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학생의 진로의식이 어느 정도이며 성별, 가정의 사회 경제적 수준, 보호자의 직업, 보호자의 학력, 학생의 학업 성적에 따른 진로의식 수준을 조사 분석하여 학생의 올바른 진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0036626
강릉 :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학위논문(석사) --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 전공 , 2005. 2
2005
한국어
376.5268 판사항(4)
강원특별자치도
iv, 64p. : 삽도 ; 26cm.
참고문헌: p. 53-5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생의 진로의식이 어느 정도이며 성별, 가정의 사회 경제적 수준, 보호자의 직업, 보호자의 학력, 학생의 학업 성적에 따른 진로의식 수준을 조사 분석하여 학생의 올바른 진로...
본 연구는 중학생의 진로의식이 어느 정도이며 성별, 가정의 사회 경제적 수준, 보호자의 직업, 보호자의 학력, 학생의 학업 성적에 따른 진로의식 수준을 조사 분석하여 학생의 올바른 진로의식을 심어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해 주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내용을 설정하였다.
첫째, 중학생의 진로의식은 성별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중학생의 진로의식은 가정환경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중학생의 진로의식은 학업 성적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위의 3가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강원도 태백시 태백중학교 남학생 51명, 장성여자중학교 여학생 75명, 강원도 정선군 나전중학교 남학생 37명, 여학생 38명을 대상으로 이준일(2000)의 「진로 의식에 관한 설문지」를 검사도구로 사용하였다. 질문지의 구성내용과 문항수는 자아인식에 대해 묻는 문제 7문항, 일의 세계에 대해 묻는 문제 6문항, 일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 대해 묻는 문제 5문항, 의사결정능력에 대해 묻는 문제 6문항 총 2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Ver. 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차이 검증을 위하여 t 검증과 F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방법으로 조사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 진로의식에 대한 성별의 차이는 자아인식 측면(t=2.20, P<.05), 일의 세계 측면(t=2.96, P<.01), 의사결정능력 측면(t=2.72, 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일에 대한 태도 측면에서는 남녀 학생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일의 세계와 의사결정 측면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의식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학생의 가정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진로의식은 자아인식(t=3.84, P<.001)과 의사결정능력(t=4.23, P<.001)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배우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일의 세계(t=2.41, P<.01)와 일에 대한 태도(t=2.37, P<.01) 측면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전체적으로 가정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상/중위 집단에 해당하는 중학생의 진로의식 수준이 하위 집단에 해당하는 학생보다 높은 경향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중학교 학생의 보호자 직업에 따른 진로의식은 자아인식(F=18.20, P<.001), 일의 세계(F=16.47, P<.001), 의사결정(F=17.29, P<.001)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에 대한 태도(F=8.29, P<.05) 측면에서도 약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보호자의 직업이 전문직이나 관리·사무직일수록 학생들의 진로의식 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중학생 학생의 보호자 학력에 따른 진로의식은 자아인식(F=20.94, P<.001), 일의 세계(F=18.70, P<.001), 일에 대한 태도(F=16.91, P<.01), 의사결정능력(F=19.24, P<.001)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보호자의 학력이 높을수록 중학교 학생의 진로의식의 정도는 높고, 학력이 낮을수록 그 정도는 낮은 것으로 본다.
다섯째, 중학생의 진로의식에 대한 학업성적에 따른 차이는 자아인식(F=21.37, P<.001), 일의 세계(F=19.90, P<.001), 의사결정능력(F=20.52, P<.001)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일에 대한 태도(F=10.05, P<.01) 측면에서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학업성적이 높은 학생일수록 자신의 진로 탐색과 진로결정에 대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career awareness of adolescents were affected by their background and environment or not to make some contribution to career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background factors of middle school st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career awareness of adolescents were affected by their background and environment or not to make some contribution to career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background fa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cluding gender, families' socioeconomic levels, parents' academic careers, parent's occupations, and academic grades were investigated.
For this study 201 students(all the grade) were selected from two middle schools in Taebak-si and one middle school in Jeongseon-gun. They were given questionaries made by researches and the answers were analyzed.
For data analysis, SPSS/WIN(Ver. 10) was employe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t-test and F-test were utilize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concerning the impact of gender on career awareness, the middle school boy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self-recognition(21.70), the world of work(23.27), and decision-making ability(22.69) than girls(20.32, 20.12, 20.34). But there was no difference on enthusiasm in working.
Second, According to their families' socioeconomic level, higher or middle group students showed stronger career awareness(t=3.84, p<.001), the world of work(t=2.41, p<0.1), the attitude for work(t=2.37, p<.01)and decision-making ability(t=4.23, p<.001) than lower group students.
Third, According to their parents' occupations, the students whose parents have professional occupations had much stronger career awareness in all the questionaries. In the field of self-recognition, the difference was biggest(F=18.20, p<.001).
Forth, The higher their parents' academic careers, the higher the student's career awareness were. Especially the gap was the biggest in the filed of self-recognition(F=20.94, p<.001).
Fifth, The students with high school records had stronger career awareness than the ones with middle or low records in all the questionaries. Particularly in the item of self-recognition, the gap was much bigger.(F=21.37, p<.001)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