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흙과의 관계는 다른 어떤 재료보다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인류의 발생과 더불어 토기가 제작되었으며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일상생활이나 정서에 밀착하여 중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772152
2004
-
370
학술저널
187-199(1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인간은 흙과의 관계는 다른 어떤 재료보다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인류의 발생과 더불어 토기가 제작되었으며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일상생활이나 정서에 밀착하여 중요...
인간은 흙과의 관계는 다른 어떤 재료보다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인류의 발생과 더불어 토기가 제작되었으며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일상생활이나 정서에 밀착하여 중요한 사회적 기능을 하였으며, 인류문화의 발달과 함께 성장하여온 가장 오래된 예술중의 하나이다. 이는 무엇보다도 흙이라는 재료가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성형에 있어서도 큰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자유롭기 때문이다. 흙이라는 물질에 대한 형태는 여러모로 변모되었으나 현대 도예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물질은 단순히 재료라고 하기 보다는 작품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현대도예의 특징인 물질성, 조형성, 유희성 등은 미술교육의 입체표현과 연관되며 중요한 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즉, 흙이라는 원초적 재료와 조형언어로서의 관계는 누구라도 쉽고,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창조행위에서 표현되는 원초성은 생명력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