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직업체험 프로그램이 일 여자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 Job Experience Program on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701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직업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고등학생 31명으로 직업체험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WIN 26.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평균과 표준편차, paired t-test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직업체험 프로그램 실시 후 대상자들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선택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에게 다양한 진로분야에 대한 안내와 더불어 자신의 관심 진로분야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직업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속적인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직업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고등학생 31명으로 직업체험 프로그램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직업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고등학생 31명으로 직업체험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WIN 26.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평균과 표준편차, paired t-test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직업체험 프로그램 실시 후 대상자들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선택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에게 다양한 진로분야에 대한 안내와 더불어 자신의 관심 진로분야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직업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속적인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job experience program to improve high school students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1 high school students,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frequency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paired t-test using SPSS WIN 26.0 program. After implementing the job experience program, the subjects'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continuous and diverse career experience programs that allow high school students to directly experience career fields of interest.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job experience program to improve high school students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1 high school students, and data were coll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job experience program to improve high school students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1 high school students,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frequency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paired t-test using SPSS WIN 26.0 program. After implementing the job experience program, the subjects'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continuous and diverse career experience programs that allow high school students to directly experience career fields of interes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