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호모 파티엔스(Homo Patiens)의 서사와 인권 ― 황정은 소설에 재현된 '상처 입을 가능성'에 대한 법문학비평 = Human Rights and the Narrative of Homo Patiens ― Literary Criticism of Law on Vulnerability in Hwang Jung Eun's Nove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904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간이 누려야 할 권리 목록이 선험적으로 확정되어 있는 것만이 아니라 새롭게 발굴되고 추가될 수 있는 것이라면 인권법은 이를 알아보고 알아듣는 세심한 눈과 귀를 필요로 한다. 타인의...

      인간이 누려야 할 권리 목록이 선험적으로 확정되어 있는 것만이 아니라 새롭게 발굴되고 추가될 수 있는 것이라면 인권법은 이를 알아보고 알아듣는 세심한 눈과 귀를 필요로 한다. 타인의 상처를 더 깊숙이 들여다보고 상처 받은 이들의 목소리에 더 세심하게 귀 기울이는 데에 요긴하게 쓰일 수 있는 도구가 문학이다. 문학적 서사는 기존 인권 담론이 미처 가 닿지 못한 지점까지 우리의 인권감수성을 끌어가고, 소수집단의 집단정체성 안에서 다시금 숨죽여졌던 소외를 드러내며, 창작자 자신마저 간과한 편견이나 차별을 비판적 독해를 통해 독자 스스로 발견하게끔 해준다.
      본 논문은 동시대 문학에서 호모 파티엔스(Homo Patiens)의 서사를 발견하고 거기서 생성 중인 인권을 읽어내고자 했다. 인간은 호모사피엔스만이 아니라 신체적-심리적-사회적 의미에서 취약하고 고통받는 존재로서 ‘호모 파티엔스’의 차원을 가진다. 몸을 가진 인간은 상처받을 수 있다는 보편적 사실을 인정함은 타자에 대한 주체의 의존성을 인정하는 것이며, 타자에게 말 걸지 않고서는 주체가 존재할수 없음을 인정하는 것이다. 상실의 가능성을 안고 있는 취약한 존재성이야말로 인간 공통의 조건이며, 상처 입기 쉬운 자는 단지 보호가필요한 대상을 넘어 그가 지닌 약함 자체로써 연대의 가능성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견지에서, 본 논문에서는 사회적으로나 젠더적으로 ‘아무것도 아닌’ 걸로 치부되어온 존재들에 지속적으로 눈길을 두어온 소설가 황정은의 작품세계를 조금 들여다보았다.
      환상성의 설정에도 불구하고 전복되거나 해체되지 않는 견고한 체제 안에서, 폭력에 의해 상처 입을 가능성을 지닌 호모 파티엔스는 무엇을, 어떻게 행할 것인가. 일반 명사화된 대상을 동일자의 폭력에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은 가능한가. 우리는 어떻게 자신의 상처를 통해 타인의 고통을 알아볼 수 있는가. ‘고아와 과부의 얼굴로 나의 자유를 의문시하는’ 타자에 대한 주체의 윤리적 책무는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 본 논문은 황정은의 초기 장편소설 두 편, 상처 입을 가능성을 통한 연대를 그려낸 『백의 그림자』(2010)와 상처 입은 얼굴에 대한 나와 그대의 책임을 다룬 『야만적인 앨리스씨』(2013)에 대한 법문학비평을 수행함으로써 이 질문들의 답을 구해보고자 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f the list of rights that human beings should enjoy is not confirmed in advance but newly discovered and added, human rights law requires sensitive sight and hearing to recognize it. Literature is an essential tool that can be used when looking deepe...

      If the list of rights that human beings should enjoy is not confirmed in advance but newly discovered and added, human rights law requires sensitive sight and hearing to recognize it. Literature is an essential tool that can be used when looking deeper into the wounds of the other and listening attentively to the voices of the wounded. Literary narrative may draw our sensibility to the point where the existing human rights discourse has not yet reached, reveal the alienation that was once again suffocated within the collective identity of the minority groups, and even allow the readers to critically read the prejudice or discrimination that the author him/herself had overlooked.
      This paper aims to read, from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the narrative of Homo Patiens who are susceptible to being hurt, as well as yet-to-be discovered human rights. Acknowledging the universal fact that humans with bodies are vulnerable is accepting the dependence of the subject to the others. Judith Butler saw that a vulnerable body with the possibility of loss is a common condition for human beings, and those who are susceptible to being injured are those who are apt to build solidarity via their very weakness. In this research, I focused on the works of Korean contemporary novelist Hwang Jung Eun, who has consistently paid attention to the vulnerable beings.
      In solid system of neo-liberalism which will not easily be overturned or dismantled, what will Homo Paiens do to resist against it, and how? Can we recognize the pain of the others through our own vulnerability? What should be the ethical responsibility of the subject toward the other, who ‘questions one’s freedom with the face of orphan and widow’? This paper attempts to seek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orough literary criticism of law on Hwang Jung Eun's two novels, One Hundred Shadows(2010) and The Barbaric Mr. Alice(2013).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대원, "힐링 담론과 치유의 문학교육 - ‘상처 입을 가능성’과 ‘문화 의사’ 개념을 통한 비판적 성찰 -" 국어교육학회(since1969) (68) : 119-144, 2018

      2 심진경, "황정은 소설의 환상과 리얼­『百의 그림자』와 『야만적인 앨리스씨』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학회 49 (49): 479-506, 2015

      3 윤국희, "황정은 소설에 나타난 ‘윤리적 폭력’ 비판" 한국근대문학회 20 (20): 305-337, 2019

      4 이은주, "환상소설의 두 경향- 손흥규 「투명인간」, 황정은 「모자」 비교" 한국비평문학회 (73) : 207-232, 2019

      5 김성호, "헌법제정의 정치철학: 주권인민의 정체성과 인민주권의 정당성" 한국정치학회 42 (42): 5-27, 2008

      6 손정수, "한국근대문학의 틈새" 역락 2005

      7 노대원, "포스트휴먼, 바이러스, 취약성" 국어국문학회 (193) : 93-120, 2020

      8 마이클 라이언,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정치와 문화(Politics and Culture)" 갈무리 1996

      9 황정은, "파씨의 입문" 창비 2010

      10 김동규, "트라우마와 연대: 상처 받을 수 있음의 공공성" 대동철학회 91 : 27-62, 2020

      1 노대원, "힐링 담론과 치유의 문학교육 - ‘상처 입을 가능성’과 ‘문화 의사’ 개념을 통한 비판적 성찰 -" 국어교육학회(since1969) (68) : 119-144, 2018

      2 심진경, "황정은 소설의 환상과 리얼­『百의 그림자』와 『야만적인 앨리스씨』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학회 49 (49): 479-506, 2015

      3 윤국희, "황정은 소설에 나타난 ‘윤리적 폭력’ 비판" 한국근대문학회 20 (20): 305-337, 2019

      4 이은주, "환상소설의 두 경향- 손흥규 「투명인간」, 황정은 「모자」 비교" 한국비평문학회 (73) : 207-232, 2019

      5 김성호, "헌법제정의 정치철학: 주권인민의 정체성과 인민주권의 정당성" 한국정치학회 42 (42): 5-27, 2008

      6 손정수, "한국근대문학의 틈새" 역락 2005

      7 노대원, "포스트휴먼, 바이러스, 취약성" 국어국문학회 (193) : 93-120, 2020

      8 마이클 라이언,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정치와 문화(Politics and Culture)" 갈무리 1996

      9 황정은, "파씨의 입문" 창비 2010

      10 김동규, "트라우마와 연대: 상처 받을 수 있음의 공공성" 대동철학회 91 : 27-62, 2020

      11 김은주, "탈근대의 윤리적 주체화와 책임의 새로운 지평: 들뢰즈와 버틀러의 윤리적 주체화" 한국여성철학회 29 : 59-86, 2018

      12 서동욱, "차이와 타자" 문학과지성사 2000

      13 이상돈, "정의의 아포리아(aporia)와형의 유예제도에 대한 법문학적 이해― 카뮈의 <손님>을 예로 하여" 법학연구원 (72) : 209-252, 2014

      14 에마뉘엘 레비나스, "전체성과 무한(Totalité et infini)" 그린비 2018

      15 배복주, "장애인성폭력관련법 및 정책 변화와 비판적 검토 : 영화 <도가니> 이후 무엇이 달라지고 있는가?" (163) : 2012

      16 김나정, "자명한 환상" 제21권 제4호 21 (21): 2008

      17 서영채, "일곱시 삼십이분 코끼리열차" 문학동네 2008

      18 이준일, "인권법 : 사회적 이슈와 인권" 홍문사 2007

      19 이상돈, "인권법" 세창출판사 2005

      20 김경수, "이병주 소설의 문학법리학적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43) : 97-124, 2014

      21 김욱동, "은유와 환유" 민음사 1999

      22 고부응, "은유, 환유, 그리고 정치학" 한국영어영문학회 50 (50): 165-185, 2004

      23 주디스 버틀러, "윤리적 폭력 비판 : 자기 자신을 설명하기(Giving an Account of Oneself)" 인간사랑 2013

      24 주디스 버틀러, "위태로운 삶 : 애도의 힘과 폭력(Precarious Life)" 필로소픽 2018

      25 이소영, "우리를 가르는 울타리, 그리고 '우리'라는 울타리미국 청소년역사책 디어 아메리카(Dear America) 시리즈에서 배제/포섭의 서사" 역사문제연구소 19 (19): 465-509, 2015

      26 주디스 버틀러, "연대하는 신체들과 거리의 정치" 창비 2020

      27 황정은, "야만적인 엘리스씨" 문학동네 2013

      28 박지윤, "아르스로서의 법" 한국법철학회 20 (20): 101-138, 2017

      29 이소영, "식민지 검열에서 법과 문학의 상호형성 ―식민지 말기 최정희 소설에서의 중층적 검열을 중심으로―" 한국법철학회 15 (15): 241-280, 2012

      30 정홍수, "시대의 빈곤을 응시하는 가난한 언어" 제40권 제1호 40 (40): 2012

      31 노태훈, "소설이 감당해야 하는 일" 21 (21): 2014

      32 황임경, "상처 입을 가능성(vulnerability)과 의학에서의 주체화" 한국의철학회 25 : 51-86, 2018

      33 류 신, "상상력과 모험과 투기" (79) : 2005

      34 조지 레이코프, "삶으로서의 은유(Metaphor We Live By)" 박이정 2006

      35 최진석, "비인간, 또는 새로운 부족들의 공-동체 : 황정은 소설이 던진 물음들" 22 (22): 2015

      36 토드 메이, "부서지기 쉬운 삶(A Fragile Life)" 돌배개 2018

      37 김연미, "법적 상상력과 법시학: 정의의 기획들" 한국법철학회 19 (19): 77-120, 2016

      38 김정숙, "법의 문학적 수용과 법문학의 가능성 ― 공지영의 『도가니』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50) : 31-47, 2012

      39 이상돈, "법문학이란 무엇인가? -법문학을 통한 법적 정의의 실현가능성에 대한 시론-" 법학연구원 (48) : 59-82, 2007

      40 이상돈, "법문학비평의 개념, 방법, 이론, 실천" 안암법학회 통 (통): 389-426, 2007

      41 이소영, "법문학비평과 소수자의 내러티브 ―박민규, 윤성희, 김애란의 단편소설에 대한 법문학비평―" 한국법철학회 14 (14): 205-232, 2011

      42 이소영, "법문학비평과 사회적 기억의 구성-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에서 ‘법을 통한 과거청산’의 아포리아-" 인문과학연구소 (40) : 35-72, 2014

      43 이상돈, "법문학" 신영사 2005

      44 박소현, "법률과 사실, 그리고 서사- 법문학비평의 관점에서 본 전근대 동아시아의 범죄소설" 한국중국어문학회 98 : 1-20, 2019

      45 신형철, "백의 그림자" 민음사 2010

      46 황정은, "백의 그림자" 민음사 2010

      47 안경환, "미국지성사의 흐름" 서울대학교출판사 1997

      48 김연미, "문학적 법철학연구: 법의 내용으로서 비극성" 한국법철학회 23 (23): 33-96, 2020

      49 천현순, "문학작품에 재현된 안락사 -클라우디아 슈라이버의 『엠마의 행복』에 나타난 '행복한 죽음'의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독어독문학회 56 (56): 65-86, 2015

      50 김경민, "문학을 통한 인권감수성 형성과 인권 교육"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6 (16): 139-162, 2015

      51 김영진, "문학 작품을 통해 본 정의(正義)의 구현과 법" 법과사회이론학회 (54) : 179-209, 2017

      52 허명숙, "맥락이 증발한 폭력의 재맥락화" 13 : 2014

      53 김도형, "레비나스와 정치적인 것" 그린비 2018

      54 김혜령, "레비나스 철학의 맥락들" 그린비 2017

      55 유준, "당신이 좋다니까, 나도 좋아요" (138) : 2010

      56 남진우, "네 속의 어린 소녀를 구하라 : 황정은 소설에 나타난 환상성의 의미" 제16권 제1호 16 (16): 2009

      57 김경수, "김동인 소설의 문학법리학적 연구" 구보학회 (16) : 283-304, 2017

      58 한금윤, "글쓰기의 윤리적 탐색과 서사적 효과 - 공지영의 『도가니』를 중심으로 -" 우리말글학회 50 : 381-404, 2010

      59 니콜라우스 하이델바흐, "그림 메르헨(Märchen der Brüder Grimm)" 문학과지성사 2007

      60 김경민, "공감을 통한 문학의 인권감수성 형성: 최윤의 「저기 소리 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를 대상으로 5‧18 관련 인권문제의 문학적 형상화 연구" 5.18연구소 14 (14): 47-72, 2014

      61 염동규, "고통을 지키는 방패" 제43권 제1호 43 (43): 2015

      62 박신영, "고통에서 벗어나는 언어행위- 황정은의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원 (69) : 323-360, 2017

      63 노명우, "계몽의 변증법을 넘어서" 문학과 지성사 2002

      64 김경민, "경계 위의 인권 : 난민 문학의 인권담론" 법과사회이론학회 (63) : 1-24, 2020

      65 김경민, "『도가니』에 나타난 ‘부끄러움’의 미학 ― ‘인권’에 대한 문학적 접근" 현대문학이론학회 (51) : 31-54, 2012

      66 이소영, "‘포스트모던’ 법문학의 가능성들" 한국법철학회 12 (12): 407-430, 2009

      67 김형중, "‘탈승화’ 혹은 원한의 글쓰기 –박솔뫼, 김사과, 황정은의 소설에 대하여" 제61권 제1호 61 (61): 2013

      68 조주영, "‘취약성’ 개념을 통한 상호주관적 인정관계의 재구성 : 인정에 대한 버틀러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회 30 : 35-62, 2018

      69 안경환, "‘법과 문학’의 관점에서 본 에로티시즘" (57) : 2002

      70 Henk ten Have, "Vulnerability :Challenging Bioethics" Routledge 2016

      71 Emmanuel Levinas, "The Provocation of Levinas: Rethinking the Other" Routledge 1998

      72 Roman Jakobson, "Language in Literature" Belknap Press 1990

      73 차미령, "2010년대 소설의 사회적 성찰" 제23권 제1호 23 (23): 2015

      74 김경민, "1960년대 군사주의의 인권 침해에 대한 소설적 대응 ―이청준의 「공범」과 이제하의 「손」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46) : 29-50,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 0.879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