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에 근거한 정가(正歌) 교수-학습 모형 개발 = A Study for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 Model for 'Jeong-ga' Based on 'A Generative Approach to Music Lear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3951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instruction model for children to grasp the basic concept of Jeong-ga based on a generative approach to music learning.
      The study consisted of background research, development of preliminary model, extracting learning element and scheming out learning strategy, development of final model, embodiment of this model at a class level with planning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procedure and suggesting whole set of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as an example. The model developed in this research more specified constructive learning model in teaching-learning activity section. It divided it into five subsections, which were contents, concept, musical activity, modes of knowledge representation, cognitive proces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To extracting learning elements, The musical nature of Jeong-ga, the definition of generative approach to music learning, the national statutory music curriculum in 2009 were carefully examined. The extracted elements categorized into timbre, Jangdan which means rhythm pattern, melody, form, expression, style. Sub-genre of Jeong-ga, Gagok, Gasa, Sijo show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is categories. On every category, related learning activity examples from textbook for middle school were attached.
      The sampl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suggested in this research was designed for four weeks. Since there is difference in the level of difficulty in sub-genre of Jeong-ga, students were supposed to learn Sijo–Gagok-Gasa in turns. In case of Gasa, the learning contents was limited to be covered because it was too complicat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learn.
      In compliance with learning hierarchy, distinguishable elements were followed by concepts of the musical whole and so did modes of knowledge representation, cognitive process. To fully cover several concepts of one song, the block-time system which has been introduced in middle school should be applied. With this program, students would be able to have various musical experience with Jeong-ga and make their own concept of it, which lead them to improve understanding of Jeong-ga.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ould be useful resource for elaborat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Jeong-ga and other genr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instruction model for children to grasp the basic concept of Jeong-ga based on a generative approach to music learning. The study consisted of background research, development of preliminary model, extracting learning 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instruction model for children to grasp the basic concept of Jeong-ga based on a generative approach to music learning.
      The study consisted of background research, development of preliminary model, extracting learning element and scheming out learning strategy, development of final model, embodiment of this model at a class level with planning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procedure and suggesting whole set of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as an example. The model developed in this research more specified constructive learning model in teaching-learning activity section. It divided it into five subsections, which were contents, concept, musical activity, modes of knowledge representation, cognitive proces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To extracting learning elements, The musical nature of Jeong-ga, the definition of generative approach to music learning, the national statutory music curriculum in 2009 were carefully examined. The extracted elements categorized into timbre, Jangdan which means rhythm pattern, melody, form, expression, style. Sub-genre of Jeong-ga, Gagok, Gasa, Sijo show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is categories. On every category, related learning activity examples from textbook for middle school were attached.
      The sampl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suggested in this research was designed for four weeks. Since there is difference in the level of difficulty in sub-genre of Jeong-ga, students were supposed to learn Sijo–Gagok-Gasa in turns. In case of Gasa, the learning contents was limited to be covered because it was too complicat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learn.
      In compliance with learning hierarchy, distinguishable elements were followed by concepts of the musical whole and so did modes of knowledge representation, cognitive process. To fully cover several concepts of one song, the block-time system which has been introduced in middle school should be applied. With this program, students would be able to have various musical experience with Jeong-ga and make their own concept of it, which lead them to improve understanding of Jeong-ga.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ould be useful resource for elaborat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Jeong-ga and other genr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을 근거로 하여 정가의 개념을 형성하기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의 절차는 기초 조사, 기초 모형 개발, 학습 요소 및 전략 개발, 최종 모형 제시, 교수-학습 계획 수립,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또한 개발된 생성적 음악교수이론 기반의 중등 교수-학습 모형은 기본적인 구성주의적 학습 모형의 교수-학습 활동 안에 개념, 음악 활동, 지식제시의 양식, 인지적 사고과정, 교수-학습 전략 등을 고려하여 제작하였다.
      학습할 개념을 정하기 위하여 정가의 음악 요소와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의 개념,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조합하여 ‘음색’, ‘장단’, ‘가락’, ‘형식’, ‘미학’, ‘스타일’의 6가지 요소를 구성하였으며 요소 안에서 정가의 하위 요소인 시조·가곡·가사의 공통적인 부분과 서로 다른 부분을 나누고, 중학교 음악 교과에서 다뤄지는 시조와 가곡의 학습 활동 사례를 제시하였다.
      교수-학습 과정안은 4주차의 수업으로 구성하였다. 장르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시조-가곡-가사의 순서로 학습하도록 제재곡을 선정하였으며 가사는 정가의 공통적인 개념만 다루었다. 학습 요소는 부분적 요소를 먼저 학습하고 총합적 요소로 발전되도록 하였으며 지식제시와 인지과정 또한 위계를 두고 발전되도록 구성하였다. 한 제재곡 안에 여러 개념을 교육하기 위하여 중학교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블록타임제(block time)’를 적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학습자가 정가에 대하여 다양한 경험을 하면서 학습한 개념들을 종합하며 정가에 대한 이해를 높이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정가를 비롯한 국악의 다양한 교수-학습방안이 개발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을 근거로 하여 정가의 개념을 형성하기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의 절차는 기초 조사, 기초 모형 개발, 학습 요소 및 전략 개발...

      본 연구는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을 근거로 하여 정가의 개념을 형성하기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의 절차는 기초 조사, 기초 모형 개발, 학습 요소 및 전략 개발, 최종 모형 제시, 교수-학습 계획 수립,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또한 개발된 생성적 음악교수이론 기반의 중등 교수-학습 모형은 기본적인 구성주의적 학습 모형의 교수-학습 활동 안에 개념, 음악 활동, 지식제시의 양식, 인지적 사고과정, 교수-학습 전략 등을 고려하여 제작하였다.
      학습할 개념을 정하기 위하여 정가의 음악 요소와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의 개념,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조합하여 ‘음색’, ‘장단’, ‘가락’, ‘형식’, ‘미학’, ‘스타일’의 6가지 요소를 구성하였으며 요소 안에서 정가의 하위 요소인 시조·가곡·가사의 공통적인 부분과 서로 다른 부분을 나누고, 중학교 음악 교과에서 다뤄지는 시조와 가곡의 학습 활동 사례를 제시하였다.
      교수-학습 과정안은 4주차의 수업으로 구성하였다. 장르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시조-가곡-가사의 순서로 학습하도록 제재곡을 선정하였으며 가사는 정가의 공통적인 개념만 다루었다. 학습 요소는 부분적 요소를 먼저 학습하고 총합적 요소로 발전되도록 하였으며 지식제시와 인지과정 또한 위계를 두고 발전되도록 구성하였다. 한 제재곡 안에 여러 개념을 교육하기 위하여 중학교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블록타임제(block time)’를 적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학습자가 정가에 대하여 다양한 경험을 하면서 학습한 개념들을 종합하며 정가에 대한 이해를 높이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정가를 비롯한 국악의 다양한 교수-학습방안이 개발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 제3절 연구의 제한점 3
      • 제4절 선행연구의 고찰 4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 제3절 연구의 제한점 3
      • 제4절 선행연구의 고찰 4
      • 제2장 이론적 배경 7
      • 제1절 생성적 음악교수이론 7
      • 1. 음악과 상징 7
      • 2. 구성주의와 생성적 음악교수이론 8
      • 3.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의 요소 9
      • 4. 교수-학습 모형 16
      • 제2절 정가 18
      • 1. 가곡 18
      • 2. 시조 26
      • 3. 가사 30
      • 제3장 연구방법 및 내용 32
      • 제1절 연구방법 및 내용 32
      • 제2절 연구절차 및 계획 37
      • 제4장 연구결과 38
      • 제1절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을 적용한 정가 교수-학습 모형 38
      • 1.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에 근거한 정가 교수-학습 모형의 요소 38
      • 2.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에 근거한 정가 교수-학습 과정안 모형 43
      • 제2절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을 적용한 정가 교수-학습 과정안 44
      • 1.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을 적용한 정가 교수-학습 계획 44
      • 2. 생성적 음악교수이론에 근거한 정가 교수-학습 지도안 63
      • 제5장 결론 및 제언 76
      • 제1절. 결론 76
      • 제2절. 제언 77
      • 참고문헌 79
      • ABSTRACT 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