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 ‘종자론’의 문예론적 특성과 통치담론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iterary Characteristic and the discourse of ruling of a "Seed Theory" in Nor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560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rth Korea set up a “Juche, or Self-reliance Literary Theory” which puts an emphasis on Juche Ideology in the early 1970s. Kim Jong-il, North Korea's dear leader, proposed a “Seed Theory” as a key creative writing methodology for a juche literary theory. A “seed” here is the “nucleus” which is the central fact as well as an idealogical kernel of literary works as well. The reason why Kim Jong-il advocated the seed theory in that period of history is because that in the literary and art sector which functioned as an important ruling mechanism of his regime, he inserted a seed of “juche” in the literature and arts and attempted to make it play a right function which was capable of producing the pieces which were responsive to his regime and would contribute effectively to establishing a single system of North Korea. Also, as in that period in the political and social aspects, socialist countries in Eastern Europe were riding the waves of openness, North Korea tried to stick to its own independent system through such a seed theory in the aspect of culture.
      Afterwards, the seed theory worked as a key theory for “juche literary theory” and served as the principle for creating and evaluating the general literary pieces.
      Entering into the 2000s, the seed theory reappeared by Kim Jong-il as a part of “new thinking.” What the seed theory appeared as a principle for creation across the politics and society as a whole beyond literature is because that it is Kim Jong-il's independent ruling theory which connotes a view of his philosophy and also is a way through which North Korea would hold fast to and reproduce a seed of “juche ideology,” identity which the North Korea system requires. Therefore, North Korea is likely to continue to use this seed theory as a principle for creation across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al spectrum as well as a mechanism for politic-social consent in the “speed battle” including its big group creation in the future.
      번역하기

      North Korea set up a “Juche, or Self-reliance Literary Theory” which puts an emphasis on Juche Ideology in the early 1970s. Kim Jong-il, North Korea's dear leader, proposed a “Seed Theory” as a key creative writing methodology for a juche lite...

      North Korea set up a “Juche, or Self-reliance Literary Theory” which puts an emphasis on Juche Ideology in the early 1970s. Kim Jong-il, North Korea's dear leader, proposed a “Seed Theory” as a key creative writing methodology for a juche literary theory. A “seed” here is the “nucleus” which is the central fact as well as an idealogical kernel of literary works as well. The reason why Kim Jong-il advocated the seed theory in that period of history is because that in the literary and art sector which functioned as an important ruling mechanism of his regime, he inserted a seed of “juche” in the literature and arts and attempted to make it play a right function which was capable of producing the pieces which were responsive to his regime and would contribute effectively to establishing a single system of North Korea. Also, as in that period in the political and social aspects, socialist countries in Eastern Europe were riding the waves of openness, North Korea tried to stick to its own independent system through such a seed theory in the aspect of culture.
      Afterwards, the seed theory worked as a key theory for “juche literary theory” and served as the principle for creating and evaluating the general literary pieces.
      Entering into the 2000s, the seed theory reappeared by Kim Jong-il as a part of “new thinking.” What the seed theory appeared as a principle for creation across the politics and society as a whole beyond literature is because that it is Kim Jong-il's independent ruling theory which connotes a view of his philosophy and also is a way through which North Korea would hold fast to and reproduce a seed of “juche ideology,” identity which the North Korea system requires. Therefore, North Korea is likely to continue to use this seed theory as a principle for creation across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al spectrum as well as a mechanism for politic-social consent in the “speed battle” including its big group creation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북한은 1970년대 초반 주체사상을 중시하는 ‘주체문예이론’을 정립하였다. 김정일은 주체문예이론의 창작방법론으로 ‘종자론’을 제시하였는데, 여기서의 ‘종자’란 작품의 중심을 이루는 ‘핵’이며, ‘사상적 알맹이’이라고 정의하였다. 김정일이 이 시기에 종자론을 주장한 것은 체제의 중요한 통치기제로 작용하는 문학예술 분야에 있어, ‘주체’라는 종자를 삽입, 유일체계 확립에 있어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체제 순응작품 생산에 순기능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정치사회적으로 이 시기는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이 개방화의 물결을 타고 있어, 북한 나름의 독자체계를 고수하기 위한 문화적 대응의 측면이 있었다.
      이후, 종자론은 ‘주체문학론’의 핵심이론으로 기능하며, 문예작품 일반의 창작 및 평가원칙으로 적용되었으며, 2000년대에 들어 다시 김정일에 의해 ‘신사고’라는 통치담론의 일환으로 등장하였다. 종자론이 문예분야를 넘어 정치사회 전반에 걸쳐 창조의 원칙으로 등장한 것은 종자론은 바로 김정일의 철학관이 함축된 독자적인 통치이론이고, 그것은 결국 북한 체제가 요구하는 정체성이기도 한 ‘주체사상’의 종자를 고수, 재생산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북한은 향후에도 종자론을 정치·사회·경제 전반에 걸쳐 창조의 원칙으로, 대집단창작을 비롯한 '속도전' 등에 있어 정치사회적 동의기제로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북한은 1970년대 초반 주체사상을 중시하는 ‘주체문예이론’을 정립하였다. 김정일은 주체문예이론의 창작방법론으로 ‘종자론’을 제시하였는데, 여기서의 ‘종자’란 작품의 중심을 이...

      북한은 1970년대 초반 주체사상을 중시하는 ‘주체문예이론’을 정립하였다. 김정일은 주체문예이론의 창작방법론으로 ‘종자론’을 제시하였는데, 여기서의 ‘종자’란 작품의 중심을 이루는 ‘핵’이며, ‘사상적 알맹이’이라고 정의하였다. 김정일이 이 시기에 종자론을 주장한 것은 체제의 중요한 통치기제로 작용하는 문학예술 분야에 있어, ‘주체’라는 종자를 삽입, 유일체계 확립에 있어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체제 순응작품 생산에 순기능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정치사회적으로 이 시기는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이 개방화의 물결을 타고 있어, 북한 나름의 독자체계를 고수하기 위한 문화적 대응의 측면이 있었다.
      이후, 종자론은 ‘주체문학론’의 핵심이론으로 기능하며, 문예작품 일반의 창작 및 평가원칙으로 적용되었으며, 2000년대에 들어 다시 김정일에 의해 ‘신사고’라는 통치담론의 일환으로 등장하였다. 종자론이 문예분야를 넘어 정치사회 전반에 걸쳐 창조의 원칙으로 등장한 것은 종자론은 바로 김정일의 철학관이 함축된 독자적인 통치이론이고, 그것은 결국 북한 체제가 요구하는 정체성이기도 한 ‘주체사상’의 종자를 고수, 재생산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북한은 향후에도 종자론을 정치·사회·경제 전반에 걸쳐 창조의 원칙으로, 대집단창작을 비롯한 '속도전' 등에 있어 정치사회적 동의기제로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혁명의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의 주체적 문예사상" 사회과학출판사 1971

      2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총대와 문학" 사화과학출판사 2004

      3 김용부, "철학적심오성과 문학예술작품" 문학예술출판사 2002

      4 미셀, 푸코, "지식의 고고학" 민음사 1992

      5 한중모, "주체적문예이론의 기본1 - 사회주의 공산주의 문학예술의 건설 2,3권" 문예출판사 1992

      6 서재경, "주체의 문예창작" 문학예술출판사 2007

      7 리기도, "주체의 문예관과 외국문학"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6

      8 정우곤, "주체사상의 변용담론과 그 원인: ‘우리식’ 사회주의; ‘붉은기 철학’, ‘강성대국’을 중심으로" 5 (5): 2001

      9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주체사상에 기초한 문예리론" 사회과학출판사 1975

      10 김정일, "주체문학론"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1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혁명의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의 주체적 문예사상" 사회과학출판사 1971

      2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총대와 문학" 사화과학출판사 2004

      3 김용부, "철학적심오성과 문학예술작품" 문학예술출판사 2002

      4 미셀, 푸코, "지식의 고고학" 민음사 1992

      5 한중모, "주체적문예이론의 기본1 - 사회주의 공산주의 문학예술의 건설 2,3권" 문예출판사 1992

      6 서재경, "주체의 문예창작" 문학예술출판사 2007

      7 리기도, "주체의 문예관과 외국문학"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6

      8 정우곤, "주체사상의 변용담론과 그 원인: ‘우리식’ 사회주의; ‘붉은기 철학’, ‘강성대국’을 중심으로" 5 (5): 2001

      9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주체사상에 기초한 문예리론" 사회과학출판사 1975

      10 김정일, "주체문학론"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11 김정웅, "주체문학건설" 문학예술출판사 2007

      12 김용범, "종자중시사상으로 부활한 북한 문예이론 종자론의 실체에 대한 연구" 동아시아문화연구소 (44) : 201-226, 2008

      13 김정웅, "종자와 작품창작" 사회과학출판사 1987

      14 김정웅, "종자와 작품 창작의 원리" 조선어문 2001

      15 김정웅, "종자와 그 형상" 문예출판사 1988

      16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종자론에 관한 철학론문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2

      17 "조선문학예술년감"

      18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우리 당의 문예정책" 사회과학출판사 1973

      19 김정일, "영화예술론" 조선로동당출판사 1973

      20 김하명, "새 문학 건설"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3

      21 "사회과학원학보"

      22 전영선, "북한의 문학예술운영체계와 문예이론" 도서출판 역락 2002

      23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북한의 문학과 문예이론" 동국대학교출판부 2003

      24 서재진, "북한‘신사고론’의 의도 및 내용분석, 통일정세분석2001-1" 2001

      25 김정남, "민족의 자랑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평양출판사 2006

      26 크리스 바커, "문화연구와 담론분석" 커뮤니케이션스북스 2009

      27 리현순, "문학형태론" 문학예술출판사 2007

      28 김하명, "문학예술작품의 종자에 관한 리론" 사회과학출판사 1977

      29 강두만, "문학예술에 바친 위대한 사색" 1995

      30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문학예술사전(중)" 사회과학출판사 1972

      31 김정웅, "문예창작방법론" 대동 1990

      32 김용직, "문예정책과 이론에 비추어 본 북한문학사" 일지사 2008

      33 "로동신문"

      34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둘이면서 하나인 북한문화" 한울 아카데미 2006

      35 다이안맥도넬, "담론이란 무엇인가" 도서출판 한울 1992

      36 전영선, "김정일시대 사회 패러다임으로서 종자론 연구, In 북한 및 통일관련: 신진연구논문집" 통일부 2003

      37 김정일, "김정일선집 15권" 조선로동당출판사 2004

      38 김정일, "김정일 선집 제1권"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세계평화통일학회 ->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world Peace and Unifi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of Peace Stud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48 0.88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