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커리어 앵커 활용 초등학생 진로교육모형 구안 = The Development of a Career-Anchor Based on Career Education Model for Elementary Sch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149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ern elementary students' career education model based on career anchor. For this purpose, we have researched literatures and case studies related to career anchor and developed a draft of the career education model. Afterwards, through expert formative evaluation of the draft, we have developed the final model. Specific model's processes include 'finding yourself' - 'selecting learning contents based on career anchor'- 'studying based on career'- 'over coming things lacking in your career' - 'assessment'. These steps include activity content and supporting elements for learners.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cedent career education related studies because through career anchor the learner can find his true self, teachers can able to teach flexibly while adjusting to diverse environment changes, also this program can be utilized within the class setting immediately, and it is developed to help learners and teachers to utilize the program with ease and systematicall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ern elementary students' career education model based on career anchor. For this purpose, we have researched literatures and case studies related to career anchor and developed a draft of the career education 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ern elementary students' career education model based on career anchor. For this purpose, we have researched literatures and case studies related to career anchor and developed a draft of the career education model. Afterwards, through expert formative evaluation of the draft, we have developed the final model. Specific model's processes include 'finding yourself' - 'selecting learning contents based on career anchor'- 'studying based on career'- 'over coming things lacking in your career' - 'assessment'. These steps include activity content and supporting elements for learners.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cedent career education related studies because through career anchor the learner can find his true self, teachers can able to teach flexibly while adjusting to diverse environment changes, also this program can be utilized within the class setting immediately, and it is developed to help learners and teachers to utilize the program with ease and systematical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커리어 앵커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진로교육모형을 구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및 커리어 앵커 관련 교육 프로그램 사례 분석을 통하여 모형의 초안을 도출하고 그것에 대해 전문가 형성평가를 거쳐 모형의 최종안을 구안하였다. 최종 구안된 모형은 핵심가치, 프로세스, 지원요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모형의 프로세스는 ‘자기 모습 찾기’ → ‘커리어 앵커에 따른 학습내용 선정하기’ → ‘커리어별 학습하기’ → ‘부족한 커리어 극복하기’ → ‘평가하기’의 순서로 구성되며 각 단계마다 학습자를 위한 활동 내용과 지원요소에 대한 내용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진로교육 관련 연구와 달리 커리어 앵커를 통하여 자신의 참 모습을 발견할 수 있고, 다양한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탄력적인 교육이 가능하며, 학교 현장에서 즉시에 바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원요소를 통하여 교사와 학생이 손쉽게, 체계적으로 교육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안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커리어 앵커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진로교육모형을 구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및 커리어 앵커 관련 교육 프로그램 사례 분석을 통하여 모형...

      본 연구는 커리어 앵커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진로교육모형을 구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및 커리어 앵커 관련 교육 프로그램 사례 분석을 통하여 모형의 초안을 도출하고 그것에 대해 전문가 형성평가를 거쳐 모형의 최종안을 구안하였다. 최종 구안된 모형은 핵심가치, 프로세스, 지원요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모형의 프로세스는 ‘자기 모습 찾기’ → ‘커리어 앵커에 따른 학습내용 선정하기’ → ‘커리어별 학습하기’ → ‘부족한 커리어 극복하기’ → ‘평가하기’의 순서로 구성되며 각 단계마다 학습자를 위한 활동 내용과 지원요소에 대한 내용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진로교육 관련 연구와 달리 커리어 앵커를 통하여 자신의 참 모습을 발견할 수 있고, 다양한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탄력적인 교육이 가능하며, 학교 현장에서 즉시에 바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원요소를 통하여 교사와 학생이 손쉽게, 체계적으로 교육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안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윤, "활동중심 진로인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2001

      2 이재범, "한국 MIIS요원의 주요 경력지향유형과 유형별 직무요소들의 가치부여 차이에 관한 연구" 7 (7): 49-66, 1997

      3 김성재, "포커스 그룹 연구방법" 서울: 현문사 2000

      4 교육인적자원부, "특별활동(적응활동)" 서울: 범신사 2003

      5 최형심, "초등학생을 위한 활동중심 진로인식 프로그램의 효과" 계명대학교 1999

      6 이종범, "초등학생 진로발달 검사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서울대학교 2005

      7 김미숙, "초등학교 저․중․고 학년용 진로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안양대학교 2009

      8 신철,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인식과 자아개념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2001

      9 김회용,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에 기반한 영재리더십 프로그램 효과 연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3 (23): 1-24, 2009

      10 조흥식,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2007

      1 김지윤, "활동중심 진로인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2001

      2 이재범, "한국 MIIS요원의 주요 경력지향유형과 유형별 직무요소들의 가치부여 차이에 관한 연구" 7 (7): 49-66, 1997

      3 김성재, "포커스 그룹 연구방법" 서울: 현문사 2000

      4 교육인적자원부, "특별활동(적응활동)" 서울: 범신사 2003

      5 최형심, "초등학생을 위한 활동중심 진로인식 프로그램의 효과" 계명대학교 1999

      6 이종범, "초등학생 진로발달 검사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서울대학교 2005

      7 김미숙, "초등학교 저․중․고 학년용 진로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안양대학교 2009

      8 신철,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인식과 자아개념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2001

      9 김회용,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에 기반한 영재리더십 프로그램 효과 연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3 (23): 1-24, 2009

      10 조흥식,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2007

      11 이종규,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교육과학사 2006

      12 박희자, "진로프로젝트 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2004

      13 박건, "조직에서의 경력지향결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1999

      14 신천년, "전산전문인력의 경력지향과 임파워먼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1998

      15 정철영, "일의 학습의 연계를 위한 진로지도 강화"

      16 임규혁, "인간발달 연구의 최근 발전 동향과 적용" 10 (10): 67-86, 1996

      17 장경원, "대학교육을 위한 Action Learning 프로그램 설계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7 (27): 475-505, 2011

      18 강경규, "경력지향유형척도의 개발과 타당도 분석"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7 (17): 509-530, 2004

      19 허봉렬, "경력지향과 기대감충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1995

      20 이홍수, "경력닻 유형에 따른 심리적 계약의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1996

      21 심영국, "경력개발제도의 적용 방향성에 따른 Career Anchor와 경력유효성이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서울 시내 특급 호텔 기업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대학원 2008

      22 윤형준, "경력 닻 유형과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2004

      23 "http://www.dlt.ri.gov/cm"

      24 Nordvic,H, "Work activity and career goals in Holland’s and Schein’s theories of vocational personalities and career anchors" 38 : 165-178, 1991

      25 Leighton,C, "What is an EPSS"

      26 Danziger, N., "The construct validity of Schein’s career anchors orientation inventory" 13 (13): 7-19, 2006

      27 Rothwell,W, "The action learning guidebook: A real-time strategy For problem solving, training design, and employee development"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feiffer 1999

      28 Luo, Q., "Research on physical education students’ career anchors types in hubei province" 6 (6): 382-386, 2011

      29 Richey,R.C, "Research on instructional Development" 45 (45): 91-100, 1997

      30 DeLong,T.J, "Reexamining the career anchor model" 59 (59): 50-61, 1982

      31 Carr.C, "PSS! Help when you need it" 46 (46): 31-38, 1992

      32 이혜숙, "PBL 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서울교육대학교 2007

      33 Kniveton,B, "Managerial career anchors in a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28 (28): 564-573, 2004

      34 Schein,E.H, "How career anchors hold executives to their career paths" 52 : 11-24, 1975

      35 Gery,G, "Electronic performance support systems: How and why to remake the workplace through the strategic application of technology" Boston: Weingarten 1991

      36 Banerji,A, "Electronic performance support systems" 54-60, 1995

      37 Laffey,J, "Dynamic in electronic performance support systems" 8 (8): 31-46, 1995

      38 Richey, R. C., "Developmental research: Studies of instructional design and development. In: Handbook of research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2nd ed.)"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099-1130, 2004

      39 Ramakrishna, H. V., "Conceptualization and exploration of composite career anchors: Analysis of information systems personnel" 14 (14): 199-214, 2003

      40 Isaason, L. E., "Career information, career counseling, career development"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1997

      41 Super,D.E, "Career education: New approaches to human development" Bloomington. IL: McNight Publishing 1953

      42 Schein,E.H, "Career dynamics: Matching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needs" reading. MA: Addison-Wesley 1978

      43 Zunker,V.G, "Career counseling: A holistic approach(8th ed)" Pacific Grove, CA: Brooks/Cole 2011

      44 Danziger, N., "Career anchors: distribution and impact on job satisfaction, the Israeli case" 11 (11): 293-303, 2006

      45 Yarnell,J, "Career anchors: Result of and organizational study in the UK" 3 (3): 56-63, 1998

      46 Schein,E.H, "Career anchors: Discovering your real values" San Diego, CA: Preiffer & Company 1990

      47 Suutari, V., "Career anchors of managers with global careers" 23 (23): 833-847, 2004

      48 Crepeau, R. G., "Career anchors of information systems personnel" 9 (9): 145-160, 1992

      49 Custodio,L.P, "Career anchors of Filipino academic executives" 2000

      50 Marshall, V., "Career anchors and the effects of downsizing: Implications for generations and cultures at work. A preliminary investigation" 27 (27): 281-291, 2003

      51 Barth,T.J, "Career anchor theory" 13 : 27-42, 1993

      52 Peterson, J, "Career anchor profiles: An exploratory study of business school participants in France" Lyon, Universite Jean Moulin Lyon 3, France 8-10, 2009

      53 Tan, H. H.,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areer anchors for educators in Singapore" 135 : 527-545, 2001

      54 Tuckman,B.W, "An age-graded model for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4 (4): 193-212, 1974

      55 탁진국, "21세기 산업 및 조직심리학의 과제와 전망" 12 (12): 39-59,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직업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6 2.06 2.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1 2.29 2.564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