 학생들의 캐릭터 창작 활동을 토대로평가 재구성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반고등학교 1학년학생 115명이 참여한 캐릭터 창작 활동의 과정과 결과물, 학생들의 성찰문을 질적으로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 연계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학생들은 기존 캐릭터의 조형적·생태학적 특징과 그 안에 담긴 사회· 문화적 의미를 귀납적으로 분석하고 일반화하는 과정에서 생태 문제에 대한 인식을 시각적·서사적 형태로 표현하며 인간중심주의에 관한 비판적 성찰을 나타내는특징을 보였다. 둘째, 창작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성찰문은 ‘사회적·문화적 가치를담은 시각문화’, ‘정의적 영역으로 나타나는 인식의 변화’, ‘아날로그 매체와 디지털 매체에 관한 양가적 인식’이라는 세 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셋째, 학생들의성찰문 분석 범주를 성취기준 재구조화 근거로 활용하고, ‘조형적·생태적 관점에서캐릭터 사례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기’, ‘생태적 주제를 캐릭터로 표현하기’를 평가요소로 하는 루브릭과 ‘창작 과정에 관한 성찰적 태도’, ‘생태 가치 인식’, ‘협력적소통’을 평가요소로 하는 체크리스트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인식 분석을통해 평가의 근거를 도출하여 평가의 선순환적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봤다는 데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미술교육 평가에 있어 교사와 학생의 민주적인 합의 지점을탐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for reconstructing assessment based on students’ character creation activities within classes grounded in an ecological transformative perspective.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rocesses, outcomes, an...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for reconstructing assessment based on students’ character creation activities within classes grounded in an ecological transformative perspective.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rocesses, outcomes, and reflective journals of 115 first-year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trategies for integrating assessment into instruction were proposed based on the findings. First, students inductively analyzed and generalized the form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existing characters and their embedded socio-cultural meanings. Through this process, they expressed ecological awareness visually and narratively and critically reflected on anthropocentrism. Second, their reflections revealed three thematic categories: ‘visual culture embedded with social and cultural values,’ ‘perceptual shifts in the affective domain,’ and ‘ambivalent perceptions of analog and digital media.’ Third, these categories informed the restructuring of achievement standards. A rubric was developed with criteria such as ‘critical analysis of character cases’ and ‘expression of ecological themes,’ while a checklist included ‘reflective attitude,’ ‘ecological value awareness,’ and ‘collaborative communic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offering a concrete model of formative assessment grounded in student perception and fostering democratic consensus-building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art education assessment.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
얽힘의 미학과 비판적 상상력 - AI 시대를 위한 미술교육 커리큘럼 제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