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이주민 영화제」에 출품된 이주민제작자의 작품에 관한 연구이다. 이 작품을 통해 이주민 영화제작자의 특징과 그 작품에 나타난 주제와 내용의 특징들을 연구하고 작품 내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052880
광주 :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학위논문(석사) --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 NGO협동과정 , 2016. 2
2016
한국어
361.7 판사항(22)
광주
114 p. : 삽화 ; 26 cm.
전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주정민
참고문헌 포함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이주민 영화제」에 출품된 이주민제작자의 작품에 관한 연구이다. 이 작품을 통해 이주민 영화제작자의 특징과 그 작품에 나타난 주제와 내용의 특징들을 연구하고 작품 내의 ...
이 논문은「이주민 영화제」에 출품된 이주민제작자의 작품에 관한 연구이다. 이 작품을 통해 이주민 영화제작자의 특징과 그 작품에 나타난 주제와 내용의 특징들을 연구하고 작품 내의 한국이미지의 재현방식과 제작자의 의식에 관해 분석연구 하였다. 매년 열리는「이주민 영화제」가 이주민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을 개선하고, 다양한 문화와 예술이 공존하는 문화다양성의 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이바지한 바를 기초자료로 제공하였다. 또한 문화다양성 사회를 구현하는 구체적인 실현과 통합의 현실화를 위한 대안 설정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이주민 영화제」기점인 2006년 제1회『이주노동자 영화제』부터 최근인 2014년 제8회 이주민 영화제에 이르기까지 이 영화제를 통해 상영되고 출품된 작품 중 순수 국내거주 이주민제작자의 작품 46편만을 선정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주민 영화제작자의 특징은 출신지, 성별, 이주유형, 한국에서의 직업유형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연구하였고 둘째, 작품의 주제와 내용에 관해서는 이주민의 삶, 사회적 문제와 갈등, 한국 생활에 대한 전망, 이주민의 정체성의 문제 등에 대한 묘사를 내용으로 분석하였으며 셋째, 영화제작자의 작품에서 재현된 한국이미지에 관한 것으로 한국사회와 한국인에 대한 이미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주민 영화제작자의 의식에 관한 연구로 이주에 대한 시선 묘사, 이주민 정책 및 제도 개선에 대한 표현, 한국인들에 대한 시선의 표현에 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주민 영화제작자의 특징과 작품에서 재현된 한국의 이미지, 제작자의 작품제작 의식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지 않을까 하여 알아보기 위해 재분석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첫째, 이주민 영화제의 발전을 위해서는 영화제를 주최하는 ‘이주민 방송’의 입장, 이주민 영화제작자 개인의 의식, 그리고 무엇보다 다양한 이주민이 영화제에 참여 할 수 있도록 홍보전략, 참여 독려, 미디어교육의 기회제공 등의 대안 마련과 문화다양성을 지향하는「이주민 영화제」에 대한 합리적인 작품선정의 기준이 필요하다.
둘째, 다수의 작품들이 이주노동자에 대한 내용과 주제들로 일관된 편향성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축제라는 이주민 영화제의 분위기에 어울리는 작품과 다양한 장르를 선보일 수 있는 제작자 의식교육이 미디어 교육과 함께 이루어 져야 한다.
셋째, 이주민 영화제작자의 작품에서 재현된 이주민을 바라보는 한국사회에 대한 이미지 재현에 있어서 나타난 부정적 이미지 개선을 위해서는 이주노동자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행위자들이 정책이 현실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이주민 영화제작자의 의식에서 이주민 영화제작자는 이주에 대한 시선의 묘사, 정책 및 제도개선에 대한 표현, 한국인에 대한 시선의 표현을 통해 감독이라는 이름으로 자신의 작품을 가지고 관객과 소통함으로써 자기 긍정의 힘을 발견하였을 것이다. 이주민 영화제작자는 관객들과의 만남을 통해 이주사회에서 사회연결망을 재수립하고 무엇보다 신분상의 위치 변화를 이끌어 내는데 성공하여 한국인과 이주에 대한 긍정적인 시선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주노동자에 지나치게 편향된 이주민 영화제작자의 특징과 이주민 영화제작자 작품에서 재현된 한국의 이미지와 이주민 영화제작자의 의식 사이 재분석 결과를 해석에 적용하기에는 한계를 보이며 이주민제작자의 특징보다도 작품 내용에 따라 큰 연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이주민 영화제」가 이주민에 대한 보다 나은 인식개선 및 문화다양성 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많은 이바지를 해왔음을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제공했다는 점에 연구의 의미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